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질랜드 주요 도시 해안가, '가라앉고 있다'

뉴질랜드 주요 도시 해안가, '가라앉고 있다'

0 개 1,242 노영례

d9fc0229fe93e0fc0f481a22749a2745_1744028686_1168.jpg
 

최신 위성 데이터 분석 결과, 뉴질랜드의 주요 도시 해안 지역이 매년 수 밀리미터씩 가라앉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구 해수면 상승과 맞물려, 해당 지역이 해양 재해에 더 빨리, 더 심각하게 노출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해수면 상승, 이제는 '상대적 상승률'이 관건

지구 평균 해수면은 1900년 대비 약 18cm 상승했으며, 연간 상승 속도도 4.4mm로 가속화되고 있다. 이 수치는 언뜻 적어 보일 수 있지만, 이미 폭풍 해일이나 만조로 인한 피해를 증폭시키고 있다.


하지만 문제는 여기서 그치지 않는다. 뉴질랜드 해안의 일부 지역에서는 해안선 자체가 침하되고 있다. 즉, 해수면이 오르는 동시에 땅이 내려앉고 있는 것이다.


이중 효과(Double effect)로 인해 상대적인 해수면 상승률(relative sea-level rise)은 훨씬 더 가파르게 나타난다. 이는 해안 기반 시설과 주거 지역에 장기적인 위협으로 작용할 수 있다.


'크라이스트처치, 연간 최대 8mm 침하', 지진 영향 지속

오클랜드대학 등 뉴질랜드 연구진이 발표한 이번 연구는, 기존보다 훨씬 정밀한 위성 레이더 기술(InSAR)을 이용해 10m 간격으로 전국 해안선 침하율을 분석했다. 이전 연구는 2km 간격으로 측정된 것이었다.


대표적인 사례는 크라이스트처치의 사우스쇼어(Southshore)와 뉴 브라이튼(New Brighton) 지역이다. 이곳은 2011년 대지진의 진앙지에 가까운 모래 언덕 지형 위에 형성된 지역으로, 지각이 여전히 응력 해소 과정을 겪으며 가라앉고 있는 중이다.


일부 지역은 연간 최대 8mm 침하했는데, 이는 도시 내에서 가장 빠른 속도 중 하나다.


주요 도시 침하율 및 예상 해수면 상승량

연구진은 뉴질랜드 5대 도시의 침하율을 밀리미터 단위 정밀도로 측정했다. 도심 지역의 포장도로, 건물 표면 등은 위성 레이더 반사를 잘 일으켜 측정 정확도가 높았다.


연간 도시별 침하율:

  • 크라이스트처치: 3.6mm  
  • 웰링턴: 2.4mm  
  • 더니든: 1.6mm  
  • 오클랜드: 1.5mm  


이를 해수면 상승률과 결합하면, 상대적 해수면 상승률은 연간 7mm 이상에 달한다. 이 속도가 지속된다면, 100년 안에 70cm 이상 해수면 상승이 일어나게 되며, 이는 현재 대부분의 해안 방어 시설이 감당하기 어려운 수준이다.


동일 도시 내에서도 최대 10mm 차이, 세부적 대응 필요

연구진은 “같은 도시 내에서도 지역별 침하 속도가 최대 10mm까지 차이난다”며, 정책적 대응 역시 지역 맞춤형, 세부화된 대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예를 들어 더니든 및 오타고 항구 일대 지도에서는 단지 몇 블록 차이로 침하율이 현저히 다른 모습을 보여준다.


해안 도시의 미래, “지금부터 대비해야”

이 연구는 NZSeaRise 프로젝트의 후속으로, 해안 도시들이 미래의 침수 및 기후 변화 대응 전략을 수립하는 데 중요한 근거가 될 전망이다.


“지구는 더워지고 있고, 바다는 팽창하며, 빙하는 녹고 있다. 동시에 땅은 내려앉고 있다. 이 모든 것이 겹쳐지는 해안 도시에는 더욱 빠른 행동이 필요하다”라고 연구진은 경고했다.


 


“해안가가 가라앉고 있다”, 위성 데이터로 드러난 뉴질랜드 ‘침하 핫스팟’

최신 위성 분석을 통해 뉴질랜드 해안가에서 매우 빠르게 가라앉고 있는 지역들(hotspots)이 확인되었다. 이들 지역은 공통적으로 해안선 개발로 지형이 변경된 곳이라는 점에서 주목된다.


“매립지, 지금도 가라앉는 중”, 불안정한 기반이 도시 인프라 위협

20세기 동안 뉴질랜드 여러 도시에서는 바다를 메워 광범위한 매립지 개발이 이뤄졌다. 하지만 이들 매립지는 여전히 지반 침하(compaction)가 진행 중이며, 그 위에 세워진 도로, 건물 등의 인프라에 불안정한 기반을 제공하고 있다.


대표적인 사례는 포리루아 하버(Porirua Harbour)이다. 이 지역의 포리루아 스트림 하구 인근 매립지는 현재 연간 3~5mm씩 가라앉고 있으며, 이는 포리루아 해안 평균 침하율의 두 배가 넘는다.


