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7] 숨겨진 수수료 '아는 만큼 아낀다'

[327] 숨겨진 수수료 '아는 만큼 아낀다'

0 개 4,552 KoreaTimes
만약 한달동안 ATM(현금자동 입출금기)에서 인출 또는 송금, Eftpos, 수표발행등으로 45불의 수수료를 냈다면 이는 1년 정기예금에 1,200 불을 맡겼을때의 6개월치(연 8%가정) 이자와 맞먹는 금액이다. 따라서 수수료를 아끼는 것은 곧 돈을 버는 방법인데 비록 작은 금액이라 할지라도 1년 동안 쌓이게 되면 무시 못할 수준까지 이르게 된다.

한 경제전문가는 "각종 송금과 인출로 발생하는 대략 50센트에 불과한(?) 수수료는 은행들의 주수입원으로 자리잡은지 오래다."라며 "고객입장에서도 은행수수료를 절약하는 것이 재테크의 하나라는 사실을 명심해야 할 것이다."고 말했다.
  
또한 대부분의 사람들은 10년-20년동안 오직 한곳의 은행에서만 거래를 하는 경향이 있다. 고객의 입장에서는 오랫동안 거래를 하면 VIP멤버가 될거라고 생각하기 때문인데 사실은 그렇지 않다. 신규가입자들이 기존가입자들보다 훨씬 좋은 조건의 은행거래를 하고 있는 경우 가 자주 목격되는데 일년마다 자신의 능력에 맞는 최고 조건의 은행을 찾아 옮겨 다니는 것도 한번쯤 고려해 볼 만한 부분이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자신이 장기간 거 래한 은행이 있다면 반드시 VIP고객에게 준한 수수료가 있는지를 꼼꼼히 따져볼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수수료는 계속 오른다:최근 은행들은 저마다의 수익구조 다변화를 통해 수수료를 올리거나 또는 신설함으로써 고객들의 부담이 모르는 사이에 조금씩 늘고 있는 추세다. 특히 신용카드 거래내역은 자세히 살펴보지 않는다면 불분명한 수수료로 인해 피해를 보게 된다. 몇달전에 외국여행을 다녀온 'A'모씨는 "거래명세서를 보다가 예상 했던 금액보다 많이 청구된 사실을 확인했는데 처음에는 환율차이로 발생한 것이라고 생각을 했다."고 말했다. 하지만 ASB은행측에 확인한 결과 수수료는 2.1%(보통 0. 85%)였다는 사실을 통보받았다. 즉 1000불을 사용했다면 21불이 수수료인 셈이다.

- 무조건 협상:모기지를 대출 받았거나 노령퇴직 수당자, 18세미만 또는 대학생(최근 졸업한 이들도 포함)이라면 주저말고 은행 문을 두드리자. 이들은 누구나 수수료공포에서 벗어날 자격이 있기 때문이다. 현재 Westpac은행은 2만5천불이상의 예금, 대출금 등이 있다면 수수료 할인 또는 면제의 혜택이 주어진다. 다만 이러한 혜택들은 고객이 먼저 요청하지 않는다면 은행들은 절대로 친절하게 설명해 주지 않는다.                  

- 인터넷뱅킹 가입은 필수:이미 여러차례 언급했던 부분이지만 인터넷뱅킹만큼 수수료를 절약하는 최상의 지름길은 없다. Westpac은행의 경우 폰뱅킹을 이용할 시 50 센트가 부과되지만 같은 거래를 인터넷뱅킹으로 한다면 무료로 가능하다. 게다가 잔고증명서등도 지점에는 5불이 청구되지만 인터넷뱅킹은 무료이다. ASB은행은 지점이나 폰뱅킹으로 청구서를 요청하면 5불, 인터넷뱅킹은 1.5불이다.            
  
이밖에도 수수료를 아끼는 방법으로는 ▲ 필요없거나 사용하지 않는 계좌는 반드시 없앤다 ▲ 작은 금액은 Eftpos보다 현금을 사용한다 ▲ Eftpos사용시 현금을 인출한다(대부분의 은행에서 무료서비스 실시) 등이 있다. 그리고 은행별 수수료(예금, 송금, 인출) 현황체계를 자세하게 살펴보고 은행을 결정하는 것이 좋다.  

■ 은행들이 절대 말하지 않는 7가지
1. 채무자는 많으면 많을수록 좋다-고객의 빚이 늘어날수록 은행에서는 오히려 환영할 입장인데  25만불의 모기지나 신용카드빚이 있는 이가 3만불의 계좌가 있는 이보다 더 우수고객이다. 또한 신용카드의 경우 매달 정산이 되지 못한다면 은행의 절친한(?) 친구가 될 수 있다.  

