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월 부동산 가치, 완만한 성장

2월 부동산 가치, 완만한 성장

0 개 1,270 노영례

014df65052f19018c0627e8477e321ed_1741266737_4202.jpg
 

뉴질랜드의 부동산 가치는 지난달 0.3% 상승했으며, 2025년에도 완만한 성장이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고 코어로직(CoreLogic)이 발표했다.


최신 데이터는 코어로직의 주택 가치 지수(Home Value Index)에서 나왔으며, 수석 부동산 경제학자 켈빈 데이비슨은 이번 데이터가 작년의 '미니 침체(mini downturn)'가 끝났음을 보여주는 또 다른 신호라고 설명했다.


지난해 3월부터 9월까지 부동산 가치는 총 4.1% 하락했으며, 이후 10월부터 1월까지는 완만한 움직임으로 이어졌다. 


코어로직은 이번 달 수치가 작년 1월 0.5% 상승한 이후 가장 큰 상승폭을 보였다고 밝혔다.


2월 전국 중간 주택 가격(median national value)은 $807,164로, 2021년과 2022년 초 최고치보다 16.9% 하락했지만, COVID-19 이전인 2020년 3월의 $689,353보다 17.7% 높은 수준이다.


주요 도시 부동산 가치 변화를 살펴보면, 타우랑아(Tauranga)는 0.2% 하락했고, 크라이스트처치(Christchurch)와 더니든(Dunedin)는 0.6% 상승, 해밀턴(Hamilton)은 0.5% 상승, 오클랜드(Auckland)는 0.3% 상승, 웰링턴(Wellington)은 0.1%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켈빈 데이비슨은 이번 상승세가 예상된 흐름이라고 말했다. 그는 전국 중간 부동산 가치가 0.3% 상승한 것은 과거 기준으로 볼 때 다소 완만한 증가세지만, 1년 넘게 지속된 하락 이후 의미 있는 상승으로 볼 수 있다고 평가했다. 그는 또한 작년 7월~8월 이후의 금리 인하의 범위를 감안할 때, 2024년 부동산 가치 하락은 2025년 초 어느 시점에서 끝날 가능성이 항상 있었다고 덧붙였다. .


지역별 부동산 가치 변화

2월에는 주요 도시 외 지역에서는 부동산 가치 변화가 다소 엇갈린 결과로 나타났다.


부동산 가치가 상승한 지역을 살펴보면, 네이피어(Napier)와 넬슨(Nelson)은 0.4% 상승, 로토루아(Rotorua)는 0.1% 상승, 기즈번(Gisborne)은 0.5% 상승, 뉴플리머스(New Plymouth)는 0.3% 상승, 인버카길(Invercargill)은 0.9% 상승, 퀸스타운(Queenstown)은 0.8%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 가치가 하락한 지역을 살펴보면, 파머스톤노스(Palmerston North)는 0.1% 하락, 헤이스팅스(Hastings)는 0.4% 하락, 왕가레이(Whangārei) 0.2% 하락, 왕가누이(Whanganui) 0.6% 하락 등으로 나타났다. 


코어로직은 전반적인 상승세가 시작된 것으로 보이지만, 모든 지역이 매달 같은 속도나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은 아니라고 분석했다.


켈빈 데이비슨은 현재 매물(listing)이 평소보다 많아 지역별 편차가 발생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라며, 금리 인하는 전반적으로 시장을 떠받치는 역할을 할 것이며, 올해 부동산 가치의 완만한 회복은 지역 시장에서도 나타날 것이라고 전망했다.


 


2025년, 부동산 시장의 급격한 상승은 어려울 것

켈빈 데이비슨은 부동산 가치 상승세가 많은 이들에게 반가운 소식이지만, 예비 구매자(aspiring buyers)들에겐 부담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매물이 풍부하고, 부채소득비율(DTI) 규제가 강화될 가능성이 있는 만큼, 2025년 부동산 시장의 폭발적 성장 가능성은 낮다고 내다봤다.


그는 부동산 가치가 모든 지역에서 매달 지속적으로 상승할 것이라 장담할 수는 없지만, 금리 인하와 경제 및 노동 시장의 개선이 중기적으로 완만한 성장세를 이끌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했다.


또한, 이미 일부 부동산 투자자(mortgaged investors)들이 2022~2023년의 조용한 시기를 지나 다시 시장을 주시하고 있다고 전했다.


4월 1일부터 모기지 이자 공제(mortgage interest deductibility)가 100%로 복원되는 것도 투자자들에게 고려 요인이 될 것으로 보이지만, 실제로는 금리 인하가 가장 큰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다.