우주에서 바라봐야 비로소 보이는 ‘땅’의 변화

연구진은 “역설적이지만, 살고 있는 땅의 변화를 제대로 보려면 우주에서 지구를 바라보아야 한다”고 말한다. 고해상도 위성 레이더 기술을 통해서야 비로소 국지적 침하 현상까지도 정밀하게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기술은 특히 도심지의 포장된 표면, 건물, 도로 등에서 뛰어난 반사 신호를 통해 밀리미터 단위 정밀도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위험 지역 사전 식별 가능, 미래 도시 계획에 반영해야

긍정적인 점은 이 데이터가 향후 해안 도시의 지속 가능한 개발과 기후 변화 대응 전략 수립에 핵심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연구진은 “이번 측정은 단지 첫걸음일 뿐”이라며, 향후 해안선과 도시의 침하 및 융기 현상을 지속적이고 체계적으로 모니터링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뉴질랜드의 해안은 이제 단순히 '바닷물이 올라오는' 것이 아니라, '땅이 내려가면서 바닷물이 더 가까워지는' 이중의 위기에 직면해 있다. 지금이 바로, 그 위험을 정밀하게 파악하고 대응 계획을 세울 결정적 시점이다.

오클랜드, 토요일 새벽 3시까지 천둥번개 동반한 집중호우

댓글 0 | 조회 620 | 6시간전
기상청에서는 4월 18일 금요일 밤 … 더보기

코리아 포스트 제 783호 4월 22일 발행

댓글 0 | 조회 129 | 7시간전
오는 4월 22일 코리아 포스트 제 … 더보기

뉴질랜드 경찰, Z 에너지, NZTA 및 ACC와 함께 이스터 연휴 안전 운전 캠…

댓글 0 | 조회 908 | 14시간전
뉴질랜드 경찰이 Z 에너지(Z), 뉴… 더보기

호주 기업, 해저 채굴 ‘패스트트랙 승인법’ 적용 요청 논란

댓글 0 | 조회 383 | 17시간전
호주의 채굴 기업이 뉴질랜드 정부에 … 더보기

보건부, 2400명 이상 구조조정, 절반은 공석

댓글 0 | 조회 861 | 18시간전
뉴질랜드 보건부(Health NZ)는… 더보기

사우스 타라나키 호텔 화재

댓글 0 | 조회 427 | 18시간전
소방관들이 사우스 타라나키의 호텔에서… 더보기

웰링턴, 야생 키위 200마리 돌파

댓글 0 | 조회 308 | 18시간전
웰링턴 해안가의 마카라 언덕에서 75… 더보기

인구 증가에도 끄떡없는 주택 시장

댓글 0 | 조회 895 | 19시간전
2018년 이후 뉴질랜드 인구는 해밀… 더보기

사이클론 탐, 코로만델 강타 후 남쪽으로 이동

댓글 0 | 조회 769 | 20시간전
사이클론 탐(Tam)으로 인한 강풍과… 더보기

인구 증가에 따른 주택 시장 대응 미흡.

댓글 0 | 조회 315 | 20시간전
최근 보고서에 따르면, 뉴질랜드의 주… 더보기

Z세대 키위들, "돈 공부" 시작했다

댓글 0 | 조회 777 | 21시간전
ASB 보고서: 18~24세 중 43… 더보기

[금요열전] GirlBoss의 창립자, 젊은 여성에게 날개를 달다

댓글 0 | 조회 336 | 22시간전
알렉시아 힐버티두(Alexia Hil… 더보기

살아가는데 필요한 실생활 IT 꿀팁 -캘린더와 메모앱으로 일정 완전 정복

댓글 0 | 조회 357 | 22시간전
“스마트하게 계획하고, 잊지 말고 실… 더보기

뉴질랜드의 인종 다양성, 새로운 시대를 맞이하다

댓글 0 | 조회 917 | 1일전
2023년 뉴질랜드 인구조사 결과, … 더보기

부활절의 유래: 알고 보면 더 재미있는 이야기!

댓글 0 | 조회 704 | 1일전
초콜릿, 토끼, 달걀만 생각했다면? … 더보기

76명의 신규 경찰관, 지역 배치 시작

댓글 0 | 조회 626 | 1일전
2025년 4월 28일 월요일, 76… 더보기

“오클랜드 반려견 친화 카페 10선 – 댕댕이와 함께 커피 한 잔 어때요?”

댓글 0 | 조회 641 | 2일전
반려견과 함께 어디든 갈 수 있는 도… 더보기

천식 흡입기 접근성 개선 제안, 생명을 구할 수 있다

댓글 0 | 조회 317 | 2일전
천식 환자들이 안도의 한숨을 쉴 수 … 더보기

사이클론 탐의 상당한 바람 계속해서 상부에 영향 미치고 있어.

댓글 0 | 조회 1,746 | 2일전
사이클론 탐의 강풍이 오늘(목요일) … 더보기

오클랜드, 겨울에 음악의 반짝임을 더하다

댓글 0 | 조회 587 | 2일전
오클랜드 필하모니아의 Communit… 더보기

경찰, 실종자 문제 해결을 위한 혁신적인 도구 공개.

댓글 0 | 조회 465 | 2일전
최근 뉴질랜드 경찰청은 실종자 문제를… 더보기

부활절, 어떤 상점이 열리나?

댓글 0 | 조회 1,700 | 2일전
뉴질랜드에서 부활절 기간 중 상점의 … 더보기

셀윈과 퀸스타운, 뉴질랜드 인구 성장의 중심에 서다

댓글 0 | 조회 573 | 2일전
생활환경, 경제, 관광이 이끄는 지역… 더보기

세대의 다리 : 2030은 왜 결혼을 늦추거나 안 할까?

댓글 0 | 조회 447 | 2일전
경제적 현실부터 삶의 우선순위까지 —… 더보기

ANZ, 경제 회복 지원을 위한 공식 금리 인하 예측

댓글 0 | 조회 703 | 2일전
ANZ 은행은 뉴질랜드 중앙은행이 경…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