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스본 일부 지역 홍수, 주민들 대피

기스본 일부 지역 홍수, 주민들 대피

0 개 1,903 노영례

0c4e8069b73a5f0e1e7501b7b21130ad_1636021946_1092.png
▲홍수 피해 지역의 구조팀; 출처 기즈본 지역 카운실 페이스북 


북섬의 일부 기즈번 주민들은 홍수로 인한 침수 지역에서 수위가 상승함에 따라 대피 하라는 지시를 받았다.


MetService는 11월 4일 오후 4시까지 36시간 동안 기즈번(Gisborne) 공항에 174mm의 비가 내렸으며 이는 11월 평균 강우량 65mm의 거의 3배이다. 민방위는 목요일 오후 2시에 이 지역에 비상사태를 선포했다.


Metservice는 기즈본 지역의 폭우 경보를 11월 4일 목요일 오후 8시 39분을 기해서 취소했지만, 이 지역은 홍수 피해를 입었다. Metservice는 기즈본과 혹스베이에 폭우가 그쳐 경고는 해제되었지만, 금요일까지 비가 내릴 것이라고 예보했다. 


Sponge Bay 주민들은 필요한 경우 대피할 준비를 하라는 경고를 받았으며, 계약자들이 모래주머니 장벽을 건설하기 위해 분주하게 움직이면서 일부 주민들은 이미 그 지역을 떠났다.


IRN 보트는 홍수 피해 지역의 주민들을 대피시키는 데 사용되었다. 특히 피해가 심한 지역은 카이티(Kaiti)와 타루헤루(Taruheru) 강변이었다. 많은 도로가 폐쇄되었고 전원이 차단되었다.


이동식 화장실은 최악의 영향을 받는 지역 중 하나인 Sponge Bay에도 배달되었다.


카이티(Kaiti)와 퍼거슨 드라이브(Fergusson Drive)의 일부도 물에 잠겼고 저지대에서는 샌드백으로 범람 피해를 줄이기 위한 작업이 진행되었다. 


0c4e8069b73a5f0e1e7501b7b21130ad_1636022087_8612.png
 

타루헤루 강변의 주민들은 밀물이 다가오면서 대피할 준비를 하라는 요청을 받았다.


이스트 케이프 로드와 마카로리 힐에도 산사태가 있었지만 두 곳 모두 여전히 1차선으로만 통행이 가능했다. Anaura Bay는 완전히 차단되었다.


0c4e8069b73a5f0e1e7501b7b21130ad_1636022102_1847.png
 

Te Poho o Rawiri Marae와 함께 Wainui School Hall, 구세군, House of Breakthrough 세 곳에 대피 장소가 준비되었다. 


민방위 관제사인 데이브 윌슨은 기스본 지역에 지표면 홍수로 여러 도로가 폐쇄되었으며 Pouawa와 Loisels의 일부 사람들이 대피했다고 말했다.


0c4e8069b73a5f0e1e7501b7b21130ad_1636022149_2631.png
 

오후 6시 만조 때를 대비해 주민들은 대피했고, 민방위는 하천을 면밀히 모니터링하며 만약의 사태에 대비했다. 


국도와 지방도의 도로 상황은 시시각각 변하고 있기 때문에 상황에 맞게 운전하고 꼭 필요한 경우에만 이동하라고 민방위는 경고했다. 또한, 사람들이 카운실에 연락하여 홍수를 보고하도록 권장했다.


안전이 염려되는 사람은 친구나 화나우(가족)와 함께 있어야 하며, 갈 곳이 없는 사람들을 위해 준비된 대피 장소를 이용하라고 민방위는 알렸다. 


여러 도로가 폐쇄되었으며 일부는 산사태로 인해 한 차선이 흙과 돌덩이로 뒤덮혔다. Sponge Bay는 표면 범람으로 인해 건물에 대한 일부 접근이 제한되었다. 다른 지역의 많은 사유지에서는 폐수가 역류하면서 하수가 넘친다는 보고가 있었고, 해안의 일부 학교는 문을 닫았다.


민방위 관제사인 데이브 윌슨은 기즈본 지역의 시스템이 엄청난 양의 물을 감당할 수 없다고 말했다.


MetService는 앞서 해당 지역에 주황색 경보를 발령했으며 오후 6시 이후 비가 그칠 것으로 예상했다.


기즈본 지역 카운실은 11월 3일 아침부터 220mm의 비가 내렸고 그 팀은 도시의 하수 및 빗물 시스템을 모니터링하는 바쁜 밤을 보냈다고 말했다.



타이라휘티(Tairawhiti) 민방위 및 비상 사태 관리자인 벤 그린은 홍수가 포화 수준에 도달했으며 일부 지역의 토지 안정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미드데이 리포트에 말했다. 


수요일 밤, 비상 하수 밸브가 시스템의 압력을 해제하고 하수 범람을 방지하기 위해 열렸다.


