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6년 만에 최대 기록한 주택 건축 허가”

“46년 만에 최대 기록한 주택 건축 허가”

0 개 2,368 서현

코로나19’로 세계 경제는 물론 뉴질랜드 경제 역시 커다란 영향을 받는 중에도 국내의 주택 건설 시장은 상당한 활황세를 보이고 있다.


지난주 통계국이 발표한 주택 건축 허가 신청 통계자료를 보면 전국 각 지역에서 지난 10월까지 연간 37981건의 건축 허가가 이뤄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작년 11월에 37000건을 넘어섰던 것에 비해 2.8%가량 증가한 것으로, 이처럼 38000여건에 가까운 숫자는 425채를 기록했었던 지난 1974년 이후에 처음으로 나온 새로운 기록이다.


이처럼 신규 주택건축 허가가 크게 늘어나게 된 배경에는 단독주택보다는 타운하우스와 플랫, 유닛과 같은 공동주택의 신규 건립이 크게 늘어난 현상이 자리잡고 있다.


지난 10월까지 이들 3가지 형태의 공동주택의 연간 건축 허가 건수는 전년 같은 기간의 7839건에서 올해는 1633건으로 무려 35.6%나 크게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반면에 단독주택 건축허가는 전년 22062건에서 금년에는 21947건으로 오히려 0.5% 감소해 공동주택에 비해 상대적으로 성장세가 이전보다 한결 느려졌음을 수치로 보여줬다.


또한 아파트 역시 전년 4592건에서 금년에는 3557건으로 22.5%나 감소했으며, 리타이어먼트 빌리지(유닛)2443건에서 1844건으로 24.5%가 감소했다.



이는 인구가 늘어나고 도시화가 심화되면서 다른 나라들과 마찬가지로 뉴질랜드 역시 단독주택에서 점차 공동주택 형태로 주거 방식이 바뀌고 있음을 다시 수치로 보여준 셈이다.


실제로 지난 4년간 집계된 해당 통계를 보면, 단독주택은 201710월에 2194건에서 이듬해 2918건을 거쳐 작년과 금년에 각각 22062건과 21947건으로 큰 변화가 없었다.


이에 반해 타운하우스와 플랫, 유닛 등 아파트와 리타이어먼트 빌리지를 제외한 3가지 형태의 공동주택들은, 4년 전에 4769건에서 시작해 이듬해 6277건 그리고 작년 7839건과 올해의 10633건에 이르도록 지난 4년 동안 매년 크게 늘어나는 모습이다.


특히 이와 같은 주거 형태 변화는 대도시에서 두드러졌는데, 금년 10월까지 오클랜드 지역에서는 연간 6306여건의 타운하우스와 플랫, 유닛 건축허가가 이뤄졌으며 이는 전국 허가건수의 거의 60%를 차지한다.


한편 공동주택이 증가하는 상황은 건축비 측면에서도 나타나는데, 10월까지 주거용 건축의 연간 건축비는 전년 대비 1.5%만 증가해 허가건수 증가치인 2.8%를 밑돌면서 건축비가 상대적으로 적은 공동주택 건축이 많아졌음을 또 다른 측면에서 보여줬다.


그러나 이처럼 전국적으로 주택 건축은 늘어났지만 인구 증가를 감안하면 여전히 부족한 실정인데, 10월까지 연간 건축허가는 인구 1000명당 7.5건으로 이는 기록이 세워졌던 지난 1974년의 13.4건에 비해서는 절반가량에 불과하다.


이는 결국 인구 증가와 더불어 단독가구 등 전체적인 가구 숫자도 이전보다 크게 늘어나는 상황에서는 주택 건축이 크게 늘더라도 주택 부족 문제가 앞으로도 계속될 것이라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오타고 대학, 위협 영향으로 졸업식 연기

댓글 0 | 조회 1,587 | 2020.12.15
오타고 대학교는 어제 이번 주에 있을… 더보기

AA, 차 안에 갇힌 어린 아이 신고 출동 760차례

댓글 0 | 조회 1,331 | 2020.12.15
자동차 협회인 AA는 매년 차 안에 … 더보기

호주와의 자유 여행, 내년 1분기로...

