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2] 각 지역별 행정수수료는

[322] 각 지역별 행정수수료는

0 개 3,955 코리아타임즈
행정수수료 최고 5배 차이…, 최근 장례식을 치루기전 매장 허가서를 받기 위해 웰링턴 시티 카운슬을 찾은 'A'모씨는 $1150을 부담했다. 그러나 똑같은 업무를 오클랜드 시티 카운슬에서 처리할 경우 이보다 2배 많은 $2263.50을 내야한다.

이처럼 각 지역별로 각종 인허가 관련서류나 증명서발급 또는 공공시설 이용료 등의 행정수수료가 들쭉날쭉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특히 애견등록의 경우 광역오클랜드 별로도 상당한 차이를 보였다. 우선 전국적으로 가장 비싼 곳은 웰링턴으로 더니든($58)보다는 2배 가까운 $105을 지불해야 하고, 오클랜드($38-$159), 마누카우($40-$150), 노스쇼어($55-$95), 와이타케레($48-94) 시티 카운슬 등도 조건별로 조금씩 달랐다.

따라서 현재 곳곳에서는 같은 행정서비스에 대한 수수료 편차가 크지 않도록 이를 개선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는 상황이다.
  
지난 10월, 소비자협회에서 조사한 결과를 좀더 자세하게 살펴보면 먼저 시티카운슬의 일반회의실이나 컨스런스홀 대여비는 오클랜드가 시간당 $8-$56까지로 가장 비싼편이었으며 그다음으로는 노스쇼어($5-$50), 마누카우($8-$32), 와이타케레($15-$25)순이었다.

또한  DVD대여도 역시 마찬가지로 최고(?)의 도시 오클랜드가 1주일당 $5(설령 오클랜드 최남단인 Bombay에 거주한다고 해도 마찬가지임)로 나타난 반면 타우랑아는 2주일에 $1.50, 더니든은 3개에 $6(1주일)로 저렴한 편이었다. 게다가 도서반환이 늦어질 경우도 큰 차이는 아니었지만 오클랜드는 무려 50센트의 벌금을 내야했다.
  
만약 공공수영장 입장료가 성인은 $2, 아이는 $1이라면 더할 나위없이 좋겠지만 현실은 그렇지 않은데 오클랜드는 성인이 $7, 아이는 $5로 나타났다. 이는 겨울철 추위를 막기 위해 하루종일 온수를 이용하는 더니든(어른 $4.50, 아이 $2)보다 높은 것이다. 또 다른 공공요금인 주차료는 조금은 작은 규모지만 웬만한 대도시의 위락시설과 서비스를 모두 제공하고 있으며, 온화한 기후로 유명한 말보로 사운드의 중심도시인 넬슨이 오클랜드보다 10배나 저렴한 시간당 50센트였다.

골프장의 경우는 타우랑아가 $12로 가장 저렴했으며, 웰링턴, 넬슨, 크라이스트처치가 $15, 그리고 더니든 $20, 오클랜드 $25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에 협회 관계자는 우스개소리로 더니든에서 애견을 등록하고, 타우랑아에서 골프와 수영을 즐길 것을 조언했다.                                        
  
이밖에도 주택구입시 매우 중요한 점검자료인 Lim리포트는 항구도시인 웰링턴이 $300로 전원도시인 크라이스트처치($150)보다 2배나 높았다. 그리고 더니든 $255, 오클랜드 $210, 타우랑아 $200 넬슨은 $170 이었다. 한편 각 지역카운슬의 행정수수료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뉴질랜드 소비자협회(www.consumer.org.nz)를 참조하면 된다.  

