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CH ‘레드 존’의 마지막 주택 철거

CHCH ‘레드 존’의 마지막 주택 철거

0 개 2,150 서현

지난 2011크라이스트처치 지진 이후 지정된 ‘레드 존(red-zone)’에 남아있던 마지막 주택이 철거됐다.


920() 최종 철거가 이뤄진 거버너스(Governors Bay) 베이의 제퍼(Zephyr) 테라스에 서있었던 이 주택은 300m2 넓이의 침실 4~5개를 가진 3층에 달하는 대형 주택이다.


이 주택은 지난 1980년대 후반에 한 부부가 20헥타르에 달하는 가파른 언덕의 땅을 구입한 뒤 가족을 위한 꿈의 집을 지은 것으로, 안에는 직경이 6m에 달하는 지중해식 풍차를 본뜬 원형 탑(turret)도 들어서있다.


주택에서는 리틀턴(Lyttelton) 만을 비롯한 앞바다가 시원스레 내려다 보이며 주변에는 토종 덤불이 무성한 가운데 주인 부부가 키우던 호두와 헤이즐넛 나무가 자라고 있었고 정원에서는 라마도 함께 살고 있었다.


주인에 따르면 20109월에 한 차례 먼저 지진이 났을 당시에 폭스바겐 자동차만한 돌덩이가 집 근처 계곡으로 굴렀으며, 또한 이듬해 2월 지진에서는 절벽의 다른 부분도 붕괴됐지만 집은 간신히 살아남았다.


나중에 주인 부부는 안전하다는 지질 보고서를 받았기 때문에 이곳에서 영원히 살기를 원했는데, 그러나 몇 년 후에 결국 낙석 위험으로 인해 레드 존으로 재지정되었고 집을 팔 수밖에 없었다.


지난 2019년에 부부는 2007년 평가액인 95만달러의 정부 보상가를 받아들였다면서 멋진 정원을 비롯해 모든 것을 버려야 했으며 매우 고통스러웠다고 말했다.


이 집의 최근 공시가(rateable valuation)는 주택 68000달러를 포함71만달러였는데 한편 주인 부부는 라마와 함께 현재는 북섬으로 이주한 것으로 전해졌다.







크라이스트처치에서는 20112월의 지진 이후 지반 손상이나 낙석 위험으로 약 7500채에 달하는 주택들이 철거됐다.


Land Information NZ(Linz) 관계자는, 정부가 지난 10걸쳐 그중 3분의 1을 철거했으며 나머지는 대부분 보험사들이 처리했다면서, 이번에 철거된 주택이 우리에게는 마지막이었다고 말했다.


관계자는 평지에 있는 작은 집철거 비용은 2만달러 정도가 들지만 더 복잡한 부지는 수십만달러에 이를 수있다면서 이번 마지막 주택의 철거 비용은 중간 정도였다고 설명했다.


또한 이번 철거 작업에서 발생한 225m3에 달하는 콘크리트 폐기물(40피트 컨테이너 3상당)도로 작업 및 기타 용도사용된다고 덧붙였다.


한편 철거가 완료되면 토지 소유권은 크라이스트처치 시청으로 이전되며 인접한 포트 힐스(Port Hills) 자연구역으로 편입되는데, 제퍼 테라스는 로이터 파크(Reuter Park) 존구역과 접해있. (사진은 지진 당시 레드클리프스 지역의 무너진 절벽)

 

페이스북 사기 급증, 이용 시 주의해야

댓글 0 | 조회 2,963 | 2021.10.14
경찰은 크라이스트처치에서 여러 건의 … 더보기

레벨 3 규칙 위반하고 남섬 간 여성 2명, 법정 출두

댓글 0 | 조회 3,304 | 2021.10.14
경보 수준 3 규칙을 위반하고 블레넘… 더보기

10월 14일 새 확진자 71명, 모두 오클랜드

댓글 0 | 조회 9,461 | 2021.10.14
[2:10 최종 업데이트] 10월 1… 더보기

대형 건설업체, 건설 현장 근무자 백신 의무화 도입 요청

댓글 0 | 조회 2,236 | 2021.10.14
뉴질랜드 내 대형 건설업체와 건설 현… 더보기

"백신에는 바이러스 들어 있지 않아" 안전 강조

댓글 0 | 조회 2,248 | 2021.10.14
아직도 코비드-19 바이러스와 화이자… 더보기

시모어 당수, 자가 격리에 대한 과감한 정책 필요

댓글 0 | 조회 2,133 | 2021.10.14
자가 격리와 관련된 정부의 움직임에 … 더보기

커뮤니티 확진자 폭증 대비, 격리 시설 대신 자가 격리...

