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0문장만 알면 영어 오케이 - 말킴의 영어뽀개기 신설

1000문장만 알면 영어 오케이 - 말킴의 영어뽀개기 신설

0 개 9,067 KoreaPost
Untitled-2.gif



말킴의 영어뽀개기가 신설되었습니다.

말킴의 영어뽀개기는 캐나다의 해럴드유학원을 운영하는 김남호 헤럴드 어학원 원장님이 개발한 것으로 영어 원어민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문장 1000문장(영어패턴 500문장, 응용패턴 500문장)을 만들어 이것만  잘 이용하면 영어 공부를 몇배 더 잘 할 수 있습니다.

이에 코리아포스트는 김남호 원장님과 협약을 맺고 말킴의 영어뽀개기를 유학.이민란에 연재하기로 하였습니다.

교민여러분과 유학생여러분이 도움이 되기를 바라면서, 밴쿠버 조선 문용준기자가 김남호원장을 인터뷰한 기사를 아래에 개제합니다.






필수표현 앱 개발한 김남호 헤럴드 어학원 원장

 
먼저 영어 왕도의 길을 건너간 사람은 흔히 이렇게 얘기한다.

“영어요? 그거 별 거 아니에요. 그저 의사소통의 수단일 뿐이죠.”

하지만 아직 길을 건너지 못한 대부분의 초보 학습자들에겐, 그 수단을 익히고 활용하는 것이 말처럼 간단하지 않다. ‘리스닝 3개월 완성반’을 수차례 반복해서 들락거렸지만, 결과물은 선전과는 달리 언제나 미완성. 결국엔 ‘영어는 원래 이렇게 어렵기만 한 것’이라는, 이렇다 할 처방전 하나 없는 자가진단을 내리게 된다. 골치는 두터운 영어의 벽 앞에서 계속해서 아플 수밖에 없다. 답답한 마음에 김남호 헤럴드 어학원 원장에게 물었다.

“영어를 못하는 진짜 이유가 무엇일까요?”

지금부터가 김 원장이 내린 처방과 진단이다.


“영어, 공식 하나 암기로 끝나지 않는다”
영어는 집합의 개념을 알게 되면 관련 문제를 풀 수 있는 수학과는 확실히 다르다. 부정사의 용법을 정확히 알고 있다고 해서 영어의 한 부분이 온전히 내 것이 되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영어는 공식 하나 외운다고 해결되는 그리 손쉬운 상대는 아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초보자들은 사전 두께의 문법책을 여러번 들여다 보면 언젠가는 저절로 영어를 쓸 수 있게 될 거라 착각한다.


아무리 해도 영어실력이 늘지 않는다는 하소연을 쉽게 접할 수 있는데요. 그 이유가 뭘까요?
단기간에 뭔가를 해내야 한다는 조급증이 영어를 어렵게 하죠. 영어를 쓸 수 있게 되기까지에는 일정 시간 동안 꾸준한 노력이 필요한데, 많은 사람들이 속성으로 정복자가 되려 합니다. 그런 태도로는 영어와 결코 친숙해질 수 없습니다. 매일 한 시간, 아니 30분이라도 꾸준히 공부하는 습관이 바로 왕도입니다.

그 일정 기간이라는 게 좀 모호하지 않나요? 사람마다 차이가 있지 않을까요?   
언어학자들은 한 가지 표현을 완전히 익히기 위해서는 최소 300번 정도의 반복이 필요하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이를 감안하면 영어의 뼈대가 되는 필수 표현을 익히기까지는 최소 1년 정도는 필요하겠지요.

1년 정도는 어떻게 할 수 있을 것 같은데요.
실제로는 그렇지가 않죠. 영어실력은 눈으로 쉽게 확인되지 않기 때문에, 달리 말해 공부에 대한 어떤 보상 같은 것이 없기 때문에 두세 달만에 포기하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영어가 생긴 모습의 10% 정도만 알고, 공부를 접는 거죠. 그러면 아무런 소용이 없어요. 영어의 전반적인 모습을 다 알고 있어야, 말다운 말을 할 수 있기 때문이지요.
아무리 쉬워 보이는 문장도, 영어의 갖가지 요소를 다 담고 있습니다. 그 요소를 10%만 알고 있는 사람이 그 문장을 이해할 수 있을까요? 