켈빈 데이비슨은 첫 주택 구매자(first-home buyers)들에게도 기회가 여전히 많다며, 현재 주택 가격이 COVID-19 이후 최고점에 비하여 여전히 낮은 상태라, 첫 내 집 마련을 원하는 이들에게 유리한 시장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주택 시장이 더 활발해지고 거래 속도가 빨라지면서, 기존 주택 소유자(owner-occupiers)들도 더 쉽게 주택을 매각하고 다음 주택으로 이동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마지막으로 그는 2025년에는 2024년보다 더 많은 주택 거래가 이루어지고 가치도 상승할 것이라고 전망하면서도, 과거와 같은 급격한 가격 상승이 일어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결론지었다.

한쪽 팔로 이룬 기적 – 76세 골퍼의 두 번째 홀인원

댓글 0 | 조회 510 | 2025.04.04
한쪽 팔만으로 골프를 치는 76세의 뉴질랜드 남성이 인생 두 번째 홀인원을 기록해 지역 사회에 감동과 놀라움을 안기고 있다.퀸스타운에 거주하는 에라스무스(라스) … 더보기

코리아 포스트 제 782호 4월 8일 발행

댓글 0 | 조회 461 | 2025.04.04
오는 4월 8일 코리아 포스트 제 782호가 발행된다.이번호 인터뷰에서는 축구에 대한 열정으로 매주 만나는 한인들이 있다. 선수 출신들은 아니지만 축구에 대한 열… 더보기

노스랜드와 오클랜드에 폭우, 정전, 홍수, 도로 폐쇄

댓글 0 | 조회 2,988 | 2025.04.04
오클랜드와 노스랜드에 폭우가 쏟아지고 있으며, 전국 대부분에 날씨 감시 및 경보가 발령되었다. 모든 걸프 하버 페리가 취소되었으며 대체 버스가 운행되고 있다.오클… 더보기

모든 조약 원칙 법안 제출서, 공식 기록에 포함하기로...

댓글 0 | 조회 460 | 2025.04.04
뉴질랜드 국회는 만장일치로 조약 원칙 법안(Treaty Principles Bill)에 대한 모든 제출서를 공식 기록에 추가하는 데 동의했다. 이는 ACT당 소속… 더보기

넬슨 병원, 이번엔 수술 병동에 말벌 출몰 문제

댓글 0 | 조회 598 | 2025.04.04
넬슨 병원의 한 수술 병동 직원들이 지난주 하룻밤 사이 약 30마리의 말벌을 잡았다고 밝혔다. 이는 병원의 지속적인 인력 부족 문제로 인한 환자 안전 우려가 제기… 더보기

해외 승인 약품, 뉴질랜드 승인 절차 대폭 간소화

댓글 0 | 조회 772 | 2025.04.04
뉴질랜드 정부가 해외에서 승인받은 의약품에 대한 국내 승인 절차를 간소화하는 방안을 승인했다.2026년 초부터, 특정 해외 국가에서 승인된 의약품은 뉴질랜드에서도… 더보기

오클랜드, 15년 만에 가장 건조한 3월 기록

댓글 0 | 조회 642 | 2025.04.04
오클랜드가 15년 만에 가장 건조한 3월을 기록하면서, 오는 6월부터 강제 급수 제한이 시행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고 RNZ에서 보도했다.후누아(Hūnua) 및 … 더보기

가장 시급한 병원 수리의 40%, 진행 안 되고 있어

댓글 0 | 조회 951 | 2025.04.03
병원의 노후화된 수도관과 전력 시스템 문제에 대한 첫 조사가 이루어진 지 5년이 지났지만, 여전히 가장 시급한 보수 공사 중 40% 이상이 진행되지 않고 있는 것… 더보기

19개월 기다린 전문의 진료, 결국 사비로 수술받은 여성

댓글 0 | 조회 2,233 | 2025.04.03
넬슨(Nelson)에 거주하는 한 여성이 극심한 통증을 견디며 19개월 동안 병원에서 전문의 진료를 기다렸지만, 결국 개인 병원을 이용할 수밖에 없었던 안타까운 … 더보기

마운트 이던 교도소의 수감자 사망, 경찰 조사 착수

댓글 0 | 조회 884 | 2025.04.03
오클랜드의 마운트 이던 교도소(Mt Eden Corrections Facility)에서 한 수감자가 사망해 경찰이 조사를 진행 중이다.마운트 이던 교도소의 총괄 … 더보기

Kāinga Ora 조직 개편, 600여 직책 감축 추진

댓글 0 | 조회 932 | 2025.04.03
뉴질랜드 공공 주택 기관 카잉아 오라(Kāinga Ora)가 조직 개편의 일환으로 600개 이상의 직책을 감축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이번 구조 조정에는 현재 공… 더보기

금요일까지 폭풍우, 일부 지역 '하루에 한 달치 폭우'

댓글 0 | 조회 1,802 | 2025.04.03
뉴질랜드 전역을 강타하는 폭풍우로 인해 일부 지역에서는 하루 만에 한 달치 비가 내릴 것으로 예보되었다.기상청(MetService)에 따르면, 이번 폭풍은 올해 … 더보기

