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종차별, 어떻게 대응하면 좋을까?

인종차별, 어떻게 대응하면 좋을까?

0 개 3,413 노영례

27d01707c1dd904019b12e4e2eb4203a_1616325217_509.png
 

COVID-19 한인연대의 최윤우 학생(오클랜드대학 한인학생회 AKSA)은 "코로나19로 힘든 시간을 보내고 있는 가운데, 한국인을 포함한 동양인을 대상으로 하는 인종차별 문제가 전 세계에서 발생하고 있다"며, 뉴질랜드 인권위원회 (New Zealand Human Rights Commission)에서 발표한 “인종차별에 대응하는 방법” 번역본을 제공해왔다. 최윤우 학생은 가장 좋은 상황은 인종차별을 당하지 않는 것이지만, 만약 이런 상황이 발생한다면 동포 여러분 모두가 안전하고 지혜롭게 인종차별에 대응하기를 기원한다고 덧붙였다.


아래는 뉴질랜드 인권위원회에서 발표한 "인종차별에 대응하는 방법" 이다. 


1. 다른 인종이나 종교집단에 대한 부정적인 표현에 주의하라. 인종 또는 종교집단에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면 먼저 다가가 어떻게 도울 수 있는지 물어보라.


2. 인종, 행사, 문화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다른 인종이나 종교집단에 대한 부정적인 표현을 사용하지 않는 것이 특히 더 중요하다. 인종차별에 대한 의견을 말할 때는 사실에 기반으로 이야기하여야 한다. 또한 COVID-19dl 시작된 지역 등 인종, 민족에 대한 선입견을 갖지 않도록 주의하라


- 뉴질랜드 인권위원회 (https://covid19.hrc.co.nz/your-rights)

- 뉴질랜드 정부 (https://covid19.govt.nz/)

- 뉴질랜드 보건부 (https://www.health.govt.nz/our-work/diseases-and-conditions/covid-19-novel-coronavirus)

- 블룸버그 (https://www.bloomberg.com/news/videos/2020-04-11/how-to-spot-coronavirus-misinformation-video)


3. 상황을 고려하여 가능한 경우 적극적으로 행동하라. 인종차별적인 상황에 마주했을 때 바로 최선의 대응 방법을 생각해내는 것은 어려울 수 있다. 그러므로 차별에 대응하는 정확한 방법을 미리 알아두는 것이 중요하다.


4. 우리는 모두 살면서 한 번쯤은 이런 상황에서 방관자인 적이 있다. 자신 또한 그 상황의 피해자 되고 싶지 않기 때문일 수도 있지만 차별에 함께 대응하는 것은 매우 큰 지지의 표현이다.


5. 인권위원회의 인종차별 대응 매뉴얼을 읽어보라. 어떤 것이 인종차별이고, 각 시나리오에 맞는 대응법을 확인하실 수 있다. https://www.hrc.co.nz/files/6714/2354/5062/24-Nov-2009_16-20-38_RacialHarassment-web.pdf


6. 먼저 피해자의 안전을 확보하라. 공격자에게는 대응하지 말고 피해자가 괜찮은지, 어떤 감정을 느끼고 있는지 확인하라.


7. 가능하다면 상황을 이해할 수 있는 증거를 수집하라. 상황이 발생한 시간과 장소 등을 기록하고 최대한 자세히 내용을 기록하라. 이후 모은 증거를 경찰에 전달하라.


8. 공공장소에서 인종차별이 발생한다면 “Why don’t you just leave him/her alone?” 또는 “Could you be a bit kinder?”와 같이 상황을 무마할 수 있는 말을 해주라.


9. 직접적으로 말할 수 없다면, 피해자의 옆에 서거나 같이 앉아있는 등 자리를 함께 지켜주라. 주위에 경비원 등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사람이 있는지 확인하고, 없다면 경찰에 바로 신고하라.


10. 페이스북, 유튜브 등 온라인에서 인종차별적인 상황을 마주한다면 자체 신고기능을 이용하라. 대부분의 사이트는 신고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경찰이나 인권위원회에서도 도움을 받을 수 있다.