[333]겨울 필수품 전기담요 고르기

댓글 0 | 조회 5,983 | 2006.05.22
난방시설을 재정비해야 할 겨울철이 다가오고 있다. 특별히 매서운 추위는 없지만 으스스 몸을 떨게 하는 뉴질랜드 겨울 날씨. 따뜻한 전기담요 속으로 몸을 넣는 기분… 더보기

줄었던 이민자 다시 회복되는 추세 보여

댓글 0 | 조회 4,470 | 2006.05.20
이민자 실증가량이 6개월 전의 최하점에서 계속적으로 회복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뉴질랜드 통계청은 지난 달 970명의 영구/장기 이주자의 유입이 있었다면서 4… 더보기

4월 집값 현황, 판매량 적지만 집값은 상승

댓글 0 | 조회 5,218 | 2006.05.17
집판매량은 지난 달에 비해 떨어졌으나 집값은 계속해서 오르고 있다. Real Estate Institute는 어제(16일)4월 집값현황을 발표하면서 4월의 평균금… 더보기

호주로 다 뺏기는 이민자...

댓글 0 | 조회 5,751 | 2006.05.11
국민당의 이민관련 대변인 Lockwood Smith는 최근의 이민현황 자료를 보면 좋은 기술이 있는 이민자들을 다 호주로 빼앗기고 있다고 말했다. 올해 3월까지 … 더보기

[332] 빗물에 집도 새고 돈도 새고. . .

댓글 0 | 조회 4,910 | 2006.05.08
노스쇼어 지역 비치 앞의 전망 좋은 고급아파트를 렌트해 사는 A씨는 지난주 계속 비가 오 면서 부엌 천장에서 빗물이 새 골치를 앓고 있다. 아파트 주인은 이 사실… 더보기

주택허가(Building consents) 아직 최고를 기록하고 있어

댓글 0 | 조회 5,198 | 2006.04.29
좀더 적은 빌딩 허가가 지난달에 화제였지만 하우스빌딩 허가는 계속 최고를 경신하고 있다. Statistics New Zealand는 어제(금) 3월달의 $635m… 더보기

[331] 신세대 필수품, MP3 플레이어

댓글 0 | 조회 4,221 | 2006.04.24
영화 및 동영상 영어강의는 물론 스포츠경기 시청까지 용도가 다양한 특히 DMB 수신기능을 갖춘 'PMP(휴대형 멀티미디어 플레이어)'가 이미 폭발적인 인기를 끌고… 더보기

3월 집값 다시 튀어오르면서 평균 집값 상승

댓글 0 | 조회 5,081 | 2006.04.19
3월달의 집값이 다시 튀어오르면서 침체상황이지만 금액이 더 오르기를 관망하고 있다. 3월달의 국내 평균 집값이 $302,000을 기로하면서 지난 2월 보다 2.4… 더보기

[330] 채무자와 개인파산

댓글 0 | 조회 5,296 | 2006.04.10
일반적으로 파산은 합법적인 절차를 통해 채무를 취소하는 과정, 그리고 빚을 갚지 못한 상태라는 두가지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보통 한국과는 사업환경이 전혀 다른 … 더보기

부동산 마켓 약세를 보이면서 집값 하락

댓글 0 | 조회 5,459 | 2006.04.06
오클랜드에서 큰 부동산 업체 중의 하나인 Barfoot & Thompson은 3월달 부동산 평균판매 금액이 2월$464,092에서 3월 $460,847로 떨어졌다… 더보기

집매매 길어지고, 집 매물 많이 나와...

댓글 0 | 조회 5,534 | 2006.04.01
집을 사는 바이어들의 결정이 길어지면서 집거래가 길어지고 있지만 에이젼시들이 리스팅은 늘어나고 있다. 떨어지는 키위달러가 외국인들의 기습투자로부동산 시장이 나빠지… 더보기

불가능한(?) 투자이민

댓글 0 | 조회 8,123 | 2006.03.31
작년 7월 투자이민법 개정(200만불 투자) 이후 약 9개월 동안 영주권을 신청한 한국인은 단 1명, 이는 뉴질랜드가 얼마나 매력없는(?) 정착지인가를 여실히 보… 더보기

이민부, '중국으로 인터뷰 와라'

댓글 3 | 조회 6,323 | 2006.03.27
한국에 체류하면서 NZ이민부에 의향서(EOI)를 제출한 한 신청자는 최근 황당한 답변을 받았다. 그것은 바로 오늘 5월, 중국베이징에서 1시간정도의 인터뷰를 할 … 더보기

[329] 자동차 브랜드 파워 1위!!

