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수 처리, 선택의 문제가 아니다

정수 처리, 선택의 문제가 아니다

0 개 1,060 노영례

 헤이스팅스 해브락 노스 지역에서의 식수 오염으로 인한 지역 주민들 5,000명 가까이 위장 장애를 겪는 일이 발생한 후 이 지역 카운실에서는 많은 비용을 들여 수습을 하고 있다.   뉴질랜드 해럴드지의 "Treating water not a question of choice"라는 기사를 통해 식수 처리에 대한 또다른 관점을 엿볼 수 있다. 

-번역 Julia KIM

6a5cc785d410a7a04cc7f9b5cc6e168f_1473322409_3803.jpg
 

영향력 없는 카운슬로부터 수돗물 불소 처리 결정권을 빼앗은 것은 잘한 일이다.

 

몇주 전에, 해브락 노스의 상수도의 대장균으로 인한 식중독이 발생했을 때, 우리는 다음과 같은 질문을 던졌다. 어떻게 뉴질랜드에서 이런 일이 일어날 수 있는가?

 

이 질문은, 뉴질랜드의 상수도가 아주 깨끗해서 대장균이 들어갈 수 없다고 생각해서가 아니다. 우리 같은 세계 최고의 나라에서 모든 상수도가 약품처리 되어야 한다는 생각 때문이다.

 

혹스베이 대수층 오염에 관한 기사를 읽으면서 오클랜드 사람들은 물론, 많은 사람들이 가장 놀랍게 생각하는 것은, 이 나라의 모든 지역 급수가 다 염소 처리 되고 있지 않다는 것이다. 

 

심지어 크라이스트처치 같은 규모의 도시에서도, 캔터배리 평원 아래 지하수가 자갈에 의해서 매우 잘 정화되고 있다고 여기기 때문에 특별히 정수 처리를 하지 않는 것 같다.                                                                                                                     

해브락 노스 전역에서 발생한 식중독에 관한 가장 시급한 문제는, 어떻게 세균이 물에 들어갔는가가 아니라, 모든 상수도를 정수 처리 해야 하는가 하는 문제이다. 해브락 노스 관할 헤이스팅스 카운슬은 이 문제를 시급하게 생각하지 않는 것 같다.

 

심지어 정부 기관에 의한 조사에서도 이것은 첫 번째 질문이 아니었다.

 

그들은 상수도 오염이 어떻게 발생했는지 원인 규명에만 집착하고 있다. 농경 지대의 지하 20미터의 지하수는 습한 기후, 투과성 토지, 지진활동 등에 의해 충분히 오염될 수 있다는 점이 그리 놀랄 만한 일이 아닌데 말이다.

 

세균이 어떻게 들어갔는지 아무도 확실히 알 수는 없다.  

 

그것이 누군가의 잘못으로 밝혀지든 아니면 일 이주일 전에 혹스베이에 내린 폭우나 폭설 때문이든, 그것이 상수도 정수 처리를 하지 않을 이유가 될 수 있을까, 지금부터?

 

답은 명확해 보인다, 하지만 물에 관한 문제가 제기 될 때마다 늘 그랬듯이, 자연수를 원하는 사람들이 반대할 것이다. 크라이스트처치나 그 외 작은 도시에서는 여전히 사람들이 반대할 것을 두려워하여 염소처리를 하지 않고 있다.

 

물에서 소독약 냄새가 난다고 불평하는 사람들이 있을 것이다. 해브락 노스의 한 여성이 불평했듯이, 머리카락에도 좋지 않다고 할 것이다. 카운슬은 강한 소수의 의견에 정부보다 더 민감하다.

 

카운슬은 더 낮은 수의 참여자의 투표에 의해 선출되며, 이 일에 관심이 없는 대다수의 사람들보다 강한 의견을 가진 소수의 사람들이 투표에 참여할 가능성이 훨씬 크다.

 

그래서 정부가 수돗물 불소 첨가 문제를 카운슬로부터 보건위원회에게 넘긴 것은 잘한 일인 것이다. 만일 보건위원회에서 결정한다면, 아마 모든 지역에서 수돗물은 염소 처리 될 것이다.

 

4월에 발표된 보건부의 “식수 지침서”에 따르면, 매년 뉴질랜드 전역에서 식수에 의한 위장관 질환이 18,000에서 34,000건에 이른다.

 

2005년에 뉴질랜드 식수 기준이 발표되었을 때, 헤이스팅스를 포함한 많은 카운슬이 수돗물 염소 처리에 강하게 반대하였으며, 그것을 의무적으로 꼭 따르지 않아도 되도록 했다.

 

2007년의 보건부 식수 개정안에서는, 물 공급 회사는 단지 “기준에 부합하기 위한” “실제적인 단계”를 거칠 것만을 권고했다.

 

그 법안은 다시 개정되어야만 한다.

