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0] GP의 적정 진료비는?

[310] GP의 적정 진료비는?

0 개 5,555 코리아타임즈
며칠전 'K'모씨는 원인모를 복통으로 GP(일반 가정의)를 찾게 되었다. 처음 찾아간 곳은 오클랜드 동쪽지역에 위치한 'A'모 병원, 뉴질랜드 생활 4년만에 처음으로 병원에 간 그는 여러가지 검사 후에 병원에서 진료비로 $50(혈액검사 미포함)을 청구하자 '원래 이 정도 가격이구나'라고 생각하고 흔쾌히 지불하였다.

그러나 며칠이 지나도 별다른 차도가 없자 그는 다시 남쪽에 위치한 또 다른 GP를 방문했다. 이 곳은 첫번째 곳과는 달리 혈액검사까지 포함해서 $35의 진료비만 청구되었다. 이를 이상하게 여긴 'K'모씨는 다른 지역의 GP들에게 전화를 걸어 가격을 물어 보자 적게는 $15에서부터 많게는 $50이상에 이르기까지 천차만별이 었다. 그렇다면 예전에 혹시 나도 2배 이상의 진료비를 내지는 않았는지….
  
최근 뉴질랜드 소비자협회에서는 전국 800여명의 GP들을 대상으로 일반 진료비를 조사했는데 그 결과는 일관성없이 우왕좌왕하고 애매모호한 가격대를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통 적정가격은 아이들과 십대는 무료, 어른은 $15-$20정도이지만 웰링턴과 오클랜드 지역은 유행성감기(독감)증세로 병원을 찾을 경우 $60 이상(어른이고 커뮤니티 서비스카드가 없을 때)의 진료비를 내야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몇몇 GP들은 6세미만의 소아한테도 $30이상의 진료비를 청구하는 등 평균적으로 20%의 GP들이 소아그룹들에게 $10이상을 부담시키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몇년전 정부가 약속한 '6세미만의 유아들에게는 무료진료를 실시하겠다. '라는 것과 정면 대치되는 것으로 보건선진국이라는 말을 무색하게 만들고 있다. 반면 어떤 곳은 어른일지라도 커뮤니티 서비스카드 없이 단 $15에 진료를 받을 수가 있으며 Otara Union Medical Centre에서는 18세 미만이거나 65세 이상일 경우 무료 진료가 가능하다.

***** 흔들리는 보건 시스템 *****
정부는 오랫동안 국민들의 기본 보건시스템을 대대적으로 재편성하기 위해 부단한 노력을 해왔는데 그 결과 전체 인구의 93%에 이르는 3.8million이 PHO(Primary Health Organizations : GP는 비영리를 추구, 정부는 오는 2008년까지 1.7billion의 추가기금 지원을 약속)에 가입하는 놀라운 성과를 거두었다.

이처럼 환자들에게 저렴하고 포괄적인 보건서비스를 제공하겠다는 취지를 가지고 시작한 이번 개편작업은 일부 GP들에게만 기금이 지원됨으로써 시작부터 순탄치 않은 모습을 보이고 있다. 결국 정부로부터 충분한 지원을 받지 못하게 된 GP들은 PHO제도 시행 이전과 마찬가지로 소아나 65세 이상의 환자들에게 진료비는 청구하게 된 것이다. 현재 65세이상 환자들은 커뮤니티 서비스카드 유무에 상관없이 평균 $25의 진료비가 든다.
  
***** 진료비의 차이가 나는 진짜(?) 이유는 *****
Procare Healthcare(3곳의 오클랜드 PHO와 500명의 GP를 관리)의 수장인 Mark Wills는 "진료비의 차이가 나는 이유는 무척 많은데…"라며 먼저 지역별 소득차이를 꼽았다. 그가 밝힌 바에 의하면 오클랜드 남쪽지역은 15분간 상담을 기준, $40-$45의 진료비를 그리고 오클랜드 중앙 및 동쪽지역은 $65을 청구하고 있다고 한다.

"상대적으로 오클랜드 중앙 및 동쪽 지역은 환자들의 소득수준이 높고 병원 렌트비도 비싸기 때문에 진료비가 타지역에 비해 높게 책정된다."고 설명했다. 그는 또한 "이들 지역은 부유한 단골환자들이 많은 관계로 주로 서민들이 거주하는 곳보다는 비싼 편이다."고 덧붙였다.  
  