댓글 0 | 조회 4,942 | 2006.03.27
벤츠, BMW, 아우디(Audi)등 일반적으로 유럽차라고 하면 고성능, 고품질, 훌륭한 실내 쾌적성, 개성적인 디자인으로 전세계에서도 최고급차의 대명사로 통하고 … 더보기

오클랜드 시내 약간의 상승세

댓글 0 | 조회 5,243 | 2006.03.24
최근의 Quotable Value(QV)는 지난 12개월동안 재산 가격이 11.4%에서 10.5%로 떨어졌다고 통계에 발표했다. 그러나 Manukau east는 … 더보기

아파트가 계속 늘고 있다.

댓글 0 | 조회 4,847 | 2006.03.21
오클랜드 시내 아파트 숫자가 작년에 비해 20%가 늘어났다. 2005년 20,700명이 11,500유니트에 살던 것이 현재 25,000명이 13,500유니트에 사… 더보기

이민부, 그 이름에서 'service'를 삭제하다

댓글 0 | 조회 5,121 | 2006.03.20
일반인들은 잘 알아차리지도 못하는 사이에 이민부는 슬며시 대외적으로 사용되는 호칭을 변경했는데 이제부터는 'Immigration New Zealand'가 'New… 더보기

2월달 House 판매는 증가, 가격은 감소

댓글 0 | 조회 4,670 | 2006.03.19
국내 평균 집값이 1월과 2월사이에 $300,000에서 $295,000으로 감소되었다고 Real Estate Institute에서 밝혔다. 에이전트들은 1월에 6… 더보기

[328] 열두살에 부자가 된 키라

댓글 0 | 조회 4,289 | 2006.03.13
유럽과 아시아를 포함, 전세계에서 무려 수천만부 이상이 팔리며 베스트셀러 대열에 오른 '열 두살에 부자가 된 키라(저자 Bodo Schafer:세계적인 경영컨설턴… 더보기

오클랜드 부동산 시장 판매는 저조 한데 가격은 상승?

댓글 0 | 조회 5,590 | 2006.03.08
오클랜드 Barfoot & Thompson 부동산 회사의 최근 집계에 의하면 오클랜드부동산 시장은 뒤죽 박죽한 결과로나타났다.전년에 비해서 판매량은줄었지만 가격은… 더보기

영국인은 31.7% 반면 한국인은 2.2%

댓글 0 | 조회 4,902 | 2006.03.06
지난 1일(수) 있었던 의향서 심사결과 채택건수는 2주전보다 32건 줄어든 579건(1,340명)이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중에서 386건이 140점 이상이었… 더보기

오클랜드, 23년 동안 가장 많이 오른 지역

댓글 0 | 조회 5,040 | 2006.03.01
뉴질랜드 집값이 지난 23년 동안 73개의 지역중 10곳이 떨어졌으나, 따뜻한 지역이나 일거리가 많은 곳은 많은 증가를 보였다고 밝혔다. Public Policy… 더보기

[327] 숨겨진 수수료 '아는 만큼 아낀다'

댓글 0 | 조회 4,622 | 2006.02.27
만약 한달동안 ATM(현금자동 입출금기)에서 인출 또는 송금, Eftpos, 수표발행등으로 45불의 수수료를 냈다면 이는 1년 정기예금에 1,200 불을 맡겼을때… 더보기

소규모 아파트투자는 이익? 손해?

댓글 0 | 조회 5,126 | 2006.02.25
주택시장에 어두운 그림자가 드리워지면서 주로 렌트수입을 위해 몇년전부터 집중적으로 건설된 시티아파트에 대한 평가가 다시 나오고 있다. 한 부동산에이전트는 "일반적… 더보기

한국, 해외부동산 투자 자유화 1년 앞당겨 내년 시행

댓글 0 | 조회 4,222 | 2006.02.23
이르면 내년부터 한국에서 해외 부동산에 쉽게 투자할 수 있게 된다. 또 올해 안에 주거용 해외부동산 투자 한도(현재 100만 달러)가 없어질 전망이다. 재정경제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