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15일] 새 확진자 3명, 해외 입국자로 격리 중

[9월 15일] 새 확진자 3명, 해외 입국자로 격리 중

0 개 4,566 노영례

fe00275b7adf8164f98192f645bc102f_1600134104_1268.png
보건부는 오늘 새로운 확진 환자가 3명이라고 발표했다. 새로운 감염자는 모두 해외 입국자로 격리 중이며, 커뮤니티 감염 사례는 없다.
 


새로운 감염자는 9월 9일 두바이에서 함께 도착한 30대 남성과 2명의 자녀이다. 그들은 로토루아의 이비스 호텔에서 격리 중 3일차 검사에서 확진되었다.


오클랜드 검역 시설에는 커뮤니티 클러스터에 연결된 56명의 사람들이 남아 있으며 여기에는 확진자 26명과 그들의 가족 사례이다.


8월 11일 이후 접촉 추적을 통해 3,779건의 가까운 접촉 사례가 확인되었으며, 이 중 3,772건의 접촉자들이 연락이 닿아 자가 격리 중이다.


병원에는 4명이 입원해 있다. 1명은 오클랜드 시티 병원의 격리 병동에 입원해 있고, 1명은 미들모어의 격리 병동에 입원해 있다.  노스쇼어와 와이카토 병원의 중환자실에 각각 1명씩 입원 치료 중이다.


지난 24시간 동안 16명의 환자가 회복되어, 현재 남아 있는 총 활성 확진 사례 수는 83명이다.  이중 28건은 해외 입국자로 격리 시설에서 확진된 사례이고, 55건은 커뮤니티 감염 사례이다.


뉴질랜드에서의 COVID-19 총 확진자 수는 현재까지 1,450명이다.


어제 하루 4,402건의 검사가 처리되었고, 지금까지 총 872,444건의 검사가 완료되었다. 


타카푸나 Les Mills 체육관 확진자 방문, 밀접 접촉자 94명

오클랜드 격리 시설인 제트 파크 호텔에서 근무한 의료 종사자가 COVID-19에 어떻게 감염되었는지에 대한 조사가 진행 중이다.  이 의료종사자는 지난주에 Takapuna Les Mills 체육관을 방문하여 3개의 수업에 참석했고 밀포드에 있는 The Warehouse와 Countdown을 방문했다.


어제 보고된 바와 같이,이 사례는 오클랜드 크러스터와 역학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오클랜드 검역 시설인 제트 파크 호텔에 격리 중인 세 명의 확진 사례와 게놈 시퀀싱 결과 가장 밀접한 연관이 있다.


보건부는 이러한 상황은 격리 시설에서 바이러스에 노출되었을 가능성이 가장 높다는 것을 나타내지만, 기존 사례와의 명확한 역학적 연관성을 밝히기 위해 여전히 조사하고 있다. 


체육관의 확진 사례의 연락처는 오클랜드 지역 공공 보건위원회 직원이 추적 확인 중이다. 72명의 밀접한 접촉이 확인되었지만, 현재까지 94명까지 접촉자가 늘어날 것으로 간주되고 있다. 이 중 71 명은 연락이 닿아 자가 격리에 들어갔지만, 최종저긍로 확인된 일부 밀접 접촉자에게는 아직 연락이 완료되지 않았다. 접촉자들 대부분은 이미 검사를 완료했다.


현재 보건부에서는 레즈 밀스 체육관에서의 우연한 접촉으로 간주되는 경우에도 누구나 COVID-19검사를 받으라고 권고하고 있다.



뉴질랜드의 새로운 확진자를 포함한 모든 확진자에 대한 정보는 아래의 링크를 통해 확인해볼 수 있다.( 이 페이지에서는 보건부 브리핑이 끝난 후 매일 시간차를 두고 업데이트된다.) 


보건부 업데이트 페이지 ▶ https://www.health.govt.nz/our-work/diseases-and-conditions/covid-19-novel-coronavirus/covid-19-current-cases

코로나바이러스(COVID-19)에 관한 다른 정보는 정부 공식 사이트 covid19.govt.nz 에서 찾아볼 수 있다.​ 보건부에서는 3월 26일부터 웹사이트에서 각 지역별 확진자수를 지도에 알아보기 쉽게 표시해 알리고 있다.


fe00275b7adf8164f98192f645bc102f_1600133977_5858.png
fe00275b7adf8164f98192f645bc102f_1600133977_5052.png
fe00275b7adf8164f98192f645bc102f_1600133977_5346.png
fe00275b7adf8164f98192f645bc102f_1600133977_5629.png
 


[10월 3일] 새 확진자 1명, 해외 입국 사례

댓글 0 | 조회 2,275 | 2020.10.03
보건부는 10월 3일 새 확진자가 1… 더보기

오늘 밤 9시부터 하버 브리지 차선 폐쇄, 대중 교통 옵션은?