영어의 전반적인 요소를 다 알고 있어야 한다는 얘기인데, 그렇다면 문법 공부도 중요하겠네요.
물론이지요. 하지만 문법이 줄 수 있는 해답은 크지 않아요.

왜 그렇죠?
문법을 완전히 안다고 해서 영문 해독이, 영작이 쉬워질까요? 그렇지가 않습니다. 이유는 간단해요. 한국어와 영어는 다른 언어이기 때문이죠. 다시 언어학자들의 말을 빌리면, 한국어를 영어로 고스란히 옮길 때 진짜 말이 되는 경우는 최대 40%에 불과합니다. 문법적으로는 틀린 게 하나 없는데, 네이티브 스피커들은 아무도 사용하지 않는 말이 60%라는 거죠. 이렇게 되는 이유는 단순히 어순의 차이만이 아니라, 관념 자체가 다르기 때문이에요. 상황에 따라 쓰는 단어, 표현이 다르다는 거죠. 이를테면 한국사람 중 누구도 생태계라는 단어를 ‘생태 세계’라고는 말하지 않잖아요. 만약 어느 외국인이 생태 세계라고 말한다면, 대부분의 한국인들은 생태계라고 해야 옳은 표현이라고 말해 줄 겁니다. 예를 영어에서 찾자면, 건배를 제의한다고 할 때 suggest라는 단어를 사용하면 대부분의 원어민들은 고개를 갸우뚱거릴 거에요. ‘propose a toast’라고 해야 맞는 표현이기 때문이죠. 

그렇다면 문법에 맞게 영작을 해보려는 노력, 혹은 영어식으로 사고하기 위한 노력이 헛수고일 수 있다는 거군요.
실제 쓰는 표현, 그러니까 상황에 따라 어떤 동사를 쓰는지, 수식은 어떤 방식으로 하는지 등을 제대로 숙지하지 못하고 있다면 영문장을 만들려는 노력 자체가 무의미할 수밖에 없죠. 때문에 필수 표현 숙지가 무엇보다 중요해요.



“무턱대고 듣는다고 귀가 뚫릴까?”

하지만 중요 표현을 죄다 암기한다 해도 영어가 들리는 것도, 영어를 쉽게 말하게 되는 것도 아니지 않나요?
표현을 겨우 외운 상태로는 원어민 앞에서 입도 뻥긋하기 어렵죠. 아까도 얘기했지만 최소 300번 정도는 반복해야 하고, 실생활에서 쓸 수 있어야 해요. 비유를 들자면 영어 필수 표현은 매우 훌륭한 실탄입니다. 하지만 한번도 이 실탄을 사용하지 않는다면, 사격 솜씨가 늘 수 있을까요?  국가대표 수영선수의 솜씨를 1년 내내 감상한다고 해서, 수영실력이 늘지는 않겠지요. 직접 물속에 들어가 호흡법부터 발차기까지 모든 것을 실습해 봐야 겠죠.

눈으로만 공부해서는 영어가 늘지 않는다는 얘기군요.
맞아요. 소리 내서 발음해야 하고, 필수 표현을 토대로 문장을 만들어 보는 연습도 꾸준히 해야겠지요. 어떤 상황에서도 그 표현을 쓸 수 있도록 말이죠.

실전에서 문법에 맞지 않는 영어를 쓰게 될까봐 걱정하는 사람이 많은데요.
원어민도 스피킹에서는 문법적으로 완벽하지 않습니다. 문장은 정제하고, 또 정제해서 쓰게 되겠지만 말은 그냥 입밖으로 툭 튀어나오는 거잖아요. 원어민도 실수를 하는데, 한국인이 소위 브로큰 잉글리쉬를 쓴다고 누가 손가락질을 할 수 있겠어요?

그래도 정확한 영어를 쓰기 위해 애써야 하는 것 아닌가요?
스피킹에서는 정확성보다는 유창함이 훨씬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이러한 유창함은 단순히 단어의 나열이 아니라, 원어민들이 쓰는 의미구들을 연결할 수 있을 때 가능해집니다. 따라서 단어 하나하나를 암기하는 것보다는 의미구를 익히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important라는 단어 하나보다는 of great importance라는 의미구를 알게 되면 ‘이것은 매우 중요한 문제다’(This is the matter of great importance)라는 문장을 곧바로 쓸 수 있게 되는 거죠.

