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주거 임대법, '90일 사전 통보 무사유 해지' 부활

새 주거 임대법, '90일 사전 통보 무사유 해지' 부활

0 개 2,776 노영례

4cbb5e45829cd4323f71e83093964b89_1737659032_9958.jpg
 

지난 12월 국회에서 주거 임대법 개정안(Residential Tenancies Amendment Bill)이 3차 심의를 통과했고, 이번 달부터 임대법이 변경된다.  


정부는 이번 법안이 임대 주택 시장에 더 많은 주택을 유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고 밝혔다.


법안 통과 당시 주택부 장관인 크리스 비숍은 2017년부터 2023년까지 주택 임대료가 주당 170달러 상승했으며, 사회 주택 대기 명단에 약 20,000가구가 추가되었고 수천 가구가 긴급 주택 모텔에서 생활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그는 이러한 변화가 뉴질랜드 주택 위기를 해결하려는 정부의 계획의 일부라고 설명했다.


크리스 비숍 장관은 국회에서 통과시킨 이번 법안에서 합리적인 세입자와 집주인 모두에게 유익한 변화는 집주인들에게 시장에 다시 진입할 자신감을 주고, 세입자들에게는 사랑하는 반려동물과 함께 임대 주택을 구할 수 있는 더 많은 기회를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도시 내외의 주택용 토지를 개방하고, 기반 시설을 건설하며, 건설 비용을 낮추고 건축을 더 쉽게 만들고 있다고 전했다.


 


Re: News에서는 이번 변화를 분석하며, 이것이 어떤 의미를 가질 수 있는지 살펴보았다고 보도했다.


1. 90일 사전 통보 ‘무사유 해지’ 조항의 부활

이번 법안은 집주인들이 특정 이유를 제시하지 않고도 주기적인 임대를 종료할 수 있는 권리를 부활시켰으며, 이를 위해 최소 90일 전에 세입자에게 통보해야 한다고 크리스 비숍 장관이 말했다.


이러한 ‘무사유 해지’ 조항의 부활은 집주인들에게 더 많은 자신감을 줄 것이며, 그로 인해 위험 부담이 높아 보일 수 있는 세입자들에게도 주택을 제공할 가능성이 높아질 것이라고 그는 말했다.


2. 특정 상황에서 집주인의 통보 기간 단축

집주인은 아래와 같은 경우 주기적인 임대를 42일 전에 종료할 수 있다.


  • 집주인 또는 그 가족이 임대 종료 후 90일 이내에 해당 주택을 주거 목적으로 사용하고 최소 90일 동안 거주해야 할 경우
  • 공실 점유가 필요한 건물 매각에 대한 무조건적 계약이 있는 경우
  • 임대인의 직원 또는 계약자 또는 계약자가 부동산을 점유해야 하는 경우. 부동산은 일반적으로 이러한 목적으로 사용하거나 취득해야 하며 이는 현재 임대 계약에 명시되어야 한다.


3. 세입자의 통보 기간 28일에서 21일로 단축

세입자와 집주인의 통보 기간 변경은 2025년 1월 30일부터 적용되며, 그 이전에는 시행될 수 없다.


4. 고정 기간 임대 종료 통보 권한의 부활

법안은 집주인들이 특정 이유를 제시하지 않고도 고정 기간 임대를 만료 시점에 종료할 수 있는 권한을 다시 도입했다고 크리스 비숍 장관은 설명했다.


이 변화는 집주인들이 고정 기간 임대가 만료일에 종료될 것이라는 확신을 가질 수 있도록 하고, 퀸스타운과 같은 지역의 시장에서 집주인들이 자신감을 가지고 임대 주택을 제공할 수 있게 할 것이라고 그는 말했다.


5. 반려동물과의 임대 생활이 더 쉬워진다

크리스 비숍 장관은 많은 세입자들이 반려동물과 함께 생활할 수 있는 임대 주택을 찾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조치를 취했다고 밝혔다.


반려동물은 많은 키위 가족들에게 중요한 구성원이고, 따라서 집주인들이 반려동물 동반을 허용하도록 유도하기 위해 반려동물 보증금을 요구할 수 있는 방안을 도입했다고 주택부 장관은 말했다. 서면 허가를 받은 세입자는 임대 주택에서 반려동물을 키울 수 있으며, 집주인은 합리적인 이유가 없는 한 이를 거부할 수 없다.


집주인들은 반려동물이 임대 주택에서 발생시킬 수 있는 위험에 대해 더 많은 확신과 보호를 받을 수 있으며, 세입자는 부주의 또는 과실로 인한 반려동물 관련 손상에 대해 전적으로 책임을 지게 된다.


크리스 비숍 장관은 더 많은 뉴질랜드인과 그들의 반려동물이 집이라 부를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게 되어 자랑스럽다고 말했다.

