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팬지웡] 크라이스트처치 지진-소수민족 지역사회 (2)

[팬지웡] 크라이스트처치 지진-소수민족 지역사회 (2)

0 개 2,147 NZ코리아포스트
2010년 9월 10일 금요일, 저는 소수민족사무소 관계자들과 함께 우리 소수 민족들을 위한 피해 복구 추가 지원 사항을 결정하기 위해, 지진 발생 이후 두 번째로 크라이스트처치 지역을 방문했습니다.

지진 피해 직후, 피해 지역의 상황을 각국의 언어로 정확하게 전달 받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은 너무나도 명백했습니다. 오클랜드와는 다르게, 크라이스트처치에서는 각국의 언어로 인쇄되는 언론지는 1주일에 한번씩 발행되는 주간지가 대부분입니다. 주간 언론지가 발행되는 1주일이라는 기간 동안, 인터넷 웹사이트와 지역 방송이 크라이스트처치 내의 소수민족들에게 제공되는 주요 소식통이었습니다. 지진으로 인해 피해를 입은 주민들과 지진에 대해 많은 걱정을 하는 주민들에게는 그들의 상황에 대한 더 많은 정보가 필요했습니다.

이러한 정보 제공 서비스를 위해서, 정부의 지진 피해 전화 상담 서비스(0800 779 997)와 크라이스트처치 시의회의 정보 제공 전화 서비스(03 941 8999)는 한국어, 중국어, 펀자브어, 힌디어, 구자라트어 등 40개국의 언어로 통역 서비스를 제공하는 Language Line 서비스와 연결되었습니다. 이러한 서비스가 제공된다는 사실을 지진으로 인한 피해를 입은 주민들에게 전달하는 것이 우리의 다음 임무입니다. 소수민족사무소는 이 서비스에 대한 상세 정보를 한국어, 중국어, 태국어, 영어로 번역한 포스터를 만들어 각 지역사회 소매점에 게시할 예정입니다. 저는 각 지역사회 지도자들이 포스터 게시 작업에 자원하여 준 것에 대해 감사하는 바입니다. 소수민족사무소도 홈페이지에 한국어, 중국어, 태국어로 최신 정보와 지원 사항을 개제할 예정이니 www.ethnicaffairs.govt.nz 을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크라이스트처치를 방문한 동안, 저희는 제일 먼저 크라이스트처치 한인회를 방문했는데, 박기성 한인회장과 한인회 직원들이 저희 일행을 반겨 주었습니다. Melissa Lee 의원 또한 한인 교민들을 위로하기 위해 크라이스트처치에 방문 중이었습니다. 방문 중, 상담 서비스, 보험에 관한 정보, 상업을 위하여 건물을 임대한 비즈니스 입주자들이 제공받을 혜택 등의 정보 제공 등에 대한 부분도 다루어질 필요가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습니다. 소수민족사무소는 현재 이러한 부분에 대한 지원이 이루어지는 방향 등을 파악하고 있습니다.

그 사이에 저는 중국 North and South 비즈니스 연합이 여러 중국 비즈니스 단체들과 함께 크라이스트처치 지진 피해 중국 지원 그룹을 조직했다는 소식에 기뻤습니다. 이 그룹은 Rewi Alley 중국어 학교를 필두로, 정부가 제공한 정보들을 중국어로 번역하여 제공하는 자원봉사자들을 조직했습니다.

우리의 크라이스트처치 방문 동안, Angela Hu 중국 North and South 비즈니스 연합 대표가 우리와 동행해 주었습니다. Hu 대표는 지진으로 인해 피해를 입은 지역의 이곳 저곳을 우리에게 안내해 주었습니다. 안내받은 지역을 둘러보는 동안, 제가 필요하다고 느꼈던 지원이 시급하다는 것을 다시 한 번 느낄 수 있었습니다. 저는 피해자들에게 크라이스트처치의 재건을 위해서 정부가 최선을 다 하도록 할 것을 확신시키며 그들을 안심시켰습니다.

이 방문 중, 저는 이 지역에서 태국 음식점을 경영하는 Api 씨를 만났습니다. Api씨의 음식점이 위치해 있던 건물은 심각한 피해를 입었습니다. 하지만 Api씨는 이에 굴하지 않고, 태국 지역사회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발벗고 나서는 등의 놀랄만한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인도 비즈니스 대표들 또한 Ferry Road 부지에 모여 그들의 고민을 나누고 서로의 의견을 나누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소규모 기업들의 주요 사안은 보험의 혜택을 받을 수 있는 분야를 확장시키고, 빠른 청구 방법과 이에 대한 신속한 지불이라고 했습니다. 전반적으로, 그들의 상황은 좋은 편으로 보였습니다.

저의 첫번째 크라이스트처치 방문의 주요 목적은 지역 사회 구성원들을 방문하는 것이었습니다. 이번 방문의 주요 목적은 소규모 비즈니스들을 돕는 방안을 찾는 것이었습니다. 이번 방문에서 제가 느낀 것은, 크라이스트처치 지역 소수민족 사회 구성원들이 전반적으로 빠른 회복을 보이고 있다는 것이었습니다. 소수민족사무소가 결정한 지원 방식은 기타 여러 정부 부서들과 협력하여 시행될 것입니다.

