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순 이민자 10만명 이상 급감

2024년 순 이민자 10만명 이상 급감

0 개 1,901 서현

지난해 뉴질랜드로 들어온 이민자가 이전보다 줄어들고 출국한 이민자는 오히려 늘어나면서 입국자와 출국자를 감안한,  이른바 ‘순이민자(Net Migration)’가 2023년보다 많이 줄었다. 

2월 17일 통계국이 발표한 이민자 동향 자료를 보면, 2024년 12월 말까지 연간 기준으로 뉴질랜드 시민권자와 비시민권자를 망라한 ‘순이민자’는 단 2만 7,100명에 불과했는데, 이는 2023년의 연간 12만 8,300명에 비해서는 10만 명 이상이나 급감한 수치이다. 

뉴질랜드는 전통적으로 연간 순이민자의 변동 폭이 크기는 하지만 지난 2023년과 2024년에 걸친 2년 동안에는 그 변화의 폭이 유독 컸다. 

실제로 2023년 한 해 동안 순이민자가 그 전년보다 10만 명 이상이나 증가했던 반면에 2024년에는 그와 비슷한 규모로 다시 줄어든 상황이다.  

지난해 입국한 이민자는 총 15만 5,800명으로 2023년의 22만 9,900명보다 7만 4,100명이나 줄었는데, 하지만 역사적인 추세로는 여전히 큰 규모이다.  

특히 그중 뉴질랜드 시민권자가 아닌 이민자가 13만 900명으로 2023년의 20만 7,700명에 비해 7만 6,800명이 감소했는데, 이들 중 절반 이상이 취업비자로 입국했다. 

반면, 2024년에 뉴질랜드를 떠나 다른 나라로 향한 이민자는 12만 8,700명으로 2023년의 10만 1,600명보다 2만 7,100명이나 늘어나면서 전체적인 순이민자 감소 규모를 더 크게 만들었다.  

그중 2024년 비시민권자의 순이민자는 총 7만 4,200명으로 2023년의 17만 1,600명보다 9만 7,400명이나 줄었는데, 특히 인도와 필리핀, 중국 출신의 이민자 감소 규모가 전체 감소분의 2/3를 차지했다. 

한편, 같은 기간의 비시민권자 출국은 5만 6,700명으로 2023년의 3만 6,100명보다 늘었는데, 이처럼 비시민권자의 이민자 유입은 감소하고 출국자는 증가하는 상황이 맞물리면서 순이민자가 크게 줄어들었다.  

통계국 담당자는 순이민자는 경제 상황과 노동시장 조건, 그리고 국내외 이민 정책의 변화에 따라 지속적으로 영향을 받는다고 설명했다.

(도표) 연간 순이민자 변동(기간: 1965~2024, 단위 천명)

<NZ 시민권자의 해외 유출 지속, 호주행 증가> 


한편, 지난해에도 뉴질랜드 시민권자의 해외 유출이 이어졌는데, 2024년 한 해 동안 시민권자 부분의 순이민자는 마이너스 4만 7,100명이었다. 

이는 2023년의 마이너스 4만 3,300명보다 더 많아진 상황인데, 특히 지난해 8월 말까지 연간 기준으로 기록된 시민권자의 순이민자 마이너스 규모는 총 4만 8,500명으로 사상 최대치를 기록하기도 했다.

지난해 시민권자 부분은 전체 출국자가 7만 2,000명으로 단지 2만 4,900명에 그친 입국자 숫자를 훨씬 많이 웃돌았다. 

특히 최신 자료를 보면 뉴질랜드를 떠난 이들 시민권자 중 56%가 호주로 향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결국 뉴질랜드와 호주 간의 경제 격차가 확대되면서 보다 나은 임금과 일자리 획득 기회를 찾아 이동하는 이민자가 많아지면서 뉴질랜드의 고질적인 문제인 호주로의 인력 유출이 여전히 진행 중임을 보여줬다. 

한편, 입국자이건 출국자이건 모두 젊은층이 이를 주도하고 있는데, 지난해 해외로 떠난 뉴질랜드 시민권자 7만 2,000명 중 38%인 2만 7,400명이 18세에서 30세의 젊은층이었다.

이에 반해 지난해 입국한 비시민권자 13만 900명 중에서 64%에 해당하는 8만 4,000명이 18세에서 44세에 이르는 연령대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결국 비시민권자 입국자도 젊은층이 주도하고 있지만 시민권자 역시 많이 떠나면서 호주를 비롯한 해외로의 인력 유출이 젊은층을 중심으로 갈수록 심화하고 있다는 점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 

이민자 동향 통계에 잡히는 숫자는 국제 기준에 따라 12개월 이상 체류를 목적으로 뉴질랜드에 입국하거나 출국하는 사람을 이민자로 정의하고 있다.


