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당, 소상공인들의 임대료를 위한 국가 지원 제안

국민당, 소상공인들의 임대료를 위한 국가 지원 제안

kimssyong외 1명
0 개 3,393 KoreaPost

8910940bbd1025f0d8c5acc5adf9dd3f_1631512229_3446.gif
 

뉴질랜드에 살고있는 한인 이민자들의 기업 정신은 그 명성을 알렸고, 많은 사람들이 여러 대도시 중심에서 자영업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들이 종사하고 있는 여러 종류의 사업 중, 많은 한국인들은 외식업을 택했습니다. 


뉴질랜드의, 특히 오클랜드의 많은 소상공인들은 이제 락다운 4주째에 접어들었고, 한인 소규모 사업들도 락다운으로 인해 가게 운영을 못하는 반면 렌트비는 그대로 다 감당해야 하는 어려움을 마주했습니다. 


이것은 가족 체계로 운영되는 가게인 경우 더욱더 감당하기 어려운 문제입니다. 가게가 문을 닫으면, 가족 모두의 생계가 어려워지기 때문입니다. 


한가지 더 짚고 넘어가야 할 것은, 다민족 분들이 운영하는 많은 사업체들이 그러하듯이, 한인 소상공인의 가게가 쇼핑몰 안에 위치한 경우가 많습니다 -그리고 이 가게들의 대다수는 대규모 다국적 회사가 소유하고 운영합니다. 그리고 이 회사들로부터 임대료 경감을 받는 방법은 어려웠습니다. 


내셔널 당 그림자 재무에 (National’s Shadow Tresurer) 앤드류 베일리는 (Andrew Bayly) 중소기업 임대 지원 패키지를 정부에 제안했습니다. 이 제안은 9월 1일에 발표되었고, 이번 락다운을 통해 중소기업들이 결국 문을 닫지 않도록, 이 시기를 이겨낼 수 있도록 돕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습니다. 


“코로나 델타 변이는 분명 이전과는 다른 상황이 만들어지는 것을 입증하고 있습니다. 우리는 이것으로 인해 계속되는 락다운을 볼 뿐만 아니라, 이전보다 더 심각한 락다운을 보게 될 것입니다.” 라고 베일리 의원은 말 합니다. 


225,000개의 사업체들이 2021년 코로나19 Wage Subsidy를 신청했고, 80만명정도의 고용인들이 포함된것으로 보여집니다. 베일리 의원은 이러한 사업체들이 현금 흐름 부족으로 인해 문을 닫게 될 경우 그것이 국가에 미칠 경제적 비용이 막대할것이고, 더 나아가 이 사업체가 이민 가족 체계로 이루어진 경우 더 큰 사회 및 의료비용이 발생할 것이라고 우려하고 있습니다. 


“우리는 중소기업들을 지켜내기 위해서 훨씬 더 체계적으로 움직여야합니다. 이미 늦은 뒤에 그들의 사업체들의 폐허를 다루기 보다는, 그들이 생존 할 수 있도록 해야합니다.”


정부가 최근에 내어준 해결책은 Resurgence Support Payment (RSP)를 소상공인들에 지급하는 것이지만, 이것은 일회적인 지원이고 보험료나 세금따위의 소액 밖에는 채워주지 못합니다. 사업자들에게 직원 고용 비 다음으로 가장 많이 금액이 드는 것은 렌트비입니다. 어떤 가게주인들은 렌트비를 조정해주었지만, 이것은 소수입니다. 


뉴질랜드 내셔널 당에서 제안하는 임대료 패키지 (National’s Rental Support Package)는 풀타임 직원이 19명 혹은 미만이고, 40프로 이상의 비지니스 손해를 본 레벨 3 또는 4에 있는 중소기업들을 지원합니다. 정부는 이들이 내야하는 렌트비 및 건물 관련 유지비의 50프로를 지원하고, 25프로는 가게주인이 절감을, 나머지 25프로는 사업자가 내는 방식이다.  


베일리 의원은 사업자와 가게주인 간의 분쟁을 해결하기 위한 정부의 대책은 중재자 역할이었지만, 이것은 그 어떤 시원한 해결책을 보장하지 못하며 양측 어느 한쪽이라도 동의하지 않을 경우에는 유효하지 않습니다. 


“상당 수의 가게주인들이 그들의 세입자들을 위한 배려를 보여준 경우가 있었습니다만, 많은 이들은 그러하지 못했습니다. 만일 가게 주인과 비지니스 세입자가 타협점을 찾지 못할 경우, 저희가 원하는 것은 향상된 중재 지원을 해서 모든 임대 분쟁이 신속하게 해결될 수 있을 해결책을 지원하는 것입니다.”

내셔널 당에서 제안하는 임대료 패키지 (National’s Rental Support Package)는 모든 중소기업의 어려움을 완화하고 실직자들이 늘어나는 연쇄 효과를 방지하기 위한 것입니다. 이로 인해서, 이민 가정들은 우리가 락다운을 벗어나 다시 일터로 돌아갈 때까지 그들의 생계를 유지할 수 있을 것입니다. 


