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텀섬 살던 모리오리족 조상 유해 귀환

채텀섬 살던 모리오리족 조상 유해 귀환

0 개 665 서현


뉴질랜드 원주민 조상의 유해가 뉴질랜드로 돌아왔다.


이들 유해는 채텀 제도에 살던 ‘모리오리(Moriori)’의 조상 유해로 지난 2022년 호주국립대학이 반환한 이후 그동안 캔버라에 있는 호주국립박물관에 보관되어 있었다.


유해는 원래 호주 해부학연구소의 소장품 중 일부였는데, 그동안 호주국립박물관과 뉴질랜드 국립박물관인 ‘테 파파 통가레와’, 그리고 모리오리 지역사회의 2년 간에 걸친 협력으로 귀환이 이뤄졌다.


테 파파는 원주민 조상의 유해를 뉴질랜드로 반환하는 ‘카랑가 아오테아로아 송환 프로그램(Karanga Aotearoa Repatriation Programme)’을 진행하고 있다. 


한 관계자는 이번 송환 작업은 모리오리족에 의해 시작되었으며 그동안 우리는 동일한 목적과 비전을 갖고 단결해 유해를 고향으로 데려오기 위해 일했다고 말했다.


또한 해외에 있는 모든 마오리와 모리오리 조상을 본국으로 데려오려는 목표를 위해 송환 프로그램이 진행되고 있으며, 이는 존중과 인정, 문화적 회복의 중요한 행위라고 강조했다.



유해는 박물관이 소장 중인 약 512개의 유해와 함께 테 파파의 ‘wahi tchap(신성한 보관소)에 보관되며, 채텀 제도로 돌아갈 적절한 시기라고 판단할 때까지 박물관에 보관될 예정이다. 


관계자는 사람과 땅, 바다와의 재연결을 통해 조상을 집으로 데려올 수 있다는 것은 우리에게는 치유의 과정이며 많은 감정이 담겨 있다면서, 다음 여정을 기대하고 있다고 전했다. 


기록에 따르면 1800년대 후반부터 채텀섬에서는 약 550개의 모리오리족 유골이 발견됐는데, 모리오리족은 1800년대에 마오리의 침입으로 학살을 겪은 바 있다. 





<모리오리족은?> 


모리오리족은 뉴질랜드 본섬이 아닌 채텀 제도에서 살았던 폴리네시아계 원주민으로 흔히 마오리와 혼동하지만 독립적인 문화와 언어를 가진 별개의 민족이었다. 


이들은 약 1500년경 북섬에서 이주한 것으로 추정되지만 일부 학자는 별도 이주 집단이라고 보는데, 이들은 채텀의 혹독한 환경에 적응하면서 독자적인 생활 방식을 발전시켰다.

또한 평화로운 삶을 지향하는 ‘누누쿠의 법(Nunuku’s Law)’을 따랐으며 이는 부족 간 전쟁을 금지하는 전통으로 제도 내에서 폭력을 최소화하는 역할을 했다.

언어는 모리오리어로 마오리어와 유사하지만 별개의 언어로 간주하며 현재는 거의 소멸한 상태이다. 

한편, 1835년 티카오(Tikāo)를 포함한 마오리가 유럽인 도움을 받아 무장한 채 채텀 제도로 이주하자 평화를 중요시한 모리오리족은 저항하지 않았지만 대부분이 학살당하거나 노예로 전락했다.

1840년대부터 유럽 정착민과 뉴질랜드 정부가 개입했지만 이미 모리오리족 인구는 급감한 상태였다.  

20세기 후반부터 모리오리 후손은 문화 부흥과 정체성 회복을 위한 활동을 시작했는데, 소멸 위기에 처했던 모리오리어를 부활시키기 위한 연구가 진행 중이며 1990년대 정부는 모리오리족을 독립된 민족으로 공식 인정했다. 