카이코우라 해역에서 전복됐던 보트, 고래 충돌이 원인

댓글 0 | 조회 652 | 2025.04.03
지난 2022년 카이코우라 해역에서 전복되어 5명의 사망자를 낸 보트가 고래와 충돌했으며, 희생자들은 연료로 오염된 선체 내부에 갇혔다는 사실이 교통 당국의 조사… 더보기

강도 사건 후, 도난 차량 강에 가라앉아

댓글 0 | 조회 637 | 2025.04.03
경찰은 이번 주 초 테 아와무투(Te Awamutu)에서 도난 차량이 둑 아래로 추락해 강에 가라앉은 강도 사건과 관련해 목격자를 찾고 있다.지난 화요일 새벽 2… 더보기

근로자 절반 이상 “자기가 선택한 직업을 후회한다”

댓글 0 | 조회 1,801 | 2025.04.02
뉴질랜드 근로자의 절반 이상(54%)이 자신이 선택한 직업을 후회하며 시간이 가면 다른 선택을 할 것이라고 밝혔다.이 같은 결과는 취업 웹사이트인 ‘Seek’의 … 더보기

40대 남성 “경찰차 잇달아 들이받아 경찰관 5명 부상”

댓글 0 | 조회 1,380 | 2025.04.02
차를 몰고 경찰차 3대를 들이받아 5명이나 되는 경찰관을 다치게 한 남성이 붙잡혔다.사건은 4월 1일 오후 5시 30분이 되기 직전, 북섬 남부 로어 헛의 에프니… 더보기

이번 주말부터 일광절약제(서머타임) 해제

댓글 0 | 조회 2,638 | 2025.04.02
이번 주말에 ‘일광절약제(daylight saving time)’가 종료된다.여름철 낮시간의 효율적인 활용을 위해 지난해 9월 29일(일) 새벽 2시부터 시작했던… 더보기

불난 집에서 주인 구한 반려견

댓글 0 | 조회 1,374 | 2025.04.01
불이 난 집에서 잠자던 주인을 구한 반려견에 대한 이야기가 뒤늦게 화제가 됐다.크라이스트처치의 비숍데일(Bishopdale)에 사는 피터 맥미칸(Peter Mcm… 더보기

마약 밀매로 호화판 생활 즐겼던 갱단 리더

댓글 0 | 조회 2,321 | 2025.04.01
마약을 밀매하면서 호화 생활을 했던 갱단 리더에게 7년 7개월의 징역형이 선고됐다.크라이스트처치의 리키 마이클 테 랑기 포아(Ricky Michael Te Ran… 더보기

여전히 유행 중인 코비드-19 바이러스

댓글 0 | 조회 1,767 | 2025.04.01
팬데믹이 시작된 지 어느덧 5년이나 지나갔지만 코비드-19 바이러스는 여전히 건재하면서 매주 사망자를 내고 있다.4월 1일 나온 보건 당국 자료에 따르면, 이 바… 더보기

험준한 계곡에서 익사한 외국 사냥꾼

댓글 0 | 조회 928 | 2025.04.01
6년 전 서던 알프스 산맥에서 사망한 덴마크 출신의 남자 사냥꾼이 익숙하지 않은 지형에서 폭우 이후 강을 건너다 휩쓸려 익사한 것으로 보인다는 검시관의 보고서가 … 더보기

애시버턴 시청 “공중화장실 파손 잦아, 유료화장실 도입 검토”

댓글 0 | 조회 852 | 2025.04.01
중부 캔터베리 지역에서 공중화장실 기물이 파손되고 물품을 훔쳐 가는 사건이 잇따르자 화장실을 유료로 하자는 제안이 나왔다.지역 납세자들은 지난 2년간 화장실과 관… 더보기

웰링턴 로즈니스, 주택에서 2명 숨진 채 발견

댓글 0 | 조회 725 | 2025.04.01
웰링턴 로즈니스(Roseneath) 지역의 한 주택에서 두 사람이 숨진 채 발견돼 경찰이 조사에 나섰다.헤일리 라이언 수사관에 따르면, 경찰은 월요일 밤 10시경… 더보기

웰링턴, 고속도로 교통사고로 사망한 우버 운전자

댓글 0 | 조회 744 | 2025.04.01
지난달 웰링턴 고속도로에서 발생한 교통사고로 숨진 우버 운전자(Uber Driver)의 신원이 공개되었다.경찰에 따르면, 사망자는 로워 헛(Lower Hutt) … 더보기

손상된 배터리, 퀸스타운 재활용 센터 화재 원인으로 지목

댓글 0 | 조회 586 | 2025.04.01
퀸스타운의 재활용 센터에서 발생한 화재가 잘못 폐기된 배터리 때문인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소방청(Fire and Emergency) 초기 조사에 따르면, 지난주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