분기 물가 “10년 이래 가장 많이 올랐다”

분기 물가 “10년 이래 가장 많이 올랐다”

0 개 2,539 서현

물가 오름세가 심상치 않다는 뉴스가 여러 차례 전해졌던 가운데 실제로 지난 9월 분기 인플레이션이 10년 이래 가장 높게 나타났다.


통계국이 1018() 발표한 물가 동향에 따르면 9월 분기 ‘소비자 물가지수(consumers price index, CPI)’는 전 분기 대비 2.2% 상승했는데 이는 201012월 분기의 2.3%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더욱이 GST 인상 시기를 제외시킨 통계에서는 3.3%가 상승했던 지난 19876월 분기 이후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나 현재 물가가 가파르게 오름세에 있음을 보여줬다.


9월까지의 연간 기준으로 볼 때도 인상률이 4.9%에 달했는데 이 역시 지난 20106월 분기와 그 이듬해 6월 분기 사이에 발생했던 5.3% 이후 가장 높은 오름폭이다.


또한 GST 세율 변경의 영향을 받은 기간을 제외할 때 금년 9월 분기의 연간 인플레이션은 지난 20089월 분기의 연간 5.1% 이후 가장 높았다.


9월 분기에 물가 오름세를 측정한 11개 주요 분야 중에서 10개 분야가 전 분기에 비해 오름세를 보였는데, 이 중 가장 크게 오른 분야는 주택 분야로 신규 주택 건설 원가가 오르고 이와 함께 각 지방자치단체들이 재산세를 인상한 것이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


주택 분야는 분기에 4.5% 그리고 연간으로는 12%나 상승했는데, 통계 담당자는 공급망 문제와 높은 수요가 주택 건설 비용을 상승시켰다면서, 건설업체들이 필요한 건축 자재들을 구하기 어렵고 인건비와 관리비도 많이 든다고 말한다고 전했다.


실제로 노동 비용 지수(labour cost index)로 측정한 자료를 보면, 건설시장의 임금은 지난 6월 분기까지 연간 3% 인상됐는데 이는 작년에 이 분야의 인력 수요가 많았기 때문이다.


한편 기존 주택의 가격 상승은 가계와 가계 간의 이전이고 또한 땅값 상승도 투자로 간주하기 때문에 소비자 물가지수 산정에서는 제외된다.





또한 지난 9월 분기에 지자체들의 재산세 인상률은 7.1%에 달했는데 여기에는 작년 9월 분기에 지자체들이 코로나19로 인한 주민들의 타격을 감안해 재산세 인상률을 3.1%로 억제했던 점도 영향을 미쳤다.


채소 가격도 크게 오르면서 분기 인플레이션에 두 번째로 큰 상승 요인을 제공했는데 특히 토마토와 상추, 브로콜리의 높은 가격이 주된 요인으로 작용했다.


교통 분야 역시 9월 분기에 4.2%가 올랐는데 그 바탕에는 9월 분기에 6.5%, 그리고 연간으로 22%나 오른 휘발유가 가장 큰 이유로 자리잡고 있으며 작년 초에 코로나19로 연료 가격이 한동안 떨어졌던 점도 영향을 미쳤다.


한편 지난 817일에 델타 바이러스가 확산되면서 내려졌던 전국적인 봉쇄령은 이번 9월 분기의 소비자 물가지수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일부 요소를 조정해 가중치를 부여해 산정했다고 통계 담당자는 설명했다.


 

COVID-19 몇 달 안에 뉴질랜드 다른 지역으로 퍼질 것

댓글 0 | 조회 5,181 | 2021.11.10
크리스 힙킨스 COVID-19 대응부… 더보기

Air NZ 국내선 여행자, 백신 접종 증명 또는 음성 결과 제공해야

댓글 0 | 조회 3,270 | 2021.11.10
에어뉴질랜드는 국내선 항공기를 이용하… 더보기

정부, 공공 서비스 계약자에 대한 생활 임금 보장

댓글 0 | 조회 3,015 | 2021.11.10
청소부, 케이터링 서비스 제공자, 경… 더보기

오클랜드와 와이카토 모든 학교, 11월 17일부터 등교

댓글 0 | 조회 3,520 | 2021.11.10
오클랜드와 와이카토의 모든 학교는 1… 더보기

11월 10일 새 커뮤니티 확진자 147명, 중환자실 11명

댓글 0 | 조회 3,978 | 2021.11.10
11월 10일 오후 1시 브리핑에는 … 더보기

북섬 킹 컨트리 지역 학교, 교사들 교실에 못 들어갈 수도..