도둑들, 더 발전된 기술로 차량 훔쳐

댓글 0 | 조회 2,856 | 2025.03.20
올해 초부터 집계된 차량 도난 건수는 도둑들이 점점 더 정교한 수법을 사용하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한 보험사가 밝혔다. AMI 보험에 따르면, 올해 초부터 오클랜드… 더보기

경찰 “오클랜드 도심 연쇄범죄 용의자 공개

댓글 0 | 조회 2,398 | 2025.03.20
오클랜드 경찰이 도심의 가게에서 발생한 ‘연쇄 범죄(spree of offending)’의 배후에 있는 남성을 수배했다.헤드 헌터스(Head Hunters) 갱단… 더보기

차량만 남겨졌던 실종자, 4주만에 시신으로 발견

댓글 0 | 조회 1,785 | 2025.03.20
북섬 중부 통가리로 국립공원 인근의 도랑에서 차만 발견된 후 실종 신고가 됐던 운전자가 4주 만에 시신으로 발견됐다.제프리 켈리(Geoffrey Kelly)의 차… 더보기

오클랜드 국제공항 직원들 “마약 밀반입하다가 적발돼”

댓글 0 | 조회 1,981 | 2025.03.20
오클랜드 국제공항에 근무하는 직원 여럿이 마약을 반입한 혐의로 체포됐다.세관에서는 최근 공항 내에서 의심스러운 활동을 감지했고, 조사 결과 직원 3명이 지난 3월… 더보기

정기 건강 검진으로 마취 중 죽은 기린

댓글 0 | 조회 795 | 2025.03.20
해밀턴 동물원에서 나이가 많은 동물 중 하나였던 기린이 건강 검진을 받던 중 죽었다.이름이 ‘듀메(Dume)’인 이 수컷 기린은 나이가 19살이었는데, 동물원 측… 더보기

웰링턴, 수영장과 연관된 위장 질환 발생

댓글 0 | 조회 880 | 2025.03.20
웰링턴 지역에서 발생한 위장 질환 발병 사례 중 일부가 수영장과 연관된 것으로 확인되었다고 보건 당국이 밝혔다. Te Whatu Ora에 따르면 현재 이 지역에서… 더보기

중증 인지·발달 장애 아동, 새로운 비자 정책

댓글 0 | 조회 2,746 | 2025.03.19
워크 비자, 유학생 비자, 군인 비자 소지자의 부양 자녀에 대한 건강 요건이 변경되었다.이 정책 변경은 이러한 비자 소지자의 자녀들에 대한 건강 요건을 강화하여 … 더보기

NZTA, 일부 속도 제한 복원 계획 보류

댓글 0 | 조회 1,208 | 2025.03.19
NZTA Waka Kotahi(뉴질랜드 교통국)가 국도 16개 구간의 속도 제한을 기존의 더 높은 제한 속도로 자동 복원하는 계획을 보류하기로 결정했다고 RNZ에… 더보기

학교 급식 업체 리벨레, 1,400만 달러 이상 채무

댓글 0 | 조회 1,174 | 2025.03.19
정부의 문제 많은 무상 학교 급식 프로그램의 주요 공급업체가 지난주 청산 절차에 들어간 후 수백 명의 채권자에게 1,400만 달러 이상을 빚진 것으로 밝혀졌다고 … 더보기

AKL 신규 공동묘지 토지 매입 계획, 반대 여론 확산

댓글 0 | 조회 1,200 | 2025.03.19
오클랜드에서 새로운 공동묘지를 건설하기 위해 공공사업법(Public Works Act)에 따라 172헥타르의 토지를 강제 수용하려는 계획이 토지 소유주와 지역 하… 더보기

"야생 개...해로운 유해 동물로 지정해야..."

댓글 0 | 조회 988 | 2025.03.19
야생 개의 공격으로 목장의 많은 양을 잃은 파 노스의 한 농부가 들개들을 공식적으로 유해 동물로 지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렇게 하면 개체 수를 줄이기 위한 조… 더보기

내무부, 64개 일자리 감축 제안

댓글 0 | 조회 1,105 | 2025.03.19
내무부(Department of Internal Affairs)는 지난해부터 진행해온 비용 절감 조치의 일환으로 수십 개의 일자리를 감축할 계획이다.화요일, 내무… 더보기