댓글 0 | 조회 4,352 | 2020.10.03
오클랜드 교통국(AT)은 이번 주말에… 더보기

오클랜드 폐수장 연못, 1 헥타르 태양광 패널 시스템

댓글 0 | 조회 1,769 | 2020.10.03
오클랜드 폐수장 연못의 1헥타르 면적… 더보기

오늘부터 사전 투표 시작, 450개 투표소 열려

댓글 0 | 조회 2,331 | 2020.10.03
선거와 국민 투표를 위해 450개의 … 더보기

[10월 2일] 새 확진자 없음, 활성 확진자수 43명

댓글 0 | 조회 2,003 | 2020.10.02
보건부는 10월 2일 새 확진자가 없… 더보기

10월 2일 “신규 지역감염자는 없었지만 귀국자 12명이 양성”

댓글 0 | 조회 2,708 | 2020.10.02
어제 ‘코로나19’ 지역감염자는 없었… 더보기

주거용 건축허가 “타운하우스와 플랫 등 크게 늘었다”

댓글 0 | 조회 2,986 | 2020.10.02
지난 8월까지 전국에서 연간 3만70… 더보기

유명인사 이름 갖게 된 희귀한 ‘아기 키위’

댓글 0 | 조회 1,876 | 2020.10.02
희귀한 키위 한 마리가 태어난 가운데… 더보기

루아페후에서 등반 중 추락사한 여성 신원 공개

댓글 0 | 조회 2,606 | 2020.10.02
지난 9월 26일(토) 정오 무렵에 … 더보기

약물 복용한 어린이 병원으로 실려가

댓글 0 | 조회 2,429 | 2020.10.02
오클랜드에서 한 어린이가 마약 성분의… 더보기

오클랜드, 예년보다 더 건조한 날씨 두려워

댓글 0 | 조회 2,654 | 2020.10.02
10월 첫 주는 전국적으로 맑고 따뜻… 더보기

소규모 사업체 회복 조사, 19%만 지원받고 있다고 느껴

댓글 0 | 조회 1,939 | 2020.10.02
American Express가 실시… 더보기

ANZ, 기업 신뢰 지수 2월 이후 최고치

댓글 0 | 조회 1,584 | 2020.10.02
ANZ은행은 기업 신뢰 지수가 2월 … 더보기

보건부, 탑승 전 검사 의무화 방안 제시

댓글 0 | 조회 1,939 | 2020.10.02
보건부는 뉴질랜드 국경 통제의 수단으… 더보기

중국계, 국민당 지지자들 엑트당으로 이동 추이

댓글 0 | 조회 2,362 | 2020.10.02
중국계 사람들을 대상으로 한 여론 조… 더보기

유튜브로 집수리 등 따라하기, 안전은 전문가에게 의뢰해야

댓글 0 | 조회 1,969 | 2020.10.02
YouTube를 통하여 애완동물들의 … 더보기

호주로의 여행, 가능성 높은 계획으로...

댓글 0 | 조회 1,936 | 2020.10.02
아직 비행기 좌석을 예약하기는 좀 이… 더보기

오클랜드 철로망 투자 제대로 안돼, 심각한 문제

댓글 0 | 조회 1,473 | 2020.10.02
키위레일은 오클랜드 지역의 철로망에 … 더보기

지난 3년 동안 최대 불법 조개류 채취, 어느 정도일까?

댓글 0 | 조회 2,113 | 2020.10.02
피피 등 조개류의 1일 어획량은 지역… 더보기

7년 전 사라진 고양이, 다시 돌아와

댓글 0 | 조회 1,951 | 2020.10.02
크라이스트처치의 한 가족은 7년 전에… 더보기

오클랜드 남부 고속도로 사고, 일부 차선 폐쇄

댓글 0 | 조회 1,951 | 2020.10.02
오클랜드 남부 고속도로에서 교통 사고… 더보기

[10월 1일] 새 확진자 12명, 모두 격리 중

댓글 0 | 조회 7,316 | 2020.10.01
보건부는 10월 1일 새 확진자가 1… 더보기

여론 조사, 대마초 법안은 '반대' 존엄사 법안은 '찬성'

댓글 0 | 조회 2,995 | 2020.10.01
최근 뉴스허브 레이드-리서치 여론조사… 더보기

한 남성, 미망인 장모의 돈 140만 달러 훔친 후 수감

댓글 0 | 조회 2,768 | 2020.10.01
한 남성이 미망인이 된 장모님으로부터… 더보기

키위 절반 이상, 지금은 소득세 인하 논할 때 아니라고...

댓글 0 | 조회 2,783 | 2020.10.01
키위들의 절반 이상이 지금은 소득세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