프라이드 행사에서 시위한 데스티니 교회, “도 넘었다”

댓글 0 | 조회 2,049 | 2025.02.16
크리스토퍼 럭슨 총리는 토요일 오클랜드에서 열린 두 개의 프라이드 행사에서 데스티니 교회(Destiny Church)와 관련된 시위대가 행사를 방해한 것에 대해 … 더보기

새로운 차터 스쿨 개교, 과거 운영 방식에 대한 정보는 부족

댓글 0 | 조회 965 | 2025.02.16
오클랜드 대학교의 주드 맥아더 교수는 과거 뉴질랜드에서 운영된 차터 스쿨의 성과에 대한 충분한 증거가 제공되었는지 의문을 제기했다고 1 News에서 전했다. 해당… 더보기

'뉴질랜드 출생 10대 추방 결정', 이민부 장관의 입장

댓글 0 | 조회 4,945 | 2025.02.16
에리카 스탠퍼드 이민부 장관은 한 번도 가본 적 없는 나라로 추방될 위기에 처한 18세 청소년의 사례에 개입하는 것은 자신의 역할이 아니라고 밝혔다.18세의 다만… 더보기

해밀턴, 밤새 총격 사건으로 한 남자 중상

댓글 0 | 조회 1,550 | 2025.02.16
해밀턴에서 밤새 총격 사건이 발생한 후 한 남자가 중상을 입었다.일요일 새벽 5시경에 응급 서비스가 차트웰의 윈스톤 애비뉴로 출동하였고, 총소리가 들렸다는 신고를… 더보기

직장 내 사망 사고, 농업이 가장 많아 '새로운 안전 대책 추진'

댓글 0 | 조회 742 | 2025.02.16
뉴질랜드에서 농업은 여전히 직장 내 사망 사고의 주요 원인으로, 전체 신고된 사망자의 40%를 차지하고 있다.이에 따라 WorkSafe는 농업 부문을 최우선 과제… 더보기

CHCH 포트 힐스, 화재 확산 방지용 센서 설치

댓글 0 | 조회 715 | 2025.02.16
남섬 크라이스트처치(Christchurch)의 포트 힐스(Port Hills)에 화재 확산을 방지하고 재산과 생명을 보호하기 위한 새로운 센서가 설치되었다.이 센… 더보기

BoP, '경제 활성화' 위한 6천만 달러 규모의 교량 및 인터체인지

댓글 0 | 조회 1,065 | 2025.02.16
랑이우루 비즈니스 파크(Rangiuru Business Park)를 고속도로와 연결해 베이 오브 플렌티의 경제 성장을 촉진할 핵심 인프라가 마나 웨누아(mana … 더보기

3월 3일부터, 노스쇼어 선불 쓰레기통 태그 폐지

댓글 0 | 조회 4,870 | 2025.02.14
오클랜드 일부 지역에서 도로변 쓰레기 수거 방식이 대대적으로 변경되며, 카운슬은 주민들에게 미리 계획을 세울 것을 당부했다.3월 3일부터 노스쇼어(North Sh… 더보기

페리에서 내린 차, 엉뚱한 길로 진입 후 아슬아슬하게 멈춰

댓글 0 | 조회 2,424 | 2025.02.14
한 운전자가 인터아일랜더(Interislander) 페리 승선 경사로를 막아둔 콘을 제거한 후, 차량이 웰링턴 항구 위에서 아슬아슬하게 걸쳐진 채 멈추는 사고가 … 더보기

오클랜드 남부 고속도로, 오토바이 운전자 사망

댓글 0 | 조회 2,163 | 2025.02.14
금요일 아침 오클랜드 남부 고속도로(Southern Motorway) 그린레인(Greenlane) 인근에서 발생한 심각한 사고가 발생해 오토바이 운전자가 숨졌다.… 더보기

학생에게 음란 행위를 한 남자, 밴 사진 공개

댓글 0 | 조회 3,203 | 2025.02.14
경찰은 이번 주 초 오클랜드 엡섬에서 한 남자가 어린 학생에게 음란 행위를 한 사건과 연관된 차량 사진을 공개했다.피해 소녀의 아버지는 엔젯 헤럴드와의 인터뷰에서… 더보기

에어뉴질랜드, 난동 승객 때문에 웰링턴으로 회항

댓글 0 | 조회 2,289 | 2025.02.14
에어뉴질랜드 항공편이 기내에서 발생한 '난동 승객' 사건으로 인해 웰링턴으로 회항했다.에어뉴질랜드 운영 무결성 및 안전 책임자인 데이비드 모건 기장은 오클랜드에서… 더보기

