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질랜드 정부가 이웃인 호주인을 대상으로 한 관광 캠페인의 홍보 문구를 놓고 논란이 일고 있다.
크리스토퍼 럭슨 총리와 루이스 업스턴 관광부 장관은 2월 16일부터 50만 달러 규모의 ‘Everyone Must Go’ 캠페인을 시작했다.
이번 캠페인은 이번 주부터 시작해 앞으로 약 한 달에 걸쳐 호주 방송과 소셜 미디어에서 노출될 예정이다.
하지만 노동당 쿠쉴라 탕가에레-마누엘(Cushla Tangaere-Manuel) 관광 대변인을 비롯해 여러 사람이 새 슬로건이 마치 ‘재고떨이 세일(clearance sale)’ 같다고 혹평했다.
뉴질랜드 관광부 관계자는 이번 캠페인은 뉴질랜드의 유일한 단거리 관광 상대인 호주인들에게 이곳 방문에 대한 긴박감을 고취하기 위해 문구가 설계됐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언론 인터뷰에 응한 한 응답자는, ‘Everyone Must Go’라는 문구는 현재 호주에서 시행 중인 ‘501 법률 추방자’에 대한 호주 정부의 완강한 태도를 은근히 비난하는 것이 아니냐고 되묻기도 했다.
또 다른 사람도 그런 슬로건에 50만 달러나 들였다는 게 믿기지도 않고 그게 우리 관광산업이 할 수 있는 최선이냐고 지적하면서 슬로건에 쓴 돈과 품질에 대해 우려를 나타냈다.
또한 뉴질랜드는 악어나 뱀, 독거미, 사탕수수 두꺼비, 50도의 찌는 더위와 붉은 흙이 없다는 등의 호주와 직접적인 비교가 좋겠다는 의견을 제시한 이도 있었다.
한편, 퀸스타운의 부족한 하수 시스템 등 국내 관광지의 충분하지 못한 인프라 문제를 지적하면서, 대규모 관광객 유치 장려는 환경 파괴라는 기존 문제를 악화시킬 뿐이라고 지적한 이도 이었다.
그는 뉴질랜드를 관광객으로 가득 채우는 건 국가의 고민에 대한 해답이 아니라면서, 과도한 관광객은 국가와 지역사회를 파괴하고 지역 물가도 올리고 환경 재앙을 불러온다고 강조했다.
반면 매시대학의 한 마케팅 전문가는, 문구는 짧은 것이 좋으며 행동을 촉구하는 내용이 있고 긴박감도 느껴지는 좋은 슬로건이라면서, 하지만 명령처럼 들리고 마치 세일하는 것 같다는 지적도 함께 전했다.
또한 그는 50만 달러가 많은 돈처럼 보이지만 호주의 2,500만 명이 넘는 사람을 목표로 삼는다면 그만한 가치가 있을 것이라면서, 만약 그중 10%를 설득해 오도록 하고 여기서 2,000달러를 쓰게 만들면 50억 달러가 되는 셈이라면서 ‘기억 광고(reminder advertising)’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나아가 그는, 물론 호주인들은 뉴질랜드가 어디에 있는지 그리고 무엇을 줄지 대략 알고는 있지만 얼마나 다양한지는 잘 알지 못할 수 있다면서, 뉴질랜드는 작은 나라이지만 동식물과 풍경 등이 믿을 수 없을 만큼 다양해 이런 유형의 캠페인이 정말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면서, 50만 달러 정도는 회수할 수 있다고 확신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