 

이번 해브락 노스의 경험으로 봐서, 정수 처리는 반드시 의무화 해야 한다. 

모든 곳에서 식수는 안전해야 한다.

남섬 서부 일부, 악천후 경고

댓글 0 | 조회 455 | 14시간전
일요일부터 월요일까지, 활발한 기상 … 더보기

마이클 힐 보석상 턴 강도, 2년 4개월 징역형

댓글 0 | 조회 756 | 15시간전
판사는 보석상을 강탈한 청소년 범죄자… 더보기

북섬 동부 해안 지역 홍수, 7일 동안 최대 336mm 비 내려

댓글 0 | 조회 763 | 15시간전
북섬 동부 해안 지역에 폭우가 쏟아져… 더보기

청소년 이상 성인, COVID-19 관련 GP 방문 유료화

댓글 0 | 조회 840 | 17시간전
청소년 이상 성인이 COVID-19 … 더보기

글렌필드 여성 사망, 한 남성 살인 혐의로 기소

댓글 0 | 조회 1,543 | 17시간전
오클랜드 노스쇼어에서 한 여성이 사망… 더보기

키위뱅크, "내년 금리 인하" 전망

댓글 0 | 조회 974 | 17시간전
기업과 가계는 2025년까지 높은 금… 더보기

오클랜드 시의회, 6.8% 세금 인상 포함 10년 예산 채택

댓글 0 | 조회 489 | 17시간전
오클랜드 시의회(Auckland Co… 더보기

오클랜드, 세계에서 가장 살기 좋은 도시 순위 10위 유지

댓글 0 | 조회 2,730 | 2일전
오클랜드는 2024년 세계에서 가장 … 더보기

오클랜드, 출근길에 흉기에 찔린 한국인 남성

댓글 0 | 조회 5,107 | 2일전
오클랜드에 사는 한 한국인 남성이 마… 더보기

아시아계 대상 범죄, 지난 6년 동안 증가

댓글 0 | 조회 1,865 | 2일전
뉴질랜드에서 범죄를 경험한 아시아계 … 더보기

마타리키 아침, 전국 대부분 맑은 날씨

댓글 0 | 조회 492 | 2일전
마오리 설날로 공휴일인 6월 28일 … 더보기

20년 동안 뉴질랜드에서 살아온 부부, 추방 지시에 절망

댓글 0 | 조회 3,686 | 2일전
가족 중 사랑하는 두 사람이 뉴질랜드… 더보기

대규모 태양광 발전소에 대한 국가적 지침 요구

댓글 0 | 조회 415 | 2일전
캔터베리 카운실은 캔터베리 지역의 태… 더보기

마웅아누이 일부 지역에 6층 건물 허용

댓글 0 | 조회 444 | 2일전
크리스 비숍 장관이 논란의 여지가 있… 더보기

마타리키 앞두고, 노스랜드 1번 국도 재개통

댓글 0 | 조회 396 | 2일전
6월 28일 금요일은 마오리 설날 마… 더보기

토마토뉴질랜드협회, 한인농가 대상으로 3번째 워크샵 가져.

댓글 0 | 조회 1,621 | 3일전
토마토뉴질랜드협회는 한인농가를 대상으… 더보기

주뉴질랜드대사관, '뉴질랜드 수상안전 온라인 세미나'개최

댓글 0 | 조회 545 | 3일전
주뉴질랜드대사관(대사 김창식)은 오는… 더보기

우울증으로 세 딸 살해한 엄마 "18년 징역형 선고"

댓글 0 | 조회 2,404 | 4일전
자신의 어린 딸 셋을 살해해 전 국민… 더보기

경찰관 사칭해 노인 상대 30만 달러 사기 친 사기꾼

댓글 0 | 조회 1,106 | 4일전
주로 노인들을 상대로 경찰관을 사칭해… 더보기

월간 수출액 “처음으로 70억 달러 넘었다”

댓글 0 | 조회 671 | 4일전
뉴질랜드의 월간 수출액이 처음으로 7… 더보기

제멋대로 전기 공사 벌여 집주인 위험에 빠뜨린 무자격 작업자

댓글 0 | 조회 1,648 | 4일전
무자격으로 주택 전기 공사를 하는 바… 더보기

실종 낚시꾼 3명, 이틀 만에 시신으로 발견

댓글 0 | 조회 1,405 | 4일전
북섬 동해안에서 낚시에 나섰다 돌아오… 더보기

차로 위장한 밀반입 담배와 제조 기계

댓글 0 | 조회 793 | 4일전
크라이스트처치에서 차(tea)로 위장… 더보기

GDP “3월 분기에 0.2% 성장세로 반전”

댓글 0 | 조회 192 | 4일전
(도표) 분기 및 연간 GDP 성장률… 더보기

형광조끼까지 걸치고 설치는 전선 도둑들

댓글 0 | 조회 657 | 4일전
전력선(구리선) 도둑들이 합법적인 전…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