또한 2020년, 정부는 모리오리족과 조약(Settlement Agreement)을 체결하고 역사적 피해에 대해 공식적으로 사과하고 보상했는데, 2021년 기준으로 약 800~1,000명이 모리오리족 혈통을 계승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많은 학교의 점심 급식, 버려지고 있어

댓글 0 | 조회 2,093 | 2025.02.22
웨스트 오클랜드의 매시 초등학교에 피타핏(Pita Pit)의 급식이 배달되었지만, 학생들은 아무도 같은 점심을 일주일 내내 먹고 싶어 하진 않는다고 학교 행정 담… 더보기

보건부 고위직 공백 메우기 위해, ACC의 고위 직원 차출

댓글 0 | 조회 794 | 2025.02.22
ACC가 자체적인 정부 감사에 직면해 있음에도 불구하고, ACC(Accident Compensation Corporation)의 한 고위 간부가 취임 5개월 만에… 더보기

코리아 포스트 제 779호 2월 25일 발행

댓글 0 | 조회 864 | 2025.02.21
오는 2월 25일 코리아 포스트 제 779호가 발행된다.이번호 인터뷰에서는 한국의 정통 춤, 무대 위에서 부채와 한복이 만들어내는 화려한 색감과 아름다움의 동작으… 더보기

와이헤케 섬 인기 베이, 상어 먹이 주기 중단 요구

댓글 0 | 조회 1,195 | 2025.02.21
와이헤케 섬(Waiheke Island) 주민 일부가 섬 내 인기있고 분주한 베이(Bay)에서 상어에게 먹이를 주는 행위에 대해 우려를 표하고 있다.와이헤케에서 … 더보기

더 많은 은행, 고정 주택담보대출 금리 인하 예상

댓글 0 | 조회 1,937 | 2025.02.21
한 경제학자는 중앙은행(Reserve Bank)이 기준금리(Official Cash Rate, OCR)를 50bp(0.50%포인트) 인하한 이후, 앞으로 몇 주 … 더보기

2024년 뉴질랜드에서 가장 많이 등록된 아기 성씨

댓글 0 | 조회 1,722 | 2025.02.21
2024년 뉴질랜드에서 태어난 아기들의 가장 흔한 성씨는 싱(Singh)인 것으로 나타났다고 브룩 반 벨덴 내무부 장관이 밝혔다.싱(Singh)은 7년 연속으로 … 더보기

오클랜드, 두 번째 동양과실파리 발견

댓글 0 | 조회 1,148 | 2025.02.21
오클랜드 노스쇼어의 주택가 뒷마당에서 또 다른 동양과실파리(Oriental fruit fly)가 발견되면서 법적 규제가 시행되었다.이번에 발견된 수컷 한 마리는 … 더보기

뉴질랜드 국방군, "타스만해의 중국 군함, 사전 통보 없었다"

댓글 0 | 조회 1,240 | 2025.02.21
뉴질랜드 국방군(NZDF)은 중국이 타스만해에 해군 함정 3척을 보낼 것이라는 사전 통보를 뉴질랜드에 하지 않았다고 밝혔다.주디스 콜린스 뉴질랜드 국방부 장관은 … 더보기

티마루, 암모니아 누출로 10명 진단 중

댓글 0 | 조회 512 | 2025.02.20
목요일 밤, 남섬 티마루에서 발생한 암모니아 누출로 인해 10명이 긴급 구조대에 의해 진단을 받고 있다는 소식이 전해졌다.뉴질랜드 소방 및 긴급 구조대는 밤 9시… 더보기

Look Sharp, '광범위한 가격 오류'로 약 30만 달러 벌금 부과

댓글 0 | 조회 2,593 | 2025.02.20
할인 체인점 Look Sharp이 빈번하고 광범위한 가격 오류로 인해 약 30만 달러의 벌금을 부과받았다. 일부 제품의 경우 광고된 가격보다 최대 33% 더 비싼… 더보기

기준금리 3.75%로 다시 인하

댓글 0 | 조회 2,870 | 2025.02.19
2월 19일 중앙은행이 ‘기준금리(OCR)’를 0.5%p 인하해 3.75%로 조정했는데, 이는 2022년 10월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기준금리는 지난 2020… 더보기

2024년 순 이민자 10만명 이상 급감

댓글 0 | 조회 1,786 | 2025.02.19
지난해 뉴질랜드로 들어온 이민자가 이전보다 줄어들고 출국한 이민자는 오히려 늘어나면서 입국자와 출국자를 감안한, 이른바 ‘순이민자(Net Migration)’가 … 더보기

퀸스타운 버거점 “인종차별적 영수증 표기 직원 해고”

댓글 0 | 조회 3,282 | 2025.02.19
퀸스타운의 유명한 버거 가게에서 영수증에 인종차별적 표기를 한 직원이 해고됐다.지난 2월 16일 친구들과 함께 ‘퍼그버거(Fergburger)’를 찾았던 타이완 … 더보기

중량 초과한 Air NZ 국내선 “승객 몇 분만 좀…”

