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59] 알뜰하고 효과적인 겨울철 난방

[359] 알뜰하고 효과적인 겨울철 난방

0 개 4,115 KoreaTimes
뉴질랜드 가구의 평균 전기요금 지출은 연간 $1,500 ~ $1,800. 난방에 소요되는 비용은 그 중 3분의 1에 달한다. 중앙 난방 장치가 없고, 단열이 부실한 전통 가옥(?)에 사는 대부분의 뉴질랜드인들은 그래서 겨울만 되면 땔감 모으랴, 히터 바꾸랴 정신이 없다.

그러나, 최근 들어 뉴질랜드인들의 난방법에도 변화의 바람이 불고 있다는 소식이다. 전통적인 방법인 벽난로나 (그 보다 진화된 형태인) 히터대신, 히트펌프나 단열 설비에 투자하는 가구들이 점점 늘어나고 있다는 것. 효과적인 주택 단열과, 히트펌프 등의 중앙 난방 장치 사용은 투자 비용이 많이 드는 대신 열 효율이 높아 전기세가 획기적으로 절감된다. 뉴질랜드 경기가 최 호황 이라더니... 목돈을 투자해 푼돈을 아끼려는 현명한 소비자들이 늘어나고 있는 것이다.

난방기구별 특징과 열 효율        

전기 팬 히터 작고 이동이 편하며 가격이 싸다. 작은 공간을 순식간에 덥혀 주나 큰 공간엔 효과가 없다. 열효율:100%, 가격:$20~$100 (이동식)

오일 칼럼 히터 오일을 사용해 열이 넓고 부드럽게 퍼진다. 침실이나 서재 등 작은 공간에 사용하기 적합. 열효율:100%, 가격:$40~$300

바닥 히팅 전선이나 온수 파이프를 바닥에 까는 방식. 집 전체에 균일하게 훈훈한 기운이 돌게 한다. 난방이 가동되고 중지되는 시간이 오래 걸리는 게 단점. 열효율:80~90%, 가격: $35~$110/㎡

천장 히팅 천장 부위에 라디에이터를 설치하는 형태로 천장이 높은 집을 넓게 난방할 때 적합. 설비가 복잡해 새로 짓는 집이나 리노베이션을 하는 집에 한해 사용가능. 열효율:100%, 가격:$35~$110/㎡

방사성 전기히터 직접적으로 열을 가해 바로 앞과 주위를 따뜻하게 하는데 가장 효과적. 안전한 관리가 요구돼 아이들이 있는 집엔 적합하지 않음. 열효율:100%, 가격$50~$250
이동식 가스히터 난방효과는 뛰어나나 밀폐된 공간에서 사용하면 건강에 해롭다. 자주 환기를 해야 하고, 침실 등에선 사용할 수 없다. 열효율:80~90%, 가격:$250~$450

개방식 벽난로 열 효율 면에서 최하. 대부분의 따뜻한 공기가 굴뚝 위로 올라가고, 찬 공기를 끌어내린다. 인체에 해로운 분진을 발생시키기도 한다. 열효율:5~15%, 가격:$2,000

우드버너 집 전체를 훈훈하게 만들며, 땔감만 확보되면 유지비가 가장 적게 든다. 깨끗하고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선 나무 보관과 관리에 다소 공을 들여야 한다. 열효율:65~80%, 가격:$3,000~$6,000

히트펌프 외부공기를 집안으로 유입시키는 방식. 여름엔 에어컨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환기구를 사용해 집안 전체를 따뜻하게 해주며 열효율이 3배나 높아 경제적이다. 꼭, 별 다섯 개가 부착된 제품을 구입할 것. 열효율:200~400%, 가격:$2,000~$10,000+

파넬히터 보통 벽에 부착해 사용하며, 가구에 가까이 붙여 놓으면 위험하다. 열효율: 100%, 가격:$300~$600


알뜰한 겨울을 위해 꼭 지켜야 할 7계명

틈새를 없앨 것 난방열의 12퍼센트는 집 안 곳곳의 틈새를 통해 새 나간다. 오래된 스타킹이나 양말 등으로 문 아래 틈을 막아 주고 외부와 연결되는 문에는 틈을 메워 주는 폼 테잎 등을 사용해 보실 것.  

습기의 최소화 습기가 많은 집은 난방에너지가 훨씬 더 소모된다. 끓이는 음식을 할 때는 가급적 뚜껑을 닫고, 후드를 사용해 수증기를 밖으로 빼내시고, 샤워를 할 때에도 꼭 창문을 여시라. 제습기는 전기를 적게 쓰면서도, 난방 효율을 높이는 데 큰 도움이 된다.

따뜻한 음식을 활용할 것 따뜻한 음료나 음식은 몸을 따뜻하게 한다. 반대로, 냉장고에서 막 꺼낸 차가운 음료는 체온을 떨어뜨리니 가급적 삼가시길.

사용하는 방만, 따뜻하게 빈 방이나 복도 등 사용하지 않는 공간의 문은 꼭꼭 닫아 낭비되는 열을 최소화한다.