2. 잔액조회등 전화문의는 새상품 판매를 위한 유혹의 시작-본인 계좌를 확인하기 위해 은행으로 전화를 걸면 보통은 새금융상품이나 보험소개를 받게 된다. 하지만 대부분 자신의 금전능력을 넘어서게 되는 것으로 정확한 판단이 필요하다

3. 은행들은 고객이 먼저 물어보지 않으면 절대로 이자율에 관한 얘기를 하지 않는다.  

4. 부도수표는 많이 발생할수록 좋다-물론 고객의 입장에서는 고통이지만 은행들은 즐겁다  

5. Direct Debit은 그만-신용카드결재를 Direct Debit으로 한다고 말하면 은행들은 결코 달갑게 생각하지 않는다. 이는 이자율 수익을 전혀 얻지 못하기 때문이다.

6. 고객들을 차별한다-예를 들어 BNZ는 Banking Adviser나 Personal Manager가 만불상당의 변동 모기지상품을 판매했을때 12점, 고정모기지는 8점, 계좌개설은 4점, 개인대출은 10점을 부여받는다. 따라서 최우수 고객은 당연히 누구?

7. 수수료는 반드시 거래금액과 일치하지 않는다

2007 Youth MP (청소년 국회의원) 선발

댓글 0 | 조회 3,275 | 2007.03.30
Youth Parliament (청소년 국회) 2007 행사가 금년 7월 8일 부터 11일까지 웰링턴에서 개최된다. 매 국회의원의 임기 중에 한번 즉, 3년마다 … 더보기

한국학교 어머니 영어교실 모집

댓글 0 | 조회 3,597 | 2007.03.30
북오클랜드 한국학교에서 5년 동안 운영 중인 어머니 영어교실에서는 영어교실에 참여할 어머니들의 참여를 원하고 있다. 약 20여 년 동안 영어교육에 힘써 온 김혜순… 더보기

[353] 마누카 허니, 알고 먹읍시다.

댓글 0 | 조회 4,403 | 2007.03.26
2003년, 한 꿀 제조업체 사장이 "마누카 허니라는 이름을 아무 데나 붙이는 부도덕한 업체가 있다."고 비난 한 이후, 뉴질랜드 상공인 연합은 시중에 나와 있는… 더보기

기술이민 채택현황(2007년 3월 14일)

댓글 0 | 조회 4,020 | 2007.03.25
지난 3월 14일 기술이민 의향서 채택이 있었다. 총 702건(1,536명)이 채택이 되었으며 점수별 분포현황은 아래와 같다. 한국인 신청자는 1.7%를 차지했으… 더보기

집 값 9% 상승 평균가는 $363,000

댓글 0 | 조회 3,889 | 2007.03.12
집들의 금액이 작년 2월에 비해 9.3% 가 상승했으며 2월의 평균 가격은 363,017이였다고 QV에서 발표했다. QV는 예상된 것보다 많은 이민자수와 이자율의… 더보기

[352] 겨울철 난방 A to Z

댓글 0 | 조회 4,605 | 2007.03.12
가을이다. 슬슬 난방을 준비해야할 시기다. 뉴질랜드의 겨울은 한국만큼 매섭지 않지만 웬지 으슬으슬 춥다. 집집 마다 설치 된 한국의 도시가스 보일러가 부럽고, 그… 더보기

기술이민 채택현황(2007년 2월28일)

댓글 0 | 조회 4,487 | 2007.03.03
지난 2월 28일 기술이민 의향서 채택이 있었습니다. 총 692건(1,522명)이 채택이 되었으며 점수별 분포현황은 아래와 같다. 한국인 신청자는 2.0%를 차지… 더보기

[351] 이웃과의 개 분쟁, 이렇게 해결하세요.

댓글 0 | 조회 3,699 | 2007.02.26
뉴질랜드인들은 개를 사랑한다. 그들의 동물 사랑은 흐뭇한 미소를 짓게도 하지만, 때로는 심각한 노이로제를 유발하기도 한다. 쉴 새 없이 짖어 대는 이웃집 개 때문… 더보기

주거용 부동산 시장 아직 청신호

댓글 0 | 조회 4,091 | 2007.02.24
주거용 부동산 시장이 강세를 유지하고 있다. 지난 2월 14일, 부동산 개발회사 CDL investment는 작년 수익율이 19.1퍼센트 상승한 28.9퍼센트에 … 더보기

기술이민 채택현황(2007년 2월 14일)

댓글 0 | 조회 3,956 | 2007.02.19
지난 2월 4일 2007년 들어 기술이민 의향서 채택이 있었다. 총 709건(1,539명)이 채택이 되었으며 점수별 분포현황은 아래와 같다. 한국인 신청자는 1.… 더보기

[350] 최악의 인테리어를 만드는 10가지 요소

댓글 0 | 조회 4,055 | 2007.02.12
대다수의 사람들이 하루 중 가장 많은 시간을 보내는 집은, 가족의 모든 구성원이 하루를 시작하고 마감하는 휴식처이니 만치 어느 공간보다 아늑하고 편안해야한다. 이… 더보기

주택가격 어디로 가나?

