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3] 마술같은 분위기를!!! - 카펫 고르는 요령 -

[313] 마술같은 분위기를!!! - 카펫 고르는 요령 -

0 개 5,333 코리아타임즈
뉴질랜드에서 예술품(?)인 동시에 실용품인 카펫, 보통은 나일론, 폴리프로필렌을 주재료로 하는 합성섬유와 면, 양모 등의 천연섬유로 나뉘어지고 또한 하나하나가 세상에서 단 하나뿐인 작품이며 수만불을 호가하는 페르시아 양탄자까지 다양한 종류 및 칼라, 스타일의 카펫들을 시중에서 볼 수 있다. 이처럼 선택의 폭이 넓고 천차만별인 가격 때문에 카펫 교체작업은 실질적으로 커다란 투자일 수 밖에 없는데 분위기를 잘 살리면서 그리고 실용적이면서도 감각적인 연출을 할 수 있는 카펫 구입방법에 대해 알아보기로 하자.
  
***** 카펫, 제대로 알고 구입하자 *****
일반적으로 카펫의 외관이나 느낌은 제조공법이나 보풀(Pile) 밀도, 엉킴(Twist)의 정도, 재질 및 섬유의 종류 그리고 실의 굵기나 두께에 따라 많이 좌우되며 뉴질랜드에서는 대개 Tufted(술을 이룬)나 Woven(짜 맞춘) 카펫이 주를 이룬다. 또한 제조공법에 따른 카펫은 Tufted, Woven, Shag, Wilton, Knitted 등 15여가지가 있다.

-Tufted 카펫 : 근래들어 가장 보편화되고 있는 카펫으로 기포에다가 보풀을 직접 기계로 심고 Backing하는 방법을 이용하며 이는 다시 Loop pile과 Cut Pile로 나누어 진다. ① Loop Pile은 단단하고 때가 잘 타지 않아 비교적 보행빈도가 많은 곳에 사용되는데 일정한 높이로 정돈되어 있고 보풀길이는 7㎜정도이다. ② Cut Pile은 세계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카펫으로 보풀의 길이는 10㎜에서 20㎜까지 다양하다.                

-Woven 카펫 : 보풀 심는 것과 Backing을 동시에 실시하는 방법을 이용하는데 Axminst er과 Wilton이 대표적이다. Wilton은 밀도가 가늘고 위사와 경사에 보풀을 구속하여 제조하기 때문에 탄탄하고 내구력이 우수한 편이다. Tufted가 출현하기 전까지는 세계 카펫시장의 대부분을 차지했으나 색상이 5가지 이내(자동문양장치의 한계)로 제한되는 단점이 있었다. 반면에 Axminster는 다양한 색상을 표현할 수 있다. 한편 Woven은 대체적으로 Turfed에 비해 좀 더 비싼 편으로 알려져 있다.          

***** 반영구…, 무조건 싼 제품은 NO *****
싼 제품일수록 시간이 지나면서 더러워지는 정도가 크게 되고 빨리 싫증이 나는 등 얼마 지나지 않아 다시 교체를 해야 하는 경우가 허다하다. 따라서 교체시 현재 재정상황을 잘 고려하여 최선의 제품을 선택하는 것이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그렇다면 어떤 재질의 카펫이 가장 좋은가? 물론 이에 대한 정확한 해답은 없다.

저렴한 양모제품은 나일론 제품에 비해 항상 보기에도 좋고 쉽게 더러워지지도 않지만 빨리 닳아 빠지고는 한다. 반대로 고급 양모 및 나일론 제품은 내구성이 뛰어나지만 상대적으로 비싼 단점이 있다. 알려진 바에 의하면 합성섬유는 디자인과 소재에서 다양하고 저렴한 편이며 천연섬유,  그 중에서도 양모제품은 보온효과가 뛰어나고 습도조절 기능도 가능하다. 그리고 면제품은 감촉이 뛰어나고 때가 잘 타지 않는다.  

-양모(Wool) : 주로 고품격 카펫에 이용되고 훌륭한 탄력을 자랑하지만 때때로 해충으로 인해 쉽게 손상되기도 한다. 가격은 보통 미터당 $100에서 $300정도이다.

-나일론(Nylon) : 질기고 단단하며 내구성이 뛰어나고 해충에 대한 내성도 강하다. 반면 가끔씩 정전기가 일어난다는 단점이 있다. 현재는 양모제품과 8:2(양모/나일론 )로 혼합하여 양쪽의 장점을 동시에 살리는 제품이 유행하고 있다. 가격은 양모와 마찬가지로 미터당 $100에서 $300정도이다.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 양모나 나일론에 비해 상당히 저렴해서 렌트용 주택에 많이 사용된다. 곰팡이가 잘 생기지 않고 물로 인한 얼룩도 거의 없다. 가격은 미터당 $100미만이다.            
  