커튼을 닫을 것 창문은 가장 많은 난방 열을 뺏어 가는 주범! 겨울철엔 두꺼운 재질의 커튼을 달고 해가 지는 즉시 꼭꼭 닫아 주실 것.

단열 처리는 천장 먼저 단열이 잘 된 집은 전기세를 반 이상 절감해준다. 단열에 투자하려면 천장을 가장 먼저 할 것. 난방열의 42퍼센트는 천장을 통해 새 나간다.

불필요한 가전제품은 금물 수건을 따뜻하게 덥혀주는 타월 레일이나, 세탁기 온수버튼, 드라이어는 불필요하게 전기를 엄청 잡아먹는 대표 가전제품. 사실, 찬물이나 더운물이나 깨끗한 세탁을 하는 데는 별 차이가 없다.  


자료 : NZ herald
이연희 기자 (reporter@koreatimes.co.nz)

[경제] 오클랜드,복합 해양단지'탱크팜'조성 확정

댓글 0 | 조회 2,760 | 2007.06.29
해양도시 오클랜드의 상징이 될 일명, 탱크팜(Tank Farm)의 개발 계획이 확정됐다. 오클랜드 지방 위원회와 시 의회, 지방 지주회 등 3개 기관은 수십 억 … 더보기

[외환] 키위달러 US77c, 22년 만에 최고가

댓글 0 | 조회 2,641 | 2007.06.29
키위 달러가 22년만에 또 다시 최고가를 기록했다. 오늘(29일) 아침 5시 미화 대비 뉴질랜드 달러는 US77.11c 까지 치솟다가, 오전 8시경 U76,90c… 더보기

[국내] 헌재,"해외거주자 선거권 부여", 12월 대선참여는 어려울 듯

댓글 0 | 조회 2,652 | 2007.06.29
지난 28일 헌재가 [대한민국 국적을 가지고 있는 해외 체류, 거주자에게 선거권을 부여해야 한다.]는 결정을 내림에 따라, 향후 대선 및 국회의원 선거에 해외에 … 더보기

[사회] 파티필 불법화! C1등급 마약류로 분류

댓글 0 | 조회 2,716 | 2007.06.28
뉴질랜드 젊은이들에게 대중화 되있는 환각제의 일종인 파티필이 전면 금지된다. 보건부 협력장관 Jim Anderton 은 오늘(27일) 일명 허벌하이 (Herbal… 더보기

[교민] 가야금의 이해와 감상의 밤 성공적 개최

댓글 0 | 조회 2,502 | 2007.06.28
지난 6월 26일 밤 한-뉴 문화교류 모임의 행사로 타카푸나 골프클럽 클럽하우스에서 열린 ‘가야금의 이해와 감상의 밤’은 당초 예정했던 25명보다 훨씬 많은 45… 더보기

[독자투고] 재 뉴질랜드 한인회장에게 바란다.

댓글 0 | 조회 2,768 | 2007.06.28
재 뉴질랜드 회장에 당선 된 유 시청 씨에게 진심으로 축하를 드립니다. 저는 지난 5월에 재 뉴질랜드 한인회 명칭을 오클랜드 한인회로 명칭을 변경할 생각이 없다면… 더보기

[공고] 경찰행정법 개정에 관한 시민의견 접수

댓글 0 | 조회 2,304 | 2007.06.27
뉴질랜드 경찰은 현행 경찰법의 개정 작업을 앞두고 '경찰법 개정 정부 검토서'를 공개, 대중들의 의견을 수렴한다. 본 검토서는, 경찰 행정의 기본 원칙과 효율적인… 더보기

[사고] 아들 겁 주려다, 딸에게 공기총 발사

댓글 0 | 조회 2,428 | 2007.06.27
거듭되는 총기 사고로 뉴질랜드의 총기 관리 문제가 심각한 화두로 떠오르는 가운데, 지난 5월 자신의 7세 딸을 22구경 공기총으로 쏴 중상을 입힌 30세 남성이 … 더보기

[교민] 유시청한인회장 세계한인회장대회 마치고 귀국

댓글 0 | 조회 2,554 | 2007.06.27
지난 6월 19(화)일부터 22일(목) 3박 4일간열린 2007세계한인회장대회에 유시청한인회장이 일을 마치고 뉴질랜드로 귀국했다. 세계한인의 날 제정과 재외동포재… 더보기

[교민] 켄터베리 지역 영사협력원 위촉

댓글 0 | 조회 2,847 | 2007.06.27
주뉴질랜드 한국대사관 이준규 대사는 금일 크라이스트처치 거주 김유한 교민(47세)을 켄터베리지역 영사협력원으로 위촉(위촉기간 1년 : 07년 7월 1일~08년 6… 더보기

[이민] 위조신분증 감식시스템, 문제있다.