뭔가 들려야 말도 할 수 있는 것 아니냐는 얘기가 있잖아요. 그래서 리스닝이 더 중요하다고들 하는데, 이점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리스닝을 위해서 리스닝 공부를 한다는 얘기는 사실 말이 되지 않아요. 누구나 귀가 있기 때문에 소리는 다 들을 수 있지요. 중요한 건 소리가 아니라, 말의 의미를 이해할 수 있어야 하는 거죠. 어떤 표현이 쓰이는지도 모르는 채, 무턱대고 듣기만 한다고 해서 리스닝이 저절로 느는 것은 절대 아니에요. 소리가 조금 익숙해질 뿐이지요. 

그럼 리스닝 실력은 어떻게 기를 수 있을까요?
스피킹과 리스닝은 다른 게 아니에요. 내가 정확히 발음할 수 있어야 귀도 조금씩 열리게 됩니다. 한국 사람들은 발음을 너무 굴리는 것 아니냐는 주변의 시선 탓에 연음이나 축약 등을 무시하는 경향이 있어요. 이래서는 리스닝이 좋아질 수 없습니다. 듣기 실력을 키우려면 우선 원어민이 쓰는 발음을 흉내내는 것이 중요해요.

그 외 좀 구체적인 공부법이 없을까요?
자기가 받아들일 수 있는 만큼의 분량을 매일매일 들어보세요. 다양한 분야를 한꺼번에 섭렵하려 하지 말고, 자신이 좋아하는 주제 하나로 범위를 좁히는 게 좋아요. 듣고 또 듣는다고 의미를 파악하게 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스크랩을 보고 관련 표현을 먼저 익히라고 조언하고 싶습니다. 그 표현이 쌓이다 보면, 예를 들어 일기예보에 대한 표현을 숙지하면 날씨에 대한 뉴스는 훨씬 귀에 더 잘 들어오게 되죠. 그 후에는 범위를 점차 넓혀가야 하죠. 일기예보, 정치, 스포츠, 계속해서 표현을 익히고 공부하다 보면 리스닝 실력이 어느새 부쩍 늘어 있을 겁니다.

문용준 기자 myj@vanchosun.com


[김남호 원장이 강조하는 영어 필수표현은 본보 인터넷사이트 여행.이민란 ‘영어뽀개기’를 통해 만날 수 있다. 김 원장은 최근 이 컨텐츠를 이용해 앱을 개발했다.]

“학습자의 편리성을 높이기 위해 앱을 출시하게 됐습니다. 어디서든 공부가 가능하고 인터넷과는 달리 무한 반복이 가능하기 때문에 필수 표현을 익히는데 큰 도움이 될 거라 확신합니다.”

이번에 선보이게 된 앱은 김남호 원장 스스로 개발했다.

“누군가에게 의뢰해서는 제가 원하는 100%를 담을 수 없을 거라 생각했습니다. 원래부터 IT쪽에 관심이 많았기 때문에 개발에 큰 어려움은 없었어요. 토론토대학에서 사이언스를 전공하는 아들(김민수)이 개발에 큰 도움을 보태 주었습니다.”

앱은 패턴500A, 패턴500B, 시츄에이션500으로 구성되어 있다.

“재차 말씀드리지만 문법에 기초해서 영어문장을 만들기보다는, 바로 써야 할 표현을 머리가 아닌 입으로 혀로 외우려고 노력해 보세요. 영어가 더욱 쉽게 느껴질 겁니다.”

[앱스토어와 안드로이드마켓에서 패턴500, 응용500, 혹은 말킴으로 검색하면 이번 앱을 찾아볼 수 있다]



주택 투자자와 자가 소유자에 대한 융자 다르게 적용....

댓글 0 | 조회 2,596 | 2015.03.06
투자를 위해 주택 융자를 빌리는 사람들은 더 많은 이자를 물게 되거나 융자 자체를 얻기 힘들게 될 전망이다. 중앙은행은 주택 투자자와 자가 소유자에 대한 융자를 … 더보기

가정 폭력 피해자들 위한 안전 시스템 시작.