이외에도 꼭 알아두어야 할 사항으로는 Wools of NZ, Woolmark, Woolblendmark, ACC S 등의 등급을 자세하게 살펴보고, 구입전 다양한 샘플을 비교해보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Underfloor 난방일 경우 카펫에 미치는 영향도 꼼꼼히 따져 보는 것이 좋다.  

[329] 자동차 브랜드 파워 1위!!

댓글 0 | 조회 4,944 | 2006.03.27
벤츠, BMW, 아우디(Audi)등 일반적으로 유럽차라고 하면 고성능, 고품질, 훌륭한 실내 쾌적성, 개성적인 디자인으로 전세계에서도 최고급차의 대명사로 통하고 … 더보기

오클랜드 시내 약간의 상승세

댓글 0 | 조회 5,244 | 2006.03.24
최근의 Quotable Value(QV)는 지난 12개월동안 재산 가격이 11.4%에서 10.5%로 떨어졌다고 통계에 발표했다. 그러나 Manukau east는 … 더보기

아파트가 계속 늘고 있다.

댓글 0 | 조회 4,849 | 2006.03.21
오클랜드 시내 아파트 숫자가 작년에 비해 20%가 늘어났다. 2005년 20,700명이 11,500유니트에 살던 것이 현재 25,000명이 13,500유니트에 사… 더보기

이민부, 그 이름에서 'service'를 삭제하다

댓글 0 | 조회 5,125 | 2006.03.20
일반인들은 잘 알아차리지도 못하는 사이에 이민부는 슬며시 대외적으로 사용되는 호칭을 변경했는데 이제부터는 'Immigration New Zealand'가 'New… 더보기

2월달 House 판매는 증가, 가격은 감소

댓글 0 | 조회 4,672 | 2006.03.19
국내 평균 집값이 1월과 2월사이에 $300,000에서 $295,000으로 감소되었다고 Real Estate Institute에서 밝혔다. 에이전트들은 1월에 6… 더보기

[328] 열두살에 부자가 된 키라

댓글 0 | 조회 4,290 | 2006.03.13
유럽과 아시아를 포함, 전세계에서 무려 수천만부 이상이 팔리며 베스트셀러 대열에 오른 '열 두살에 부자가 된 키라(저자 Bodo Schafer:세계적인 경영컨설턴… 더보기

오클랜드 부동산 시장 판매는 저조 한데 가격은 상승?

댓글 0 | 조회 5,592 | 2006.03.08
오클랜드 Barfoot & Thompson 부동산 회사의 최근 집계에 의하면 오클랜드부동산 시장은 뒤죽 박죽한 결과로나타났다.전년에 비해서 판매량은줄었지만 가격은… 더보기

영국인은 31.7% 반면 한국인은 2.2%

댓글 0 | 조회 4,905 | 2006.03.06
지난 1일(수) 있었던 의향서 심사결과 채택건수는 2주전보다 32건 줄어든 579건(1,340명)이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중에서 386건이 140점 이상이었… 더보기

오클랜드, 23년 동안 가장 많이 오른 지역

댓글 0 | 조회 5,043 | 2006.03.01
뉴질랜드 집값이 지난 23년 동안 73개의 지역중 10곳이 떨어졌으나, 따뜻한 지역이나 일거리가 많은 곳은 많은 증가를 보였다고 밝혔다. Public Policy… 더보기

[327] 숨겨진 수수료 '아는 만큼 아낀다'

댓글 0 | 조회 4,626 | 2006.02.27
만약 한달동안 ATM(현금자동 입출금기)에서 인출 또는 송금, Eftpos, 수표발행등으로 45불의 수수료를 냈다면 이는 1년 정기예금에 1,200 불을 맡겼을때… 더보기

소규모 아파트투자는 이익? 손해?