그리고 연령대에 따른 진료비차이에 관해서 GP Royal College의 Jim Vause의장은 "대부분 65세 이상의 환자들은 복합질환 즉 당뇨, 고혈압, 심장병이나 폐질환 등의 만성질환이 많아 타연령대보다 좀 더 세밀한 검사와 진료가 요구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무료진료가 불가능할  때가 많다."고 주장했다.
  
한편 정부보조금을 받고 있는 경우 GP는 눈에 잘 띄는 곳에 환자들이 쉽게 볼 수 있도록 진료비를 게재해야만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오클랜드, 23년 동안 가장 많이 오른 지역

댓글 0 | 조회 5,030 | 2006.03.01
뉴질랜드 집값이 지난 23년 동안 73개의 지역중 10곳이 떨어졌으나, 따뜻한 지역이나 일거리가 많은 곳은 많은 증가를 보였다고 밝혔다. Public Policy… 더보기

[327] 숨겨진 수수료 '아는 만큼 아낀다'

댓글 0 | 조회 4,611 | 2006.02.27
만약 한달동안 ATM(현금자동 입출금기)에서 인출 또는 송금, Eftpos, 수표발행등으로 45불의 수수료를 냈다면 이는 1년 정기예금에 1,200 불을 맡겼을때… 더보기

소규모 아파트투자는 이익? 손해?

댓글 0 | 조회 5,119 | 2006.02.25
주택시장에 어두운 그림자가 드리워지면서 주로 렌트수입을 위해 몇년전부터 집중적으로 건설된 시티아파트에 대한 평가가 다시 나오고 있다. 한 부동산에이전트는 "일반적… 더보기

한국, 해외부동산 투자 자유화 1년 앞당겨 내년 시행

댓글 0 | 조회 4,211 | 2006.02.23
이르면 내년부터 한국에서 해외 부동산에 쉽게 투자할 수 있게 된다. 또 올해 안에 주거용 해외부동산 투자 한도(현재 100만 달러)가 없어질 전망이다. 재정경제부… 더보기

학생비자/퍼밋 신청비 인상

댓글 0 | 조회 4,647 | 2006.02.20
오는 28일(화)부터 학생비자 신청비가 현행 70불에서 120불로 인상될 예정이다. 이민부는 보다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이와 같은 방침을 세웠다고 밝혔다.… 더보기

[326] 은행들의 서비스 만족도

댓글 0 | 조회 4,120 | 2006.02.15
작년 이맘때 소비자협회에서는 시중 은행들의 고객 서비스부분에 대해 종합적인 평가를 내렸었는데 당시 PSIS는 뉴질랜드 5대은행사들(ASB, National, BN… 더보기

지난 12개월 집 값 16.8%이상 오름.

댓글 0 | 조회 4,334 | 2006.02.13
지난주 1월달 집매매량이 최악으로 보고되었지만 지난 1년 동안 집값은 올랐다는 보고가 나왔다. Quotable Value의 오늘(13일) 통계에 따르면 주거용 부… 더보기

취업비자 수속중에는 방문비자 신청할 수 없다(?)

댓글 0 | 조회 4,922 | 2006.02.11
최근 'A'모씨는 취업비자를 신청해놓고 기다리는 도중 비자만료기간이 다가와서 방문비자를 신 청했다. 하지만 이민부에서는 '취업비자를 신청한 사람이기 때문에 방문비… 더보기

1월 집매매량 지난 5년동안 최악

댓글 0 | 조회 4,500 | 2006.02.10
뉴질랜드에서 가장 큰 부동산 업체인 Harcourts는 지난 달 판매량이 30~40%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으며 오클랜드에서 가장 큰 부동산 업체인 Barfoot … 더보기

주택에 대한 신뢰 점점 빡빡해져

댓글 0 | 조회 4,401 | 2006.02.08
ASB은행에서 최근 실시된 조사서에서는 주택에 대한 신뢰가 많이 빡빡해 졌다고 발표했다. ASB은행의 경제 담당자 Anthony Byett는 35%의 응답자가 앞… 더보기

매니저급은 무조건 연봉 5만불이상(?)

댓글 0 | 조회 6,776 | 2006.02.07
'마케팅 매니저는 평균 연봉이 보통 8만불 정도인데 어떻게 3만불을 받으면서 마케팅 매니저역할을 할 수가 있는가' 이는 최근에 기각당한 한 신기술이민건에 대한 이… 더보기

[325] 디지털 카메라 인화는

댓글 0 | 조회 4,603 | 2006.01.31
한국에 비해 성장속도는 더디지만 디지털 카메라 판매와 함께 디지털 카메라 인화(印畵)등 서비스 시장은 최근 들어 급팽창하고 있는 추세로 올해말경에는 카메라 스토어… 더보기

평균 dairy farm $3.2million을 기록.