댓글 0 | 조회 1,162 | 2015.03.06
가정 폭력 피해자들을 위한 안전 시스템이 시작된다. 3백6십만불이 지원되는 프로그램으로 매년 400 채의 가정 폭력 위험 주택에 잠금장치, 경보음, 관련단체와의 … 더보기

뉴질랜드 이웃 섬나라 정보 염탐에 정치적 분쟁까지도 갈 수도...

댓글 0 | 조회 1,629 | 2015.03.06
에드워드 스노우든의 폭로 이후, 섬나라 정상들은 뉴질랜드가 이웃 섬나라들의 정보를 염탐한 것에 대해 답변을 요구하며 이 지역의 우호 관계에 손상을 입혔다고 말했다… 더보기

오타고와 사우스랜드 고속 국도 도로 안전 개선안 발표.

댓글 0 | 조회 1,147 | 2015.03.06
정부가 해외 여행객들이 포함된 최근의 차량 충돌 사고 후에 남섬의 도로를 더욱 안전하게 하기 위한 조기작업에 착수했다. 아마루의 5살 된 여자 아이가 중국 여행객… 더보기

노스랜드 보궐선거, 윈스톤 피터 선두주자로....

댓글 0 | 조회 1,301 | 2015.03.06
노스랜드 보궐선거 유권자들의 즉석 여론 조사에서 New Zealand First 당 당수인 윈스톤 피터스가 안전한 국민당 지역구로 간주되는 이곳에서 선두주자로 나… 더보기

하얀 깃털 가진 브라운 키위 새끼 두 마리 부화.

댓글 0 | 조회 1,695 | 2015.03.06
Pukaha Mount Bruce Wildlife Centre 에 하얀 깃털을 가진 브라운 키위 새끼 두 마리가 부화하여 하얀 깃털의 북섬 브라운 키위는 모두 다… 더보기

리퍼트 주한 미 대사 피습, NZ라디오에서도 방송

댓글 0 | 조회 2,003 | 2015.03.05
5일 오전(한국 시간) 서울 세종문화회관 세종홀에서 열린 행사에 참석했다가 피습당한 리퍼트 미 대사와 관련한 뉴스가 뉴질랜드의 라디오 방송에서도 다루고 있습니다.… 더보기

학생기자 - 플리니우스, 오디오의 새 역사를 쓰다

댓글 0 | 조회 1,427 | 2015.03.05
뉴질랜드라는 나라는 낙농/목축 국가라는 이미지가 강하다. 신선한 우유, 깨끗한 공기등 자연환경이 유명한 뉴질랜드인데 왠 오디오라니. 뉴질랜드 키위들에게 플리니우스… 더보기

학생기자 - 다민족 국가 뉴질랜드, 미래의 다민족 국가 대한민국

댓글 0 | 조회 1,752 | 2015.03.05
최근 들어 한국으로의 외국인 유입이 점점 늘어나고 있고, 이러한 추세라면 다양한 민족들이 한국에서 사는 날이 머지않아 보인다. 그리고 현재 내가 살고 있는 대표적… 더보기

학생기자 - 기술을 입다

댓글 0 | 조회 1,185 | 2015.03.05
최근 유명 휴대용 전자기기 브랜드들은 스마트 폰 시장뿐만 아닌 스마트 워치 시장의 선점을 노리며 꾸준히 신제품들을 발표하고 있다. 제조사들은 각기 다른 개성을 지… 더보기

정월대보름에는 어떤 것을 할까요?

댓글 0 | 조회 2,087 | 2015.03.05
음력으로 1월 15일은 정월대보름이라 하여 예로부터 전해지는 민족명절 중 하나입니다.농사의 시작일을 의미하는 날로 챙겨졌었는데요.3월 5일 목요일은 정월대보름입니… 더보기

학생기자 - Habitat for humanity

댓글 0 | 조회 1,066 | 2015.03.05
Habitat for humanity 타카푸나그래머의 많은 학생들이 소시지를 팔고, 머프티에 대한 골드코인을 지불 하고 있다. 이유는 며칠 후에 있을 집 짓기를 … 더보기

학생기자 - 2015 Auckland Lantern Festival

댓글 0 | 조회 1,068 | 2015.03.05
뉴질랜드의 춘절행사인 제 16회 랜턴페스티벌이 2월26일부터 3월1일까지 알버트 파크에서 열렸다. . 가족, 연인 그리고 친구들끼리 온 수많은 사람들이 랜턴페스티… 더보기

남쪽 지역 주택가치 빠르게 상승...