댓글 0 | 조회 2,269 | 2007.06.27
이민부 David Cunliffe 장관은, 어제(26일) 의회에서 있은 이민업무 감사보고서 발표 후 뉴질랜드 국경 보안에 헛점이 있음을 시인했다. 기술이민과 국제… 더보기

[교민] 한뉴경제인협회, 총독초청 만찬회에 교민 참여 요망

댓글 0 | 조회 2,368 | 2007.06.27
한뉴경제인협회에서는 이번 7월 5일(9목)Government House에서 총독초청 만찬회를 가질 예정이다. 한뉴경제인협회에서는 한국과 뉴질랜드간의 무역 및 문화… 더보기

[사회] 공항검색대,누드수색장치 도입 "사실무근"

댓글 0 | 조회 2,541 | 2007.06.25
$250,000의 예산을 들여 공항 보안 검색대에 누드 수색 장치가 도입 될 예정이라는 설이 나도는 가운데, 항공 보안 서비스 Avsec의 Mark Everitt… 더보기

[교민] 2007 청소년 스키, 스노보드 캠프 개최

댓글 0 | 조회 2,472 | 2007.06.25
뉴질랜드 여행의 A부터 Z까지의 에이투지 뉴질랜드에서는 청소년 스키/ 스노보드 캠프를 오는 7월 3일부터 29일까지 각 기별로 3박 4일씩 총 5기로 나누어 개최… 더보기

[시정] 노스쇼어 세금7.4% 인상,"전국 최고"

댓글 0 | 조회 2,337 | 2007.06.25
노스쇼어 시의 지방세가 올해 7.4퍼센트 인상 될 계획이다.이 지역의 세금 인상율은 오클랜드 광역시 내에서는 물론 전국에서 가장 높은 수치다. 크라이스트 처치는 … 더보기

[정치] 오클랜드 시 통합안 "시장, 행정체계 단일화" 제안

댓글 0 | 조회 2,073 | 2007.06.25
오클랜드 광역시를 하나로 통합 할 것으로 촉구하는 제안서가 또 다시 의회에 제출됐다. 액트당 (the Act) 당수 Rodney Hide 의원은 4개의 시의회, … 더보기

현재 [359] 알뜰하고 효과적인 겨울철 난방

댓글 0 | 조회 4,116 | 2007.06.25
뉴질랜드 가구의 평균 전기요금 지출은 연간 $1,500 ~ $1,800. 난방에 소요되는 비용은 그 중 3분의 1에 달한다. 중앙 난방 장치가 없고, 단열이 부실… 더보기

[보도자료] "경제가 앓고 있다."

댓글 0 | 조회 2,531 | 2007.06.25
국민당 당수 John Key 의원은 노동부 정부의 경제 운용에 대해 강한 불만을 표시했다. 그는 지난 5월 발표된 예산안에 관해 “또 다시 막대한 잉여금이 발생했… 더보기

[사건] 두명의 틴에이저의 심각한 범죄

댓글 0 | 조회 2,668 | 2007.06.24
지난 25일(일) 아침 마운트 망가누이에서는 두 명 14세 소년들이 경찰이 손 총을 피하면서 도망가는 대단한 추격전이 있었다. 이 두 소년들은 도둑질 혐의을 받고… 더보기

[사회] 노스쇼어 경찰서 음주운전 일제단속

댓글 0 | 조회 2,557 | 2007.06.24
오클랜드 노스쇼어 경찰은 지난 금요일 저녁부터 일요일 새벽까치 약 7000대의 자동차를 대상으로 음주운전 검사를 하였다. 주말에 이루어진 음주 검사에서 52명의 … 더보기

[사회] 퀸스타운 두번째 교통두절

댓글 0 | 조회 2,455 | 2007.06.23
퀸스타운에 눈이 세찬 바람과 함께 내려 도로가 얼어서 두번째로 교통이 단절 됐다고 뉴질랜드 헤럴드가 전했다. 퀸스타운의 공항은 물론 코로넷 피크 스키장도 날씨 여… 더보기

[사회] 세계에서 살기 좋은 도시 오클랜드 16위

댓글 0 | 조회 2,834 | 2007.06.22
'모노클' 잡지가 세계 주요 도시들을 대상으로 국제화, 범죄 발생 등 11개 기준을 토대로 살기 좋은 도시를 선정한 결과 오클랜드가 16위를 차지했다. 1위는 뭔… 더보기

[정치] 20세 시의원, "투표연령 16세로 낮춰야"

댓글 0 | 조회 2,248 | 2007.06.22
뉴질랜드 최 연소 시 의원으로 알려진 Hayley Wain이, 현재 18세 이상인 투표연령을 16세로 낮춰야 한다는 법안을 적극 지지하고 나섰다. 이 법안은, 지… 더보기

[사회] 아동포르노 유통업자 중국인 실형

댓글 0 | 조회 2,730 | 2007.06.22
최근 거대 아동 포르노 유통 조직에 관한 수사가 세계 전역에서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뉴질랜드 내에서 아동 강간 영상물을 유포해 온 중국인 포르노 공급업자가 3년… 더보기

[사회] 청소년 폭주족문제 갈수록 심각

댓글 0 | 조회 2,243 | 2007.06.22
크라이스트 처치 시장은 갈수록 심각해 지는 청소년 폭주족 문제가 뉴질랜드 전역의 주요 이슈로 다뤄져야 한다고 지적했다. 21일자 뉴질랜드 언론에 따르면, 크라이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