댓글 0 | 조회 2,169 | 2020.12.15
정부에서는 호주와의 자유 여행을 원칙… 더보기

제75회 한국어능력시험, 2021년 4월 10일 오클랜드에서 실시

댓글 0 | 조회 1,417 | 2020.12.14
제75회 한국어능력시험(TOPIK)이… 더보기

올 여름 휴가, 80% 이상이 뉴질랜드 국내 여행

댓글 0 | 조회 2,718 | 2020.12.14
이번 여름 휴가 기간 동안 조사에 응… 더보기

이번주, 내륙 지방은 최고 30도로 뜨거운 날씨 예상

댓글 0 | 조회 2,236 | 2020.12.14
뉴질랜드는 전국적으로 이번 주 내륙 … 더보기

정부, 화물 운송에 대한 지원 계속

댓글 0 | 조회 1,751 | 2020.12.14
팬더믹으로 인하여 항공 운항이 줄어들… 더보기

격리 없는 여행 자유화, 일정은 아직 확실치 않아

댓글 0 | 조회 2,235 | 2020.12.14
격리 없는 여행 자유화 논의가 지난 … 더보기

여름 휴가 코 앞, 아직 COVID-19과의 전쟁은 끝나지 않아

댓글 0 | 조회 1,661 | 2020.12.14
코로나 팬더믹으로 어려움이 많은 금년… 더보기

82세 작곡가, 캔터베리 대학교 박사 과정 졸업

댓글 0 | 조회 1,649 | 2020.12.13
82세의 존 에멜레우스는 이번 주 캔… 더보기

[12월 13일] 새 확진자 3명,새 커뮤니티 감염자는 없음

댓글 0 | 조회 2,424 | 2020.12.13
보건부는 12월 13일 새 확진자가 … 더보기

오클랜드 관리 격리 호텔, 화재 경보 오작동으로 대피

댓글 0 | 조회 2,108 | 2020.12.13
오클랜드 중심가에 있는 관리 격리 호… 더보기

해밀턴, 라임 스쿠터 파손 NZ 다른 지역보다 3배 많아

댓글 0 | 조회 1,796 | 2020.12.13
라임 스쿠터 회사 대변인에 의하면, … 더보기

퀸스타운 근처에 지은 주택, '올해의 주택' 수상

댓글 0 | 조회 3,529 | 2020.12.13
2020 Master Builders… 더보기

에어 뉴질랜드 승무원, COVID-19 확진

댓글 0 | 조회 2,725 | 2020.12.13
에어 뉴질랜드 승무원이 미국에서 입국… 더보기

오클랜드 센트럴, 두 대의 차량 연루된 교통 사고로 1명 사망

댓글 0 | 조회 1,359 | 2020.12.13
주말을 맞아 곳곳에서 크고 작은 사고… 더보기

[포토 뉴스] 진정 행복한 삶

댓글 0 | 조회 1,949 | 2020.12.12
이 사진은 찰리 양 사진 작가의 작품… 더보기

남섬 남부 “한여름에 하얀 세상으로 변했다”

댓글 0 | 조회 4,217 | 2020.12.12
한여름에 들어선 12월 초에 고도가 … 더보기

수요일 이후 확진자 6명, 모두 해외 입국 사례

댓글 0 | 조회 1,877 | 2020.12.12
보건부는 12월 11일 금요일 오후,… 더보기

CHCH 포트힐스에서 한밤중 화재 발생, 주민들 대피 소동 벌어져

댓글 0 | 조회 1,523 | 2020.12.12
크라이스트처치의 포트 힐스(Port … 더보기

퀸스타운 카운실, 주민들에게 물 절약 촉구

댓글 0 | 조회 1,563 | 2020.12.12
퀸스타운 카운실은 지역 주민들에게 이… 더보기

크라이스트처치 포트 힐스,큰 화재로 대피

댓글 0 | 조회 1,400 | 2020.12.12
크라이스트처치의 포트 힐스에서 큰 화… 더보기

뉴질랜드와 쿡 제도, 검역 없는 자유 여행 발표

댓글 0 | 조회 2,121 | 2020.12.12
뉴질랜드와 쿡 제도는 내년 3월까지 … 더보기

카우리 다이백 질병 대책, 안내판 등 훼손 발생

댓글 0 | 조회 1,789 | 2020.12.11
오클랜드 주위의 카우리 다이백 질병 … 더보기

당분간, 기온 뚝 떨어질 것으로 예상

댓글 0 | 조회 5,476 | 2020.12.11
지난 며칠동안 후덥지근한 날씨가 계속…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