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병가' 변경 제안, 시간제 근로자에게는...

정부 '병가' 변경 제안, 시간제 근로자에게는...

0 개 1,866 노영례

cbc9946dfd7f285ed0c298ca61e2c12a_1717723089_77.png
 

정부는 병가(Sick Leave) 규정 변경을 제안했는데, 이는 시간제 근로자가 더 적은 혜택을 받을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고 RNZ에서 보도했다. 


현재 규칙에 대해 알아야 할 사항과 제안된 변경 사항이 어떻게 작동할 수 있는지는 아래와 같다. 


현재 규칙은 무엇인가?

현재 정규 직원(Full-Time) 뿐만 아니라 시간제 직원(Part-Time)과 임시직 직원(Casual Employees)을 포함한 모든 사람은 한 고용주 아래에서 6개월 동안 지속적으로 근무하고 주당 평균 10시간을 일한 경우, 연간 10일의 병가(Sick Leave)를 받을 수 있다. 


그 후 매년 그들은 추가로 10일의 병가(Sick Leave)를 받을 자격이 있다. 공휴일법에 따라 누적될 수 있는 휴가 일수는 20일로 제한되어 있지만 고용주와 직원은 이보다 더 많은 휴가를 협의할 수 있다.


고용 계약에 명시되어 있지 않은 한, 직장을 그만둘 때 병가에 대한 돈이 지급되지는 않다.


아픈 '날(Day)'로 간주되는 것은?

공휴일법은 시간이 아닌 일수를 명시하고 있다.


하루 중 일부만 일하고 아파서 집에 간다면 이는 하루 종일 병가(Sick Leave) 로 간주될 수 있다.


고용주와 직원은 그게 더 낫다면, 병가 자격을 몇 시간 또는 하루 단위로 설명하는 데 동의할 수 있다.


파트타임 근로자의 병가 일수는 왜 동일한가?

고용주 옹호론자들은 이론적으로 주당 하루 10시간 일하는 사람이 현행 규정에 따라 10주치 병가 수당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은 불공평하다고 주장해 왔다.


그러나 뉴질랜드 노조협의회 정책 책임자이자 수석 경제학자인 크레이그 레니는 시간제 근로자들이 더 많은 급여를 받는다고 말하는 것은 공정하지 않다고 말했다.


병가는 일반적으로 근무한 시간에 대해서만 지급되므로 파트타임 근로자는 일반적으로 하루 종일 근무하지 않는 경우 더 적은 금액을 받는다. 누군가가 일주일에 하루 일한 경우에도 하루에 대해서만 급여를 받게 된다.


하루에 4시간 일하면 그 4시간 동안만 병가를 받을 수 있고, 일부 사람들이 믿는 것처럼 8시간이 아니라며 이는 병가를 받을 수 있는 기회에 관한 것이라고 크레이그 레니는 말했다. 그는 질병이 근로자 유형을 차별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무엇이 제안되고 있나?

직장 관계부의 브룩 반 벨덴 장관은 근무 시간에 비례하여 병가 자격을 부여할 것을 제안했다.


그녀는 시간제 근로자에 ​​의존하는 작업장은 예상치 못한 인력 부족에 특히 취약하고, 이 문제를 더 자세히 조사하기 위해 협의용 공개 초안에는 직원의 근무 시간을 더 잘 반영하기 위해 병가를 비례 배분(Pro-Rating Sick Leave)하는 제안된 접근 방식이 포함될 것이라고 말했다.


비례(Pro Rata)가 의미하는 것은?

pro-rata는 비례 배분을 설명하는 데 사용되는 용어이다. 누군가가 파트타임 임금을 받고 있고 그 급여가 정규직 임금의 일정 비율에 비례한다는 말을 자주 듣는다. 이 경우 시간제 근로자가 근무한 시간 또는 일수에 따라 전체 병가 자격의 일정 비율을 받게 된다는 의미일 수 있다.


아르바이트를 두 개 하면 정말 병가를 두 배로 받을 수 있나?

직원의 휴가 자격은 보유한 각 직업에 적용된다. 따라서 두 개의 파트타임 직업이 있는 경우 두 직업 모두에 대해 병가 및 연차 휴가를 받을 수 있다. 


병가는 일반적으로 회사에서 지급되는 것으로 그날 일했다면 받을 수 있는 급여이다. 따라서 화요일 오전에 한 직장, 화요일 오후에 한 직장에서 일하지만 화요일에 아프면 자격을 충족한다. 


새로운 병가 기준으로 하루 동안 병가를 내고 첫 번째 직업에 대해 해당 일하는 시간에 대한 급여를 받고, 두 번째 직업에 대해서도 병가를 내고 해당 일하는 시간에 대한 급여를 받을 수 있다.