- 상담원 연결 (1717)

- 라이프라인 (0800 543 354, 또는 4357로 문자)

- 유스라인 (0800 376 633, 또는 234로 문자)

- 사마리안 (0800 726 666)

- 경찰 (긴급상황 111, 범죄 신고 105)


자료출처: https://www.hrc.co.nz/resources/responding-racism/ 


[COVID-19 뉴질랜드 한인연대 - 오클랜드 한인학생회 (AKSA) 최윤우 학생 제공]



27d01707c1dd904019b12e4e2eb4203a_1616325316_1988.png
27d01707c1dd904019b12e4e2eb4203a_1616325320_6685.png
 

27d01707c1dd904019b12e4e2eb4203a_1616325338_07.png
 

국내에서 상업용으로 재배된 첫 파인애플 시장에 등장한다

댓글 0 | 조회 2,635 | 2021.03.23
노스랜드의 한 부부가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상업용 파인애플을 재배해 본격적으로 시장에 내놓을 준비를 하고 있다. 이들 부부는 10년 전 해밀턴에서 팡가레이(Whan… 더보기

푸드뱅크 도난 소식에 다시 기부에 나서는 주민과 단체들

댓글 0 | 조회 2,607 | 2021.03.23
살림이 어려운 가정들을 돕는 푸드뱅크 창고 물품들이 대규모로 도난당하자 다시 지역 주민과 단체들이 기관을 돕기 위해 나섰다. 북섬 남부 카피티(Kāpiti)의 나… 더보기

오클랜드 2곳에서 잇달아 시신 발견

댓글 0 | 조회 4,312 | 2021.03.23
오클랜드의 각기 다른 지역에서 2구의 시신이 잇달아 발견돼 경찰이 조사 중이다. 첫 번째 시신은 3월 23일(화) 오전에 오클랜드 도메인의 도메인 드라이브가 끝나… 더보기

확진자 방문 장소 1곳, 마운트로스킬 카운트다운

댓글 0 | 조회 3,194 | 2021.03.23
보건부는 어제 저녁에 발표한 새 확진자인 격리 시설 근로자가 방문했던 장소를 공개했다. 확진자 방문 장소는 112 Stoddard Road에 있는 Mount Ro… 더보기

어제 확진된 국경 근로자 가족 1명, 약한 양성

댓글 0 | 조회 4,362 | 2021.03.23
3월 23일 화요일, 보건부는 유튜브 채널을 통해 실시간으로 브리핑을 했다. 어제 저녁, 격리 시설로 이용되는 그랜드 밀레니엄 호텔의 청소부가 확진된 후, 오늘 … 더보기

Emirates 항공, 오클랜드로의 왕복 운항 증편

댓글 0 | 조회 2,630 | 2021.03.23
해외 여행이 여전히 불투명하지만, Emirates 항공은 오클랜드로의 왕복 운항을 증편한다고 밝혔다. 3월 28일부터 Emirates 항공은 주당 두 편의 서비스… 더보기

호주와의 트랜스-타스만 버블 시작일, 4월 6일 이후 발표

댓글 0 | 조회 2,497 | 2021.03.23
정부는 호주와의 트랜스-타스만 버블 시행일을 4월 6일 부활절 연휴가 끝난 이후 발표할 예정으로 Jacinda Ardern 총리는 어제 각료 회의 후 기자 회견에… 더보기

임시 주택 대신 사용 모텔, 6개월 이상 투숙 800명

댓글 0 | 조회 2,731 | 2021.03.23
정부의 임시 주택 정책으로 노숙자들에게 모텔이 제공되고 있지만, 이는 기본적으로 이들이 새로운 임대 주택을 찾을 때까지 단기간 또는 몇 주 동안 임시로 투숙할 수… 더보기

하버 브릿지, 기술적인 문제로 스카이패스 계획 중단

댓글 0 | 조회 3,059 | 2021.03.23
오클랜드의 하버 브릿지에 보행자와 자전거 전용 통로를 연결하고자 하는 계획이 기본적인 기술적 문제로 중단될 수 있을 것으로 전해졌다. 도로공사인 Waka Kota… 더보기

오늘 아침, 베이 오브 플렌티 5.3 지진

댓글 0 | 조회 1,954 | 2021.03.23
오늘 아침 7시 15분 경 Bay of Plenty 지역의 Whakatane에서 지진이 일어나면서 북섬 전 지역에서 느껴졌다.  Whakatane 북서쪽 지하 1… 더보기

호주와의 여행 버블 기다리는 가족과 파트너들

댓글 0 | 조회 2,538 | 2021.03.23
재신다 아던 총리는 호주와의 여행 버블이 진행되기 전에 몇 가지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말했지만, 호주와의 여행 버블 시작일을4월 6일에발표하기를 희망하고 있다고… 더보기

오클랜드 격리시설, 밀레니엄 호텔 근무자 COVID-19 확진

댓글 0 | 조회 5,188 | 2021.03.22
정부 관리 격리 시설로 이용되고 있는 오클랜드 그랜드 밀레니엄 호텔에서 근무하는 한 작업자가 COVID-19 정기 검사에서 확진되었다.3월 22일 월요일 밤, 보… 더보기