댓글 0 | 조회 4,147 | 2007.02.08
12월말 기준 QV의 전국 주택가치가 지난 1년간 9.2% 상승했다. 전국 평균 매매가격은 $348,886불로 소폭 상승했다. QV사의 Gelnda Whitehe… 더보기

[349] 알뜰족 김씨의 주유비 재테크

댓글 0 | 조회 3,870 | 2007.01.30
1달러 짜리 동전에 큰 의미를 두지 않는 사람이라면 이 기사가 별 도움이 되지 않을 수도 있겠다. 하지만, 불필요하게 새 나가는 소소한 지출에 민감하고, '티끌모… 더보기

기술이민 채택현황(2007년 1월 17일)

댓글 0 | 조회 4,499 | 2007.01.28
지난 1월 17일 2007년 들어 첫 기술이민 의향서 채택이 있었습니다. 총 826건(1,800명)이 채택이 되었으며 점수별 분포현황은 아래와 같다. 한국인 신청… 더보기

부동산 열기 계속 갈듯

댓글 0 | 조회 3,641 | 2007.01.28
A Herald on Sunday는 부동산협회(Real Estate Institute)의 2006년 지표를 분석하면서 집매매가 조금 길어졌으나 판매가격은 계속 오… 더보기

주거용 부동산 지난해 9.2%증가

댓글 0 | 조회 3,516 | 2007.01.17
주거용 부동산이 2005년과 비교할 때 2006년은 9.2%증가하였다고 QV에서 전했다. 일반 평균 판매금액은 $348,886이였으며 가장 많이 오른 지역은 Ma… 더보기

[348] 연료가 가장 적게 드는 경제 속도

댓글 0 | 조회 4,091 | 2007.01.15
요즘같은 고유가 시대에 자동차 운전자들은 연료 소모를 줄일 수 있는 경제 속도에 대해서 생각하게 된다. 그렇다면 과연 어느 정도의 속도로 운행을 해야만 가장 최적… 더보기

주택가격 성장세 둔화 - prendos

댓글 0 | 조회 3,893 | 2007.01.09
위의 그래프는1962년부터 지금 현재까지의 주거용 주택 가격 변동률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그래프에서도 뚜렸이 나타 나듯이 40년에 걸친 여러번의 부동산 붐에서 각… 더보기

[347] 인터넷 뱅킹 얼마나 안전할까?

댓글 0 | 조회 4,101 | 2006.12.22
온라인 은행은 대체 얼마나 안전한 것일까?최근 경찰에서는 돈을 빼가는 것 뿐만 아니라 프라이버시와 개인 정보까지 훔쳐가는 최근 새로 나온 스파이 웨어 때문에 경계… 더보기

11월 국내 평균 집값 $330,000으로 다시 기록 갱신

댓글 0 | 조회 3,808 | 2006.12.16
뉴질랜드 평균 집값이 한달만에 $6000이 오른 $330,000로 다시 기록을 경신하였다. 부동산 협회의 15일자 자료에 의하면오클랜드와 웰링톤쪽은 특히 강세를 … 더보기

[346] 모니터 구입 체크리스트

댓글 0 | 조회 3,853 | 2006.12.11
컴퓨터 모니터를 구입하는 데에도 노하우가 있다. 필요없는 비싼 종류나 사용공간에 어울리 지 않는 크기의 모니터는 낭비일 수 있다. 모 니터를 구입할 때 꼭 생각해… 더보기

뉴질랜드 11월 평균판매 금액 $347,005

댓글 0 | 조회 3,404 | 2006.12.11
Quotalbel Value(QV)는 뉴질랜드 주거용 부동산의 가치가 10월부터 보합상태이거나 약간 오른 상태이라고 10일(일)발표하였다. QV는 지난달 주거용 … 더보기

새로운 이민법령을 마련하여 초안발표

댓글 0 | 조회 6,821 | 2006.12.08
1987년도에 제정되어 그간 20여년간 뉴질랜드의 이민정책의 근간을 이루었던 Immigration Act 1987에 대한 재검 논의는 작년 초부터 계속 이루어져왔… 더보기

오클랜드 부동산업체 평균판매집값 $507,000 기록

댓글 0 | 조회 3,600 | 2006.12.07
오클랜드에서 가장 큰 부동산 에이전트인 Barfoot & Thompson은 19일 지난달 오클랜드 하우스 판매 평균금액이 $500,000을 초과한 $507,470… 더보기

오클랜드 부동산시장 평가 및 분석

댓글 0 | 조회 4,207 | 2006.11.30
지난 29일(수) 재뉴한인상공회 주최 '뉴질랜드 투자세미나'에서 뉴질랜드 감정 평가 회사 PRENDOS가 발표한 '오클랜드 부동산 시장 평가 및 분석'을교민에게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