전동스쿠터 충돌사고, 크라이스트처치에서 1명 사망

댓글 0 | 조회 853 | 2024.06.15
남섬 크라이스트처치에서 전동스쿠터가 … 더보기

로또, 2016년부터 시작한 티켓 구매 서비스 종료 발표

댓글 0 | 조회 3,435 | 2024.06.15
로또(Lotto)는 티켓 구매 서비스… 더보기

웰링턴 남성, 마약 대량 수입 혐의로 기소

댓글 0 | 조회 537 | 2024.06.15
경찰과 뉴질랜드 세관의 합동 작전에 … 더보기

황가누이 강에서 실종 남성 시신 발견

댓글 0 | 조회 475 | 2024.06.15
경찰이 북섬 황가누이 강에서 수영을 … 더보기

토요일 아침 캔터베리 3.4 지진

댓글 0 | 조회 408 | 2024.06.15
토요일 오전, 2800명 이상이 캔터… 더보기

CHCH 도심 공원에 ‘늑대’와 ‘코요테’가…

댓글 0 | 조회 2,082 | 2024.06.14
크라이스트처치의 보타닉 가든과 피크닉… 더보기

6월 14일 개장 연기한 Mt. Hutt, 올해부터는 ‘카풀우선제’ 도입

댓글 0 | 조회 1,228 | 2024.06.14
캔터베리의 ‘마운트 헛(Mt Hutt… 더보기

NZ 연합정부 “가축 트림세 도입 전면 철회”

댓글 0 | 조회 849 | 2024.06.14
뉴질랜드 정부가 세계 최초로 도입하려… 더보기

해외 장기거주 목적으로 출국하는 키위 “사상 최대 숫자 기록”

댓글 0 | 조회 1,906 | 2024.06.14
(도표) 올해 4월까지 부문별 연간 … 더보기

한반도 인근에서 대북 제재 감시하는 NZ 공군

댓글 0 | 조회 966 | 2024.06.14
유엔의 대북 제재 이행 감시 활동에 … 더보기

전국 곳곳 '불안한 날씨' 이어질 듯

댓글 0 | 조회 1,152 | 2024.06.14
MetService는 전국 일부 지역… 더보기

매시대학 온라인 시험 시스템 문제, 학생들 스트레스

댓글 0 | 조회 819 | 2024.06.14
이번 주 온라인 시험 시스템 문제의 … 더보기

마이클 힐 보석 매장 대낮 강도, 5명 체포

댓글 0 | 조회 1,551 | 2024.06.14
지난 4월 오클랜드 마이클 힐 보석 … 더보기

덴마크 "너무 매워서" 삼양라면 리콜, 뉴질랜드에서도 조사 중

댓글 0 | 조회 2,800 | 2024.06.14
뉴질랜드 식품 안전국은 높은 수준의 … 더보기

럭슨 총리와 중국 리창 회담, '중국에 대한 무비자 입국 신호'

댓글 0 | 조회 804 | 2024.06.14
크리스토퍼 럭슨 총리는 리창 중국 총… 더보기

광산회사, 웨스트 코스트 특별 석탄지대 추진

댓글 0 | 조회 420 | 2024.06.14
이번 주 그레이마우스에서 열린 공청회… 더보기

오클랜드, 목요일밤 뇌우주의보

댓글 0 | 조회 2,218 | 2024.06.13
목요일 밤부터 금요일 아침까지 오클랜… 더보기

와나카 헬기 추락 사고 최종 보고서, '헬기 도어' 경고

댓글 0 | 조회 851 | 2024.06.13
교통사고조사위원회(Transport … 더보기

오클랜드, 차로 경찰 친 남성 총에 맞아

댓글 0 | 조회 1,571 | 2024.06.13
목요일 아침 오클랜드 시골 아휘투(Ā… 더보기

경찰 사칭 사기꾼 주의, "AK 노인 수만 달러 사기 당해"

댓글 0 | 조회 1,587 | 2024.06.13
사기꾼들이 경찰 행세를 하며 사람들의… 더보기

정부, '속도 제한 감소' 취소

댓글 0 | 조회 1,609 | 2024.06.13
정부는 공개 협의를 위해 목요일에 발… 더보기

부동산 가격 상승 '둔화', 일부 지역에서 하락

댓글 0 | 조회 1,493 | 2024.06.13
부동산 시장은 계속 회복세를 보이고 … 더보기

700만불 이상 잘못 청구한 키위뱅크 “공정거래법 위반 고발”

댓글 0 | 조회 1,737 | 2024.06.11
상업위원회가 공정거래법을 오랜 기간에… 더보기

경찰 “톰 필립스와 아이들 찾을 수 있는 정보에 8만불 현상금”

댓글 0 | 조회 1,432 | 2024.06.11
경찰이 아빠와 함께 실종된 마로코파(… 더보기

한국 주둔 병력 대폭 늘리는 NZ 방위군

댓글 0 | 조회 2,134 | 2024.06.11
뉴질랜드 정부가 현재 한국에 주둔 중…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