댓글 0 | 조회 2,178 | 2025.02.19
대학들이 새 학기를 시작한 가운데 많은 학생이 탑승하려던 국내선 항공기가 중량 초과로 일부 승객이 내리는 소동이 벌어졌다.지난 2월 15일(토), 딸과 함께 웰링… 더보기

더니든행 젯스타, 승객들의 수하물 남겨두고 출발

댓글 0 | 조회 2,280 | 2025.02.18
일요일 아침 더니든행 젯스타 항공편이, 승객들의 수하물을 오클랜드 공항에 남긴 채 출발했으며, 도착할 때까지 이를 알리지 않아 도착지에서 수십 명의 승객이 짐을 … 더보기

1월 먹거리 가격 “전달보다 1.9%나 급등”

댓글 0 | 조회 1,023 | 2025.02.18
올해 1월 국내 식료품 가격이 전월 대비 1.9%나 상승했는데 이는 2022년 7월에 2.1% 오른 이후 2년 반 만에 월간 상승폭으로는 가장 컸다.이에 따라 먹… 더보기

‘Pams 치킨 너겟’ 제품 하나 리콜 중

댓글 0 | 조회 1,135 | 2025.02.18
현재 시중에서 판매 중인 한 치킨 너겟 제품이 이물질이 포함됐을 가능성으로 리콜되고 있다.해당 제품은 ‘Pams 브랜드’의 ‘튀김 코팅 치킨 너겟(Tempura … 더보기

출산 연령 역대 최고, 아이 덜 낳는 NZ 여성들

댓글 0 | 조회 1,612 | 2025.02.18
뉴질랜드 여성의 출산 연령이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2월 18일 공개된 통계국 자료에 따르면, 2024년 뉴질랜드 여성의 출산 연령 ‘중간 나이(median ag… 더보기

SPCA 침입한 괴한, 우리 파손해 일부 동물 실종

댓글 0 | 조회 886 | 2025.02.18
넬슨 동물학대방지협회(SPCA)에 괴한이 침입하는 바람에 여러 마리의 동물이 한동안 사라졌다가 일부는 돌아왔지만 2마리는 여전히 실종 상태이다.협회 관계자는 월요… 더보기

2024년 사망자 전년과 비슷, 기대수명도 변화 없어

댓글 0 | 조회 879 | 2025.02.18
지난해 뉴질랜드의 전체 사망자 숫자가 그 전년과 비슷했던 가운데 기대수명에도 별다른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2024년 사망자 숫자는 총 3만 7,722명으로… 더보기

만취한 채 아기 태운 여성 운전자 “도로공사 인부들이 붙잡아”

댓글 0 | 조회 820 | 2025.02.18
도로공사 작업을 하던 인부들이 만취한 채 아기를 태우고 운전하던 여성을 발견해 경찰에게 넘겼다.사건은 2월 17일 낮에 북섬 타우랑가 북쪽의 ‘카이마이 레인지스(… 더보기

지난해 해외 방문객 330만명, 호주와 중국, 미국이 증가 견인

댓글 0 | 조회 798 | 2025.02.18
지난해 뉴질랜드를 찾은 여행객이 2023년보다 12% 늘어나면서 연간 330만 명을 돌파했다.통계국이 2월 17일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이와 같은 방문객은 20… 더보기

'하수로 젖은 카펫', 집주인 3만 달러 이상 지불 명령 받아

댓글 0 | 조회 1,199 | 2025.02.18
오클랜드의 한 집주인이 세입자 가족에게 3만 달러 이상을 지급하라는 명령을 받았다. 해당 가족은 여러 문제 중에서도 특히 하수에 젖은 카펫이 깔린 '불법' 주택에… 더보기

국내 첫 전기 소방차 도입한 CHCH 공항

댓글 0 | 조회 697 | 2025.02.18
뉴질랜드 최초의 전기 소방차가 2월 17일 크라이스트처치 공항에 등장했다.이 소방차는 남반구 공항에 처음 등장한 전기 소방차이기도 한데, 이번 사업은 크라이스트처… 더보기

논란 일어난 ‘Everyone Must Go’ 관광 홍보 문구

댓글 0 | 조회 1,943 | 2025.02.18
뉴질랜드 정부가 이웃인 호주인을 대상으로 한 관광 캠페인의 홍보 문구를 놓고 논란이 일고 있다.크리스토퍼 럭슨 총리와 루이스 업스턴 관광부 장관은 2월 16일부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