ⓒ 뉴질랜드 코리아포스트(http://www.koreapost.co.nz),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양 규준씨 개인미술전 스케치

댓글 0 | 조회 2,011 | 2010.09.23
양 규준씨(양규준 미술아카데미 원장)… 더보기

2010 대학설명회 10월 2일 개최

댓글 0 | 조회 2,163 | 2010.09.23
오클랜드 한인학생회가 주최하는 대학설… 더보기

재뉴 상공회 회장배 골프대회 성황리 종료.

댓글 0 | 조회 2,302 | 2010.09.23
뉴질랜드 한국 골프협회에서는 2010… 더보기

뉴질랜드, 해수면 상승에 대비하여야

댓글 0 | 조회 2,103 | 2010.09.22
온실효과로 인해 해양이 따뜻해지고, … 더보기

한인회, 문화회관건립추진 사업에 대한 설명회 개최

댓글 0 | 조회 2,064 | 2010.09.22
오클랜드한인회(회장:양희중)에서는 교… 더보기

St Luke의 웨스트필드 쇼핑몰 확장공사 주민반대 극심

댓글 0 | 조회 2,107 | 2010.09.22
마운트 알버트 지역의 St Luke의… 더보기

[존 키] 10월 1일부터 적용되는 세금 감면 – 고령인들을 위한 지원

댓글 0 | 조회 2,725 | 2010.09.22
열심히 일하는 국민들과 이들 가정은 … 더보기

오클랜드 박물관에서 한국을 알리는 행사 개최

댓글 0 | 조회 2,391 | 2010.09.22
오클랜드 박물관에서는 매주 토요일 음… 더보기

'YFC 청소년 예술제 2010' 개최

댓글 0 | 조회 2,790 | 2010.09.22
예선 : 20109년 10월 1일(금… 더보기

뉴질랜드 이주자 수, 소폭 하락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증가세

댓글 0 | 조회 2,004 | 2010.09.21
8월 들어 영구 거주 목적이나 장기 … 더보기

재외동포재단이사장과 단체장하고의 간담회

댓글 0 | 조회 2,409 | 2010.09.21
지난 20일(월) 오후 6시 재외동포… 더보기

뉴질랜드 재활용 유리병 회전율 낮아...

댓글 0 | 조회 1,672 | 2010.09.21
뉴질랜드에서 재활용되지 못한 와인병들… 더보기

뉴질랜드 2013년까지 디지털방송으로 모두 교체키로

댓글 0 | 조회 5,971 | 2010.09.20
기존의 뉴질랜드 아날로그 방송 서비스… 더보기

뉴질랜드 뱀 밀수입 금지령!

댓글 0 | 조회 7,435 | 2010.09.20
최근에 한 밀입국자에 의해 80cm … 더보기

남섬엔 폭설, 북섬엔 폭풍우

댓글 0 | 조회 2,791 | 2010.09.20
남섬 주민들이 주말동안 내린 폭설로 … 더보기

재뉴한국여성회 9월 25일 부동산과 금융포럼 실시

댓글 0 | 조회 2,648 | 2010.09.20
재뉴한국여성회에서는 오는 9월 25일… 더보기

오는 10월 6일까지 투표용지 반송해야

댓글 0 | 조회 2,255 | 2010.09.20
지난 17일부터 모든 투표자들의 집에… 더보기

도로 한가운데에 버려진 고양이 구출되

댓글 0 | 조회 2,393 | 2010.09.18
고양이 한 마리가 박스에 담겨 단단히… 더보기

오클랜드 시민들이 수퍼시티에 바라는 것 '교통문제 해결하라'

댓글 0 | 조회 2,680 | 2010.09.18
지난 2주간에 걸쳐 오클랜드 시민들을… 더보기

10월부터 커피값도 인상 예정

댓글 0 | 조회 2,743 | 2010.09.17
GST 인상으로 10월 1일부터 많은… 더보기

크라이스트처치 지진-5번째 피해규모의 지진.

댓글 0 | 조회 2,662 | 2010.09.16
RMS(Risk Management … 더보기

NZ 교사연합 "정부가 교육에 투자 않는한 파업 계속하겠다"

댓글 0 | 조회 2,000 | 2010.09.16
지난 15일 뉴질랜드 교사연합(PPT… 더보기

NZ전국 남북통일 영문 에세이 공모 성대히 마쳐…

댓글 0 | 조회 2,811 | 2010.09.16
한뉴우정협회는 지난 9월 3일 저녁 … 더보기

[멜리사 리] 김치& 폴리틱스

댓글 0 | 조회 1,700 | 2010.09.16
음주관련 법안의 개정폭음을 하는 것이… 더보기

GST인상 대비 사재기식 소비 조짐 아직 없는 것으로 나타나

댓글 0 | 조회 1,869 | 2010.09.15
직불 카드와 신용 카드를 이용한 소비…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