타이라휘티(Tairawhiti) 민방위 및 비상 사태 관리자인 벤 그린은 광범위한 정전이 발생하지 않았지만 일부 지역은 다른 지역보다 더 큰 피해를 입었다고 말했다.


거센 강풍으로 인해 나무가 쓰러져 Moanui Road를 폐쇄되었고,  Anaura Road는 홍수로 폐쇄되어 도로 상황에 영향을 미쳤다. 


0c4e8069b73a5f0e1e7501b7b21130ad_1636022120_5886.png

▲이미지 출처 : 기즈본 지역 카운실 페이스북

COVID-19 몇 달 안에 뉴질랜드 다른 지역으로 퍼질 것

댓글 0 | 조회 5,181 | 2021.11.10
크리스 힙킨스 COVID-19 대응부 장관은 정부가 오클랜드를 통제하고 있지만, 앞으로 몇 달 안에 바이러스가 오클랜드에서 다른 지역으로 퍼질 것이라고 말했다.그… 더보기

Air NZ 국내선 여행자, 백신 접종 증명 또는 음성 결과 제공해야

댓글 0 | 조회 3,270 | 2021.11.10
에어뉴질랜드는 국내선 항공기를 이용하는 모든 여행자가 국내선 탑승 수속 전에 백신 접종 증명서 또는 COVID-19 검사 후 음성 결과를 제공해야 한다고 발표했다… 더보기

정부, 공공 서비스 계약자에 대한 생활 임금 보장

댓글 0 | 조회 3,015 | 2021.11.10
청소부, 케이터링 서비스 제공자, 경비원을 포함한 정부의 공공 서비스 계약자로 최저 임금 근로자 중 일부는 곧 시간당 최소 22.75달러의 생활 임금(living… 더보기

오클랜드와 와이카토 모든 학교, 11월 17일부터 등교

댓글 0 | 조회 3,520 | 2021.11.10
오클랜드와 와이카토의 모든 학교는 11월 17일부터 등교한다.크리스 힙킨스 COVID-19 대응부 장관이자 교육부 장관은 11월 10일 오후 1시 브리핑을 통해,… 더보기

11월 10일 새 커뮤니티 확진자 147명, 중환자실 11명

댓글 0 | 조회 3,978 | 2021.11.10
11월 10일 오후 1시 브리핑에는 크리스 힙킨스 COVID-29 대응부 장관과 애슐리 블룸필드 보건부 차관이 나온다.보건부 오후 1시 브리핑과 동시에 보건부에서… 더보기

북섬 킹 컨트리 지역 학교, 교사들 교실에 못 들어갈 수도..

댓글 0 | 조회 2,454 | 2021.11.10
북섬의 한 시골 지역인 킹 컨트리 지역의 학교는 정부의 백신 의무 접종 명령이 다음 주에 발효되면 모든 교사들이 교실에 들어갈 수 없게 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더보기

이상 고온으로 연일 뜨거운 날씨, 주말부터는 봄 날씨

댓글 0 | 조회 2,785 | 2021.11.10
이상 기온으로 때아닌 뜨거운 날씨와 높은 습도, 밤까지 이어지는 끈적끈적한 날씨가 이어지고 있지만 곧 봄철의 변덕스러운 날씨로 바뀔 것으로 예보되었다. 전국적으로… 더보기

오클랜드 또다른 요양 시설, 확진자 발생

댓글 0 | 조회 1,961 | 2021.11.10
또 다른 노인 요양 시설 레스트 홈에서 코비드-19 양성자가 나온 것으로 보건부는 밝혔다. 어제 보건부는 한 거주자의 양성 반응이 밝혀진 이후 아본데일에 위치한 … 더보기

오클랜드 갤러리나 박물관, 개장 서두르지 않아

댓글 0 | 조회 1,449 | 2021.11.10
학교에 가지 못하는 자녀들을 둔 부모들은 오늘부터 자녀들을 위한 장소들이 열리게 되지만, 아직까지 모든 장소들이 공개되지는 않고 있다. MOTAT 박물관이 가장 … 더보기

주택 평균 가격, 100만 달러 시대

댓글 0 | 조회 2,412 | 2021.11.10
사상 처음으로 평균 가격이 백 만 달러를 넘어서면서 지난 달 주택 시장은 최고의 기록을 세웠다. 10월까지 3개월간의 평균 가격은 5.3% 올랐으며, 9월말까지의… 더보기

총질로 무고한 고교생 죽인 범인 법정 출두 연기

댓글 0 | 조회 3,301 | 2021.11.09
크라이스트처치에서 파티 중이던 10대 청소년이 총격으로 사망한 가운데 병원에 입원 중인 범인의 법정 출두가 미뤄졌다. 번사이드(Burnside) 하이스쿨 재학생으… 더보기