킨레이스 제지공장, 종이 생산 중단 확정, 230명 일자리 잃어

댓글 0 | 조회 1,344 | 2025.02.14
킨레이스 제지공장의 약 230명의 노동자가 실직하게 되었다. 공장 소유주가 종이 생산 운영을 중단하는 제안을 확정했기 때문이다.뉴질랜드 토코로아(Tokoroa)에… 더보기

"불법 어업 문제, 법원이 다뤄야..", 할당량 관리 시스템 개편안 발표

댓글 0 | 조회 849 | 2025.02.14
셰인 존스 해양·어업부 장관은 지난 수요일, 할당량 관리 시스템(Quota Management System, QMS) 개편안을 발표하며, 불법 어업 문제는 ‘여론… 더보기

맥도날드의 와나카 개점 신청, 승인 거부

댓글 0 | 조회 3,251 | 2025.02.12
심사위원들은 남섬의 와나카(Wānaka)에 맥도날드 매장을 개점하려는 신청을 승인하지 않기로 결정했다.맥도날드는 마운트 아이언(Mt Iron) 아래 위치한 와나카… 더보기

오클랜드 시티 레일 링크, 수요일 밤 첫 열차 시험 운행

댓글 0 | 조회 2,530 | 2025.02.12
오클랜드 시티 레일 링크에서 첫 번째 열차 시험 운행이 수요일 밤 진행될 예정이다.이번 시험 운행은 기술자들이 지하에서 첫 번째 점검을 수행할 수 있도록 시속 약… 더보기

오클랜드 고속도로에서 사망한 남성, "아무도 멈추지 않아..."

댓글 0 | 조회 3,518 | 2025.02.12
지난주 오클랜드 남서부 고속도로에서 한 남성이 여러 대의 차량에 치인 후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사건을 경찰에 신고한 목격자는 아무도 멈추지 않았다는 사실에 … 더보기

애로우타운에서 작업 중 1명 사망, WorkSafe에 통보

댓글 0 | 조회 1,279 | 2025.02.12
애로우타운의 시골 부지에서 작업 중 사고로 1명이 사망했다.경찰은 수요일 오후에 데니슨 웨이(Dennison Way)에 있는 부지에서 사망 신고가 접수되었다고 확… 더보기

ACT당 대표 데이비드 시모어, 국회 계단 위로 운전하려다가...

댓글 0 | 조회 1,641 | 2025.02.12
의장인 제리 브라운리는 ACT당 대표 데이비드 시모어가 약 80년 된 랜드로버를 국회의사당 계단 위로 운전하려 한 것에 대해 '강한 불쾌감(strong displ… 더보기

컨테이너 하역 작업 중, 대리석 떨어져 두 명 부상

댓글 0 | 조회 1,320 | 2025.02.12
사우스 오클랜드의 한 컨테이너에서 발생한 사고로 한 명이 중태에 빠져 미들모어 병원으로 이송되었다고 RNZ이 보도했다.또 다른 한 명은 중등도 부상을 입었으며, … 더보기

뉴질랜드 기타 앙상블 지휘자, 임 종인

댓글 0 | 조회 965 | 2025.02.11
뉴질랜드 한인 학생들의 음악을 위해 20년을 지휘자로 지켜온 한인 음악가가 있다. 20년전 뉴질랜드 기타 앙상블을 창단하고 오는 3월15일, 제20회 정기 연주회… 더보기

KOWI, 한인 축구 동호회

댓글 0 | 조회 1,093 | 2025.02.11
최초 한인 클럽으로 30년 역사코위 한인 축구 클럽은 30년의 역사와 전통을 자랑하는 축구클럽이다. 코위 축구팀은 1995년 창립이래, 많은 회원들의 축구에 대한… 더보기

주택 시장, ‘흥미로운 한 해’ 예상-QV

댓글 0 | 조회 1,677 | 2025.02.11
지난해 주택 시장을 지배했던 정체된 흐름이 2025년까지 이어지고 있지만, QV 운영 매니저 제임스 윌슨은 올해 후반에는 보다 '실질적인 성장' 가능성이 있다고 … 더보기

정부, 2025년 첫 분기 행동 계획 발표, 투자 정상 회담 포함

댓글 0 | 조회 945 | 2025.02.11
정부에서는 2025년 첫 분기 행동 계획을 발표했다. 이번 계획은 경제 성장과 회복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크리스토퍼 럭슨 총리는 이번 계획이 비자 정책 개선, 농… 더보기

전동 스쿠터에 치여 부상당한 여성, 책임 촉구

댓글 0 | 조회 1,272 | 2025.02.10
오클랜드에 사는 한 여성이 출근길에 전동 스쿠터에 치인 후 자신의 삶이 영원히 바뀌었다고 RNZ에서 보도했다.2019년 이후 ACC(사고보상공사)에 접수된 전동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