인버카길, 열차에 치여 사망한 남성 '시민 제보' 요청

댓글 0 | 조회 550 | 2025.03.19
경찰은 월요일 저녁 인버카길에서 열차에 치여 사망한 남성의 신원을 확인하기 위해 시민들에게 도움을 요청하고 있다.월요일 오후 5시경, 타인 스트릿(Tyne Str… 더보기

Trade Me 사칭 “취업 사기 메시지 경고 내려져”

댓글 0 | 조회 1,485 | 2025.03.18
‘Trade Me’가 자사를 통해 고소득 일자리를 제공한다고 주장하는 사기 메시지를 주의하라고 경고했다.최근 일련의 채용 사기 메시지가 유포되고 있는데, 이들은 … 더보기

대중교통 네트워크 “범죄 발생 꾸준히 증가했다”

댓글 0 | 조회 1,378 | 2025.03.17
시내버스와 터미널을 포함한 전국의 교통 네트워크에서 발생하는 범죄가 꾸준히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이번 주 정보공개법에 따라 나온 경찰 통계에 따르면, 대중교통과… 더보기

“웰링턴 보타닉 가든에 악어가?” 예술가 작품인 듯…

댓글 0 | 조회 1,344 | 2025.03.17
웰링턴 시청이 보타닉 가든에 설치된 ‘악어에게 먹이를 주지 말라(Please do not feed the crocodiles)’는 내용이 담긴 간판을 철거했다.시… 더보기

NZ 출신 30대 남성 “호주에서 상어 공격으로 사망”

댓글 0 | 조회 1,893 | 2025.03.17
호주에 사는 30대 뉴질랜드 남성이 상어의 공격을 받고 사망했다.사건은 지난 3월 13일, 퍼스에서 남동쪽으로 약 780km 떨어진 화턴 비치(Wharton Be… 더보기

식품 물가 연간 2.4% 올라, 우유와 버터 등 잡화식품이 주도

댓글 0 | 조회 1,002 | 2025.03.17
올해 2월까지 한 해 동안 먹거리 물가가 2.4% 올랐다.3월 14일 통계국이 밝힌 물가 동향 자료에 따르면, 지난 2월까지 1년간 식품물가지수는 1월까지의 연간… 더보기

테 파파 박물관, ‘The Scale of Our War’ 전시 7년 연장

댓글 0 | 조회 828 | 2025.03.17
수도 웰링턴의 테 파파 박물관은 원래 4년간 진행될 예정이었던 ‘Gallipoli: The Scale of Our War’ 전시를 7년 연장할 것이라고 밝혔다. … 더보기

가스 회사, '그린워싱' 논란 후 광고 철회

댓글 0 | 조회 971 | 2025.03.17
가스 회사 클라루스(Clarus)가 "재생 가능 가스가 파이프라인을 통해 흐르고 있다"는 광고에 대해 그린워싱(Greenwashing) 논란이 일자 해당 광고를 … 더보기

브림 베이, 모래 채취 사업 '신속 승인'에 반대 시위

댓글 0 | 조회 567 | 2025.03.17
노스랜드(Northland) 주민 수백 명이 테 아카우 브림 베이(Te Ākau Bream Bay)의 해변과 바다에서 모래 채취 사업의 '신속 승인'에 반대하는 … 더보기

웰링턴 사기 범죄 영화제, 매진 예상

댓글 0 | 조회 691 | 2025.03.17
웰링턴에서 열리는 '사기 범죄 영화제(Fraud Film Festival)'는 다양한 형태의 사기와 속임수를 다룬 다큐멘터리들을 선보인다. 최근 뉴질랜드에서도 사… 더보기

크라이스트처치 30도 폭염, 웨스트랜드 폭우 경보

댓글 0 | 조회 815 | 2025.03.17
웨스트랜드와 피오르드랜드에 폭우 경보가 발효된 가운데, 센트럴 오타고와 캔터베리는 무더운 날씨가 예상된다고 기상청에서 예보했다.폭우 경보뉴질랜드 기상청(MetSe… 더보기

포리루아 트러스트, 직원이 100만 달러 횡령 및 도박

댓글 0 | 조회 1,003 | 2025.03.17
Te Roopu Āwhina Ki Porirua Trust의 직원 이에샤 워렌은 이 트러스트에서 도움이 필요한 아이들과 가족을 지원하는 일을 처음 시작했을 때 급… 더보기

나이에 따른 평균 KiwiSaver 잔액

댓글 0 | 조회 1,590 | 2025.03.17
새로운 데이터에 따르면, 뉴질랜드에서 은퇴 직전 나이에 해당하는 많은 사람들이 여전히 KiwiSaver 계좌에 10,000달러 미만의 금액을 보유하고 있다고 RN…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