댓글 0 | 조회 4,579 | 2006.01.27
평균 dairy farm금액이 한 달동안 거의 1 million이 오르면서 기록을 세웠다. 부동산 협회는 23일 작년 11월에 평균 dairy farm이 2.3m… 더보기

경제전망 어두움에 불구, 주택 투자자 함박웃음

댓글 0 | 조회 4,487 | 2006.01.24
뉴질랜드 투자자들이 부동산 투자로 경기가 안좋은 상황이였던 2005년 이였는데도 불구하고 그들의 이익은 증가 되었다고 보도되었다. 부동산 시장이 서서히 떨어질거라… 더보기

[324] '화질로 승부', LCD TV의 최강자는

댓글 0 | 조회 4,391 | 2006.01.16
뉴질랜드 소비자협회에서는 두달전 대형 디스플레이의 양대산맥인 플라즈마와 LCD TV의 밝기(대개 1000cd/㎡와 같이 표기), 대비(Contrast:검은색과 흰… 더보기

영국을 제외한 대부분 국가들의 이민자수 감소

댓글 0 | 조회 5,186 | 2006.01.05
최근 이민부 통계에 따르면 지난 3년간 영국출신 이민자들은 2배 이상 늘어난 반면 다른 국가 이민자들은 대부분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회계년도 04/05년 기준… 더보기

[323] [연말연시 쇼핑가이드] 어떤 선물이 좋을까

댓글 0 | 조회 4,957 | 2005.12.22
최근 'AXA(Investment, Insurance회사)가' 615명의 직장인, 퇴직자들을 대상으로 '다가올 연말연시 쇼핑계획'에 대해 설문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더보기

2004/05년도 이민경향은

댓글 0 | 조회 5,110 | 2005.12.21
이민부는 지난 20일 자체웹사이트를 통해04/05년 회계년도 기준, 최근의 이민경향을 발표했다. 이기간 동안 총2.3million명이상(호주만 70만명)의 방문객… 더보기

이민부, 주신청자와 배우자는 다르다(?)

댓글 0 | 조회 5,308 | 2005.12.12
최근 'A'이민에이전트에 따르면 한 이민관이 주신청자와 똑같은 대학교를 졸업한 배우자에게 배우자로서의 학력점수인정을 못하겠다고 전해와서 논란을 빚고 있다고 말했다… 더보기

[322] 각 지역별 행정수수료는

댓글 0 | 조회 3,946 | 2005.12.12
행정수수료 최고 5배 차이…, 최근 장례식을 치루기전 매장 허가서를 받기 위해 웰링턴 시티 카운슬을 찾은 'A'모씨는 $1150을 부담했다. 그러나 똑같은 업무를… 더보기

[321] 생수, 수돗물보다 낫다(?)

댓글 0 | 조회 4,874 | 2005.11.21
작년 뉴질랜드에서는 무려 8천여톤에 이르는 폐 플라스틱병이 재생된 것으로 업계에 보고되고 있다. 이들 대부분은 거리에서 수집된 것으로 착용감이 우수하다는 특징을 … 더보기

[320] 클릭!!! 인터넷 쇼핑

댓글 0 | 조회 4,313 | 2005.11.11
클릭! 클릭! 클릭! 'Trademe(www.trademe.co.nz:하루방문객-22만명, 회원수-1.2million)' 'Bid4it (www.bid4it.co… 더보기

중국(17%), 필리핀 등 아시안국가 강세, 한국은 2.6%

댓글 0 | 조회 5,007 | 2005.11.11
9일(水), 이민부가 발표한 의향서 심사결과 총 798건(1,844명)이 채택되어 지난 10월26일 발표(784건, 1,830명)때와 거의 비슷했던 것으로 나타났… 더보기

뉴질랜드 입국시 의료검진 요건 강화

댓글 0 | 조회 5,020 | 2005.11.11
뉴질랜드 정부는 지금까지 2년이상 체류자에게만 의료 검진서를 제출토록 의무화 해 왔으나, 11월28일부터는 12개월이상 체류하는 자에 대하여 HIV(인체 면역결핍… 더보기

[319] NZ 최고의 인터넷 회사는

댓글 0 | 조회 4,627 | 2005.10.25
지난 18일, 뉴질랜드에서 3번째(고객수:십만명)로 큰 인터넷서비스 제공사업자(ISP)인 Ihug가 기존 전화모뎀보다 50배, Entry-Level ADSL보다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