댓글 0 | 조회 5,128 | 2006.02.25
주택시장에 어두운 그림자가 드리워지면서 주로 렌트수입을 위해 몇년전부터 집중적으로 건설된 시티아파트에 대한 평가가 다시 나오고 있다. 한 부동산에이전트는 "일반적… 더보기

한국, 해외부동산 투자 자유화 1년 앞당겨 내년 시행

댓글 0 | 조회 4,224 | 2006.02.23
이르면 내년부터 한국에서 해외 부동산에 쉽게 투자할 수 있게 된다. 또 올해 안에 주거용 해외부동산 투자 한도(현재 100만 달러)가 없어질 전망이다. 재정경제부… 더보기

학생비자/퍼밋 신청비 인상

댓글 0 | 조회 4,659 | 2006.02.20
오는 28일(화)부터 학생비자 신청비가 현행 70불에서 120불로 인상될 예정이다. 이민부는 보다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이와 같은 방침을 세웠다고 밝혔다.… 더보기

[326] 은행들의 서비스 만족도

댓글 0 | 조회 4,133 | 2006.02.15
작년 이맘때 소비자협회에서는 시중 은행들의 고객 서비스부분에 대해 종합적인 평가를 내렸었는데 당시 PSIS는 뉴질랜드 5대은행사들(ASB, National, BN… 더보기

지난 12개월 집 값 16.8%이상 오름.

댓글 0 | 조회 4,348 | 2006.02.13
지난주 1월달 집매매량이 최악으로 보고되었지만 지난 1년 동안 집값은 올랐다는 보고가 나왔다. Quotable Value의 오늘(13일) 통계에 따르면 주거용 부… 더보기

취업비자 수속중에는 방문비자 신청할 수 없다(?)

댓글 0 | 조회 4,937 | 2006.02.11
최근 'A'모씨는 취업비자를 신청해놓고 기다리는 도중 비자만료기간이 다가와서 방문비자를 신 청했다. 하지만 이민부에서는 '취업비자를 신청한 사람이기 때문에 방문비… 더보기

1월 집매매량 지난 5년동안 최악

댓글 0 | 조회 4,512 | 2006.02.10
뉴질랜드에서 가장 큰 부동산 업체인 Harcourts는 지난 달 판매량이 30~40%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으며 오클랜드에서 가장 큰 부동산 업체인 Barfoot … 더보기

주택에 대한 신뢰 점점 빡빡해져

댓글 0 | 조회 4,417 | 2006.02.08
ASB은행에서 최근 실시된 조사서에서는 주택에 대한 신뢰가 많이 빡빡해 졌다고 발표했다. ASB은행의 경제 담당자 Anthony Byett는 35%의 응답자가 앞… 더보기

매니저급은 무조건 연봉 5만불이상(?)

댓글 0 | 조회 6,791 | 2006.02.07
'마케팅 매니저는 평균 연봉이 보통 8만불 정도인데 어떻게 3만불을 받으면서 마케팅 매니저역할을 할 수가 있는가' 이는 최근에 기각당한 한 신기술이민건에 대한 이… 더보기

[325] 디지털 카메라 인화는

댓글 0 | 조회 4,620 | 2006.01.31
한국에 비해 성장속도는 더디지만 디지털 카메라 판매와 함께 디지털 카메라 인화(印畵)등 서비스 시장은 최근 들어 급팽창하고 있는 추세로 올해말경에는 카메라 스토어… 더보기

평균 dairy farm $3.2million을 기록.

댓글 0 | 조회 4,591 | 2006.01.27
평균 dairy farm금액이 한 달동안 거의 1 million이 오르면서 기록을 세웠다. 부동산 협회는 23일 작년 11월에 평균 dairy farm이 2.3m… 더보기

경제전망 어두움에 불구, 주택 투자자 함박웃음

댓글 0 | 조회 4,502 | 2006.01.24
뉴질랜드 투자자들이 부동산 투자로 경기가 안좋은 상황이였던 2005년 이였는데도 불구하고 그들의 이익은 증가 되었다고 보도되었다. 부동산 시장이 서서히 떨어질거라… 더보기

[324] '화질로 승부', LCD TV의 최강자는

댓글 0 | 조회 4,403 | 2006.01.16
뉴질랜드 소비자협회에서는 두달전 대형 디스플레이의 양대산맥인 플라즈마와 LCD TV의 밝기(대개 1000cd/㎡와 같이 표기), 대비(Contrast:검은색과 흰… 더보기

영국을 제외한 대부분 국가들의 이민자수 감소

댓글 0 | 조회 5,198 | 2006.01.05
최근 이민부 통계에 따르면 지난 3년간 영국출신 이민자들은 2배 이상 늘어난 반면 다른 국가 이민자들은 대부분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회계년도 04/05년 기준… 더보기

[323] [연말연시 쇼핑가이드] 어떤 선물이 좋을까

댓글 0 | 조회 4,972 | 2005.12.22
최근 'AXA(Investment, Insurance회사)가' 615명의 직장인, 퇴직자들을 대상으로 '다가올 연말연시 쇼핑계획'에 대해 설문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