'나'는 언제 COVID-19 백신 접종하나? 온라인 확인 가능

댓글 0 | 조회 5,687 | 2021.03.22
COVID-19 예방 접종 그룹 및 시기 제공하는 온라인 도구보건부는 보도자료를 통해, Unite Against COVID-19 웹 사이트에서 어떤 예방 접종 그… 더보기

어제 열린 도미 낚시 대회, 파 노스 지역 경제에 큰 기여

댓글 0 | 조회 2,835 | 2021.03.22
어제 있었던 연례 도미 낚시 대회 Snapper Bonanza에서는 나름대로 전국의 낚시꾼들의 뜨거운 열기를 보이면서 Far North 지역 경제에 큰 기여를 한… 더보기

오클랜드 대형 딸기 농장 폐쇄, 액터당은 정부 비난

댓글 0 | 조회 4,605 | 2021.03.22
액터당(ACT)의 데이비드 시모어 당수는 오클랜드의 대형 딸기 농장이 문을 닫게 된 데에 대하여 이는 전적으로 원예 산업을 보호하지 않은 노동당(Labour Pa… 더보기

젊은이들 정신 건강 서비스 증진, 유스라인에 예산 지원

댓글 0 | 조회 1,682 | 2021.03.22
정부는 뉴질랜드 젊은이들의 정신 건강 서비스를 증진시키기 위하여 청소년들의 정신 상담을 하는 Youthline 에 백 만 달러에 가까운 예산을 지원할 것으로 밝혔… 더보기

국경 근로자에게 지난 1년은 레벨 4였으나...

댓글 0 | 조회 2,049 | 2021.03.22
뉴질랜드의 국경 관련 근무자들은 지난 1년 동안의 레벨 4 록다운 근무 조건에서 서서히 부분적으로 정상화가 될 것을 기대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어제 TVNZ의… 더보기

조기 교육 부분, 교사 부족 현상 심각한 수준 넘어

댓글 0 | 조회 2,280 | 2021.03.22
뉴질랜드의 한 교육 전문가는 최근의 조사 결과를 인용하며, 조기 교육 부분에서의 교사 부족 현상이 심각한 수준을 넘어서고 있다고 지적하였다.조사에 응답한 조기 교… 더보기
Now

현재 인종차별, 어떻게 대응하면 좋을까?

댓글 0 | 조회 3,414 | 2021.03.22
COVID-19 한인연대의 최윤우 학생(오클랜드대학 한인학생회 AKSA)은 "코로나19로 힘든 시간을 보내고 있는 가운데, 한국인을 포함한 동양인을 대상으로 하는… 더보기

3월 21일 새 확진자 8명, 새 커뮤니티 감염자 없음

댓글 0 | 조회 1,922 | 2021.03.21
보건부는 3월 21일 발표에서 지난 2일간 새 확진자가 8명 발생했으며, 모두 해외에서 입국해 격리 중인 귀국자라고 발표했다. 국경에서는 지난 7일간 하루 평균 … 더보기

COVID-19 펜더믹 이후 1년, 6,292명 키위들 귀국

댓글 0 | 조회 3,691 | 2021.03.21
COVID-19 세계적 대유행 이후 1년 동안 6,292명의 키위들이 뉴질랜드로 귀국했다고 라디오 뉴질랜드에서 보도했다.지난해 3월 18일, 당시 외교부 장관이었… 더보기

노스 캔터베리, 경찰 칼에 찔려 부상

댓글 0 | 조회 2,982 | 2021.03.21
남섬 노스 캔터베리에서 가족 피해 사건 발생 현장에 출동한 경찰이 칼에 찔려 부상당했다고 라디오 뉴질랜드에서 보도했다.캔터베리 지역 사령관 존 프라이스는 어제 토… 더보기

47년 만에 반환된 코로만델 모텔 옷걸이

댓글 0 | 조회 3,951 | 2021.03.20
코로만델 모텔의 옷걸이가 47년 만에 반환되었다. 코로만델 반도의 Waiomu Bay에 있는 Seaspray Motel의 리셉션에 편지와 함께 옷걸이 하나가 반환… 더보기

세계에서 가장 행복한 국가, 뉴질랜드 9위

댓글 0 | 조회 6,147 | 2021.03.20
뉴질랜드는 세계 행복 보고서의 상위 10위권에 들어 9위를 기록했고, 핀란드가 세계에서 가장 행복한 국가에 이름을 올렸다. 뉴질랜드는 지난번 보고서보다 한 단계 … 더보기

토요일 아침, 기스번 북동쪽 5.9 지진

댓글 0 | 조회 2,552 | 2021.03.20
토요일 아침, 기스번 북동쪽에서 5.9 지진이 발생한 후, 북섬 동쪽에 사는 사람들 중 1,000명이 흔들림을 느꼈다.GeoNet에 의하면 지진은 3월 20일 토…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