댓글 0 | 조회 2,454 | 2021.11.10
북섬의 한 시골 지역인 킹 컨트리 지… 더보기

이상 고온으로 연일 뜨거운 날씨, 주말부터는 봄 날씨

댓글 0 | 조회 2,785 | 2021.11.10
이상 기온으로 때아닌 뜨거운 날씨와 … 더보기

오클랜드 또다른 요양 시설, 확진자 발생

댓글 0 | 조회 1,961 | 2021.11.10
또 다른 노인 요양 시설 레스트 홈에… 더보기

오클랜드 갤러리나 박물관, 개장 서두르지 않아

댓글 0 | 조회 1,449 | 2021.11.10
학교에 가지 못하는 자녀들을 둔 부모… 더보기

주택 평균 가격, 100만 달러 시대

댓글 0 | 조회 2,412 | 2021.11.10
사상 처음으로 평균 가격이 백 만 달… 더보기

총질로 무고한 고교생 죽인 범인 법정 출두 연기

댓글 0 | 조회 3,301 | 2021.11.09
크라이스트처치에서 파티 중이던 10대… 더보기

9월까지 연간 주택건축허가 25% 급증

댓글 0 | 조회 1,697 | 2021.11.09
지난 9월말까지 연간 기준 ‘신규주택… 더보기

헌신적 도움으로 건강 찾고 바다로 돌아간 물개

댓글 0 | 조회 1,184 | 2021.11.09
사람들에게 여러 달 동안 보살핌을 받… 더보기

10월 카드 지출 “8월 이전으로 회복됐다”

댓글 0 | 조회 1,189 | 2021.11.09
지난 10월에 국내 소비자들이 신용카… 더보기

11월 9일, 새 커뮤니티 확진자 125명, 병원 입원 79명

댓글 0 | 조회 4,245 | 2021.11.09
11월 9일 새 커뮤니티 확진자 등에… 더보기

부동산 첫 주택 구입자 증가

댓글 0 | 조회 3,399 | 2021.11.09
부동산 시장에서의 첫 주택 구입자들의… 더보기

다음 주 중, 오클랜드 경계 개방 시기 발표

댓글 0 | 조회 4,019 | 2021.11.09
Jacinda Ardern 총리는 다… 더보기

와이헤케 섬, 새 확진자 발생

댓글 0 | 조회 2,065 | 2021.11.09
오클랜드의 마운트 알버트 그래머 스쿨… 더보기

레벨 3, Step 2에서 할 수 있는 것과 할 수 없는 것

댓글 0 | 조회 10,483 | 2021.11.08
11월 9일 화요일 밤 11시 59분… 더보기

에어 뉴질랜드, 12월 6일부터 국내선 항공료 인하

댓글 0 | 조회 4,630 | 2021.11.08
11월 8일 월요일 오후 4시 브리핑… 더보기

오클랜드, 내일밤부터 레벨 3 Step2로 전환

댓글 0 | 조회 7,952 | 2021.11.08
[오후 5시 6분 업데이트] 오후 4… 더보기

불치병 환자를 위한 조력 죽음(Assisted dying), 엄격한 기준

댓글 0 | 조회 1,975 | 2021.11.08
보건부는 불치병 환자로 조력 죽음(A… 더보기

11/8 새 커뮤니티 확진자 190명, 병원 입원 81명

댓글 0 | 조회 4,562 | 2021.11.08
[1:59pm 최종 업데이트] 11월… 더보기

격리 시설(MIQ)에서, COVID-19 확진자 사망

댓글 0 | 조회 3,390 | 2021.11.08
정부가 관리하는 격리 및 검역 시설에… 더보기

이민 정책 사회적 상황과 별개로 운영,개선안 제시

댓글 0 | 조회 2,576 | 2021.11.08
이민 정책이 사회 간접 시설과 주택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