9월까지 연간 주택건축허가 25% 급증

댓글 0 | 조회 1,697 | 2021.11.09
지난 9월말까지 연간 기준 ‘신규주택 건축허가(new homes consentes)’가 그 전년 같은 기간에 비해 25%나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통계 자… 더보기

헌신적 도움으로 건강 찾고 바다로 돌아간 물개

댓글 0 | 조회 1,184 | 2021.11.09
사람들에게 여러 달 동안 보살핌을 받아 건강을 되찾은 물개가 야생으로 무사히 돌아갔다. 넬슨의 수의사인 마나 스트래턴(Mana Stratton)이 ‘몰리(Moll… 더보기

10월 카드 지출 “8월 이전으로 회복됐다”

댓글 0 | 조회 1,189 | 2021.11.09
지난 10월에 국내 소비자들이 신용카드와 직불카드 등 카드를 이용해 지출한 금액이 전달에 비해 6억달러 이상 증가했다. 11월 9일(화) 나온 통계국 자료에 따르… 더보기

11월 9일, 새 커뮤니티 확진자 125명, 병원 입원 79명

댓글 0 | 조회 4,245 | 2021.11.09
11월 9일 새 커뮤니티 확진자 등에 대한 발표가 서면 보도자료로 대체된다.오늘 새 커뮤니티 확진자는 125명이며,병원 입원자는 79명이다.어제 접종된 COVID… 더보기

부동산 첫 주택 구입자 증가

댓글 0 | 조회 3,399 | 2021.11.09
부동산 시장에서의 첫 주택 구입자들의 비중이 계속해서 늘어나면서 최고의 기록을 보였으며, 이러한 추이가 지속될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보여지고 있다. 부동산 분석 … 더보기

다음 주 중, 오클랜드 경계 개방 시기 발표

댓글 0 | 조회 4,019 | 2021.11.09
Jacinda Ardern 총리는 다음 주 중 오클랜드 시 경계 개방에 대한 시점을 발표할 것으로 전해졌다. 정부는 오는 11월 29일 각료 회의에서 오클랜드가 … 더보기

와이헤케 섬, 새 확진자 발생

댓글 0 | 조회 2,065 | 2021.11.09
오클랜드의 마운트 알버트 그래머 스쿨이 어젯밤 또 한 명의 코비드-19 감염사례가 확정되면서 이번 주 문을 닫을 것으로 전해졌다. 대부분의 고등학교 고학년 학생들… 더보기

레벨 3, Step 2에서 할 수 있는 것과 할 수 없는 것

댓글 0 | 조회 10,483 | 2021.11.08
11월 9일 화요일 밤 11시 59분부터 오클랜드는 COVID-19 레벨 3, Step 2 로 전환된다.Alert Level 3 Step 2 에서 어떤 것이 허용… 더보기

에어 뉴질랜드, 12월 6일부터 국내선 항공료 인하

댓글 0 | 조회 4,630 | 2021.11.08
11월 8일 월요일 오후 4시 브리핑에서 재신다 아던 총리는 오클랜드의 3개 지역보건위(DHB)의 2차 백신 접종률이 90%에 도달하면 현재의 레벨 제한 시스템에… 더보기

오클랜드, 내일밤부터 레벨 3 Step2로 전환

댓글 0 | 조회 7,952 | 2021.11.08
[오후 5시 6분 업데이트] 오후 4시 브리핑에서 재신다 아던 총리는 오클랜드가 지난주에 예고되었던 대로 내일밤부터 레벨 3 Step 2로 전환된다고 발표했다.A… 더보기

불치병 환자를 위한 조력 죽음(Assisted dying), 엄격한 기준

댓글 0 | 조회 1,975 | 2021.11.08
보건부는 불치병 환자로 조력 죽음(Assisted dying)을 원하는 사람들을 위한 강력한 절차를 보장하는 것이 새로운 서비스의 일부로 필수적인 보호 장치라고 … 더보기

11/8 새 커뮤니티 확진자 190명, 병원 입원 81명

댓글 0 | 조회 4,562 | 2021.11.08
[1:59pm 최종 업데이트] 11월 8일, 정부에서는 오클랜드와 노스랜드, 와이카토 일부 지역의 레벨 3 Step1이 Step2 로 전환될 것인지 등에 대한 내… 더보기

격리 시설(MIQ)에서, COVID-19 확진자 사망

댓글 0 | 조회 3,390 | 2021.11.08
정부가 관리하는 격리 및 검역 시설에서 COVID-19 확진자가 사망했다.사망자는 최근 뉴질랜드로 돌아온 사람이었다고 보건부가 확인했다.11월 3일에 도착한 귀국… 더보기

이민 정책 사회적 상황과 별개로 운영,개선안 제시

댓글 0 | 조회 2,576 | 2021.11.08
이민 정책이 사회 간접 시설과 주택 공급 등 사회적인 상황과는 연결되지 않은 채 독자적으로 운영되고 있다고 생산성 위원회의 보고서에서 나타났다. 생산성 위원회는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