댓글 0 | 조회 3,200 | 2021.10.14
COVID-19 커뮤니티 감염자들은 … 더보기

10/13 새 확진자 55명, 와이카토 레벨 3- 5일 더 연장

댓글 0 | 조회 6,492 | 2021.10.13
[2:08pm 최종 업데이트] 10월… 더보기

최근 확진자 80% 백신 미접종자, 12세 미만은 342명

댓글 0 | 조회 2,804 | 2021.10.13
이번 델타 변이 발병의 확진자 사례들… 더보기

백신 접종이 일상 회복의 길, "Super Saturday"

댓글 0 | 조회 1,840 | 2021.10.13
아던 총리는 백신 접종이 취약한 사람… 더보기

최근 커뮤니티 발병 이후, 8천 5백 명 추가로 복지 수당 받아

댓글 0 | 조회 2,808 | 2021.10.13
델타 변이 발병 이후, 8천 5백 명… 더보기

슈퍼 토요일, 백신 접종 시 대중 교통 무료

댓글 0 | 조회 1,875 | 2021.10.13
오클랜드 시민들은 백신 접종을 하러 … 더보기

오클랜드 중소 상인들, 재무부가 "암담한 현실 못봐"

댓글 0 | 조회 2,585 | 2021.10.13
오클랜드의 중소 영세 상인들은, Gr… 더보기

남북섬 중간에서 규모 5.3 지진, 별 피해는 없어

댓글 0 | 조회 1,665 | 2021.10.12
남섬과 북섬 사이의 바다 밑에서 규모… 더보기

봉쇄령 속에서 주문 폭주한 도넛 업체

댓글 0 | 조회 5,731 | 2021.10.12
봉쇄령으로 자영업자들이 큰 어려움을 … 더보기

델타 바이러스로 8월 출입국자 급감

댓글 0 | 조회 2,168 | 2021.10.12
델타 바이러스 확산으로 한동안 일부 … 더보기

카드 지출액, 9월에 조금 늘었다

댓글 0 | 조회 1,322 | 2021.10.12
8월에 내려졌던 전국적인 봉쇄령으로 … 더보기

엉터리 거세 작업으로 황소에게 고통 안긴 남자들

댓글 0 | 조회 1,785 | 2021.10.12
황소를 거세시키는 작업을 제멋대로 실… 더보기

호주로 떠나는 이민자 소폭 늘어나

댓글 0 | 조회 3,166 | 2021.10.12
작년 초부터 코로나19 사태가 터지면… 더보기

10/12 보건부 브리핑 영상, 새 지역 확진자 43명

댓글 0 | 조회 5,582 | 2021.10.12
10월 12일 오후 1시, 보건부는 … 더보기

나머지 지역 보호 위해, 더 엄격한 국내 경계 요구

댓글 0 | 조회 2,626 | 2021.10.12
북섬에서 COVID-19 확진자가 계… 더보기

노스랜드 여행 확진자의 동반자, COVID-19 확진

댓글 0 | 조회 2,283 | 2021.10.12
보건부는 노스랜드로 여행했던 확진자의… 더보기

교직원 백신 접종 의무화, 11월 15일까지 1차 접종해야

댓글 0 | 조회 1,647 | 2021.10.12
학교장들은 정부의 1월 1일까지 교사… 더보기

오클랜드의 일부 지역, 통신사 시외 적용으로 요금 부과

댓글 0 | 조회 1,667 | 2021.10.12
일상에서 우리는 이야기하고 싶은 사람… 더보기

워킹홀리데이와 계절 근로자, 6개월 비자 연장

댓글 0 | 조회 2,011 | 2021.10.12
정부는 워킹홀리데이 비자와 계절적 워…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