제공: 멜리사 리 의원실


백신 접종률 가장 높은 곳 넬슨 리버랜드, 95% 완전 접종

댓글 0 | 조회 2,275 | 2021.10.08
보건부는 10월 6일의 백신 접종 통… 더보기

두 번째 락다운과 백신 반대 집회, 경찰 대책 마련 중

댓글 0 | 조회 3,014 | 2021.10.08
지난 주 토요일 오클랜드 도메인에서 … 더보기

오클랜드, 노스랜드, 와이카토에 폭우 주의보

댓글 0 | 조회 3,198 | 2021.10.08
목요일 밤 사이 오클랜드, 노스랜드,… 더보기

와이카토 경계 지역 확장, 잠재적 감염 경로 확인

댓글 0 | 조회 2,533 | 2021.10.07
오클랜드에서 발생한 델타 변종 바이러… 더보기

주요 COVID 테스트 제공업체, 콜센터 직원 확진

댓글 0 | 조회 2,614 | 2021.10.07
뉴질랜드의 주요 COVID 테스트 센… 더보기

제트파크 호텔 격리 시설 5개 객실, 최근 손님에 의해 손상

댓글 0 | 조회 2,520 | 2021.10.07
격리 시설로 이용되고 있는 제트파크 … 더보기

노스랜드를 여행한 필수 근로자, 재검사에서도 '양성'

댓글 0 | 조회 2,437 | 2021.10.07
이번 주 초 황가레이에서 약한 양성 … 더보기

10/7 새 지역 확진자 29명, 타액 검사 시범 운영

댓글 0 | 조회 6,228 | 2021.10.07
[2:36pm 최종 업데이트] 10월… 더보기

사망한 50대 확진자의 부인, 병원에서 바이러스와 싸우고 있어

댓글 0 | 조회 4,728 | 2021.10.07
10월 6일 수요일, 최근 커뮤니티 … 더보기

오클랜드 국회의원, 웰링턴에서 5일 격리 후 국회 복귀

댓글 0 | 조회 2,026 | 2021.10.07
오클랜드를 제외한 나머지 지역이 레벨… 더보기

파머스톤 노스 풍력 발전소, 터빈 1개에 화재 발생

댓글 0 | 조회 1,561 | 2021.10.07
Palmerston North 근처에… 더보기

"교사 백신 접종 서둘러야", 접종 의무화 고려 중

댓글 0 | 조회 1,921 | 2021.10.07
교사들에게 백신 접종을 서두르도록 지… 더보기

1, 2차 백신 접종 간격 3주, "더 빠른 접종" 독려

댓글 0 | 조회 2,328 | 2021.10.07
뉴질랜드의 1차와 2차 백신 접종 간… 더보기

오클랜드 타마키 백신 센터, 금요일 밤샘 백신 접종

댓글 0 | 조회 1,674 | 2021.10.07
오클랜드 타마키 백신 센터는 오클랜드… 더보기

와이카토 확진자 발생 우려, "북섬 전체 레벨 3로" 요청

댓글 0 | 조회 2,706 | 2021.10.07
와이카토의 레벨3 지역 이외에서 두 … 더보기

황가레이 필수 근로자, 약한 양성 결과로 재검사 중

댓글 0 | 조회 3,480 | 2021.10.06
오늘 오후 1시 브리핑에서 발표된 3… 더보기

50대 사망 확진자, 미들모어 병원 40일 동안 입원

댓글 0 | 조회 4,168 | 2021.10.06
보건부는 10월 6일오후 1시 브리핑… 더보기

기준금리 0.25%에서 0.50%로 7년 만에 처음 인상

댓글 0 | 조회 4,421 | 2021.10.06
뉴질랜드 중앙은행이 마침내 ‘기준금리… 더보기

포도밭에 등장한 초대형 헤어드라이어

댓글 0 | 조회 3,401 | 2021.10.06
남섬 북부 말버러(Marlboroug… 더보기

10/6 새 지역 확진자 39명(와이카토 9명), 사망자 1명 발생

댓글 0 | 조회 4,856 | 2021.10.06
[오후 2시 39분 업데이트] 10월… 더보기

백신 접종하면 케밥 무료 제공, 접종자를 위한 특별 보너스

댓글 0 | 조회 4,738 | 2021.10.06
백신 접종자에게 이번 여름의 행사나 … 더보기

오클랜드, 9월 한달 13,400개 비지니스 폐업

댓글 0 | 조회 4,769 | 2021.10.06
COVID-19 락다운에 즉각적으로 … 더보기

레벨 3 완화된 제한, "야외에서 2가구 10명까지"

댓글 0 | 조회 3,639 | 2021.10.06
오클랜드는 어제 밤 자정부터 조금 완… 더보기

뉴질랜드의 COVID-19 대응, 제거 작전으로부터 전환

댓글 0 | 조회 3,301 | 2021.10.06
코로나 바이러스 제거 작전이 그동안 … 더보기

와이헤케 섬 주민들, 오클랜드 지역 경계 원하고 있어

댓글 0 | 조회 2,554 | 2021.10.06
와이헤케 섬 주민들은 레벨 3의 오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