댓글 0 | 조회 2,345 | 2015.03.05
Quotable Value의 3일 데이터에 의하면 오클랜드 주택 평균 가치가 지난 한 해동안 13%가 상승한 $786,106였으며, 남쪽 지역이 빠르게 상승하고 … 더보기

Citizenship registration crucial for Kiwis bo…

댓글 0 | 조회 1,396 | 2015.03.05
Record numbers of Kiwis born overseas are registering their citizenship by descent to ensu… 더보기

오클랜드, 삶의 질 조사에서 3위 차지

댓글 0 | 조회 1,461 | 2015.03.05
세계적인 경영 컨설팅 업체인 머서가 발표한 세계 주요도시 삶의 질 조사에서 오클랜드가 3위를 차지했다. 오클랜드는 2012년, 2014년 조사에서도3위를 차지했다… 더보기

경찰 범죄집단 급습, 12명 검거...

댓글 0 | 조회 1,360 | 2015.03.05
오클랜드 경찰은 어제 4일 조직적인 범죄 집단을 급습하여 12명을 검거하고 무기 세 자루를 회수하였다. 검거 작전에는 내무부와 세관이 지원하였고 100명이 넘는 … 더보기

세관 법령개정, 사생활 침해냐 안전이냐....

댓글 0 | 조회 1,146 | 2015.03.05
세관은 전자기기를 가진 입국자에게 비밀 번호를 요구할 수 있도록 관계 법령 개정을 모색하고 있다. 현재 법령으로는 세관이 입국자의 전자기기를 조사할 때 소지자의 … 더보기

주파수 대역 때문에 벌금 물어야 해.....

댓글 1 | 조회 1,170 | 2015.03.05
정부가 주파수 대역을 대형 통신회사들에 매매한 이후, 학교와 교회 등 지역 단체들이 무선 마이크를 교체해야 하거나 벌금을 물어야 하는 일이 발생했다. 지난 해 정… 더보기

차량 뒤집히는 교통사고,운전자 다치지 않아

댓글 0 | 조회 1,274 | 2015.03.04
3월4일 밤 9시가 되기 전, 오클랜드의 Otahuhu 의 프린스 스트릿(Princes St)에서 차량 전복 사고가 발생했습니다. 20대 운전자가 길가에 주차된 … 더보기
Now

현재 1000문장만 알면 영어 오케이 - 말킴의 영어뽀개기 신설

댓글 0 | 조회 9,068 | 2015.03.04
말킴의 영어뽀개기가 신설되었습니다. 말킴의 영어뽀개기는 캐나다의 해럴드유학원을 운영하는 김남호 헤럴드 어학원 원장님이 개발한 것으로 영어 원어민들이 가장 많이 사… 더보기

자동차 번호판 도난방지를 위한 " 안전 번호판 나사교환 캠페인 ".

댓글 0 | 조회 2,196 | 2015.03.04
"안전 번호판 나사교환 캠페인"행사가 열린다. Neighbourhood Support North Shore와NZ Police가 공동으로 주관하는"안전 번호판 나사… 더보기

뉴질랜드에서 오클랜드 주택 가치 증가속도 1위..

댓글 0 | 조회 2,349 | 2015.03.04
최근의 통계수치에 따르면, 오클랜드 주택의 가치가 지난해에 13%가 증가하면서 지속적으로 급증하고 있다. QV 의 주택 변동 지수 최근 보고서는, 전국적인 주택 … 더보기

운전면허 시험보기 위해 타우랑가까지 가는 이유....

댓글 0 | 조회 2,763 | 2015.03.04
운전면허 시험을 준비하는 사람들이 너무 긴 대기 시간 때문에 많은 불편을 겪고 있다. 오클랜드 타카푸나의 Strange씨는 10대 딸의 운전 면허 시험을 예약하려… 더보기

어떠한 상황에서도 자동차 키 탈취 정당화 될 수 없어..

댓글 0 | 조회 1,463 | 2015.03.04
존 키 수상은 자동차 운전자들이 그들 자신의 손으로 법을 집행하는 것을 중단 해야 하며, 외국인 운전자들의 자동차 키 탈취를 중단해야만 한다고 말했다. 우려하는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