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30일] 새 확진자 1명, 현재 활성 환자 44명

[9월 30일] 새 확진자 1명, 현재 활성 환자 44명

0 개 2,769 노영례

bbf97f58f320389c32488edc3c936e11_1601428149_0702.png
 

9월 30일 보건부는 새 확진자가 1명이라고 발표했다.  


새로운 확진자는 9월 25일 싱가포르를 통해 프랑스로부터 도착한 사람으로 격리 3일차 검사에서 확진되었다. 확진자는 오클랜드 검역 시설로 이송되었다.


커뮤니티에 새로운 감염자는 없다.


오클랜드 격리 시설에는 지역 사회로부터 격리된 17명이 있으며,  9명은 확진자이고 나머지는 그들의 가족 연락처이다.


미들모어 병원의 격리 병동에 1명이 입원해 있다.


8월 11일 이후 보건부 연락추적팀은 4,073명의 긴밀한 접촉 사례를 확인했으며, 이중 4,073명은 연락되어 격리 중이거나 격리가 완료되었다. 어제 발표에서는 긴밀한 접촉자수가 4,079명으로 발표했으나, 시스템에서 중복으로 기록된 것이 발견되어 4,073명으로 감소되었다.


어제 하루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으로부터 12명이 회복되어 현재 뉴질랜드에 남아 있는 활성 확진 환자는 44명이다. 이들 중 30명은 해외 입국 사례이고 14명은 커뮤니티 감염자이다.


현재 뉴질랜드의 총 확진자 수는 1,480명으로 이는 세계보건기구에 보고하는 숫자이다. 


어제 하루 4,969건의 검사가 진행되었고, 현재까지 완료된 총 검사수는 960,559건이다.


NZ COVID 추적기

현재 NZ COVID 추적기(NZ COVID Tracer) 앱에 등록된 사용자는 2,285,600 명이다.


이 앱은 총 79,195,293 개의 포스터 스캔을 기록했으며, 사용자는 NZ COVID Tracer에 3,443,349 건의 동선을 수동으로 기록했다.


학교 텀 방학 중 COVID-19 확산을 위한 경계가 계속되어야 한다고 보건부는 보도자료를 통해 밝혔다. 향후 1주 동안 많은 사람들이 휴식을 취하게 될 것이지만, COVID-19 확산될 우려가 존재함을 기억해야 한다.


  • 몸이 좋지 않은 경우, 헬스라인이나 담당 GP 또는 간호사에게 전화하여 검사를 받아야 하는지 여부를 상담받아야 한다. 
  • NZ COVID 추적 앱을 사용하여 방문 장소에 대해 기록해야 한다.
  • 손을 씻고 말리는 것을 포함해 좋은 위생 관행을 유지하거나 손을 씻을 수 없는 경우 손 소독제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 레벨 2에서는 오클랜드 대중 교통에서 마스크를 반드시 착용해야 한다. 특히 대중 교통을 출입할 때 손 소독제를 정기적으로 사용하여야 한다.
  • 오클랜드를 오가는 항공편 이용 시 반드시 마스크를 착용해야 한다. 비행 전이나 비행 중, 그리고 비행 후에는 손 소독제를 사용하거나 손을 씻어야 한다.



뉴질랜드의 새로운 확진자를 포함한 모든 확진자에 대한 정보는 아래의 링크를 통해 확인해볼 수 있다.( 이 페이지에서는 보건부 브리핑이 끝난 후 매일 시간차를 두고 업데이트된다.)  


보건부 업데이트 페이지 ▶ https://www.health.govt.nz/our-work/diseases-and-conditions/covid-19-novel-coronavirus/covid-19-current-cases

코로나바이러스(COVID-19)에 관한 다른 정보는 정부 공식 사이트 covid19.govt.nz 에서 찾아볼 수 있다.​ 보건부에서는 3월 26일부터 웹사이트에서 각 지역별 확진자수를 지도에 알아보기 쉽게 표시해 알리고 있다.


bbf97f58f320389c32488edc3c936e11_1601427671_5063.png
bbf97f58f320389c32488edc3c936e11_1601427671_4233.png
bbf97f58f320389c32488edc3c936e11_1601427671_4509.png
bbf97f58f320389c32488edc3c936e11_1601427671_4792.png
 bbf97f58f320389c32488edc3c936e11_1601427716_5539.png 

[10월 3일] 새 확진자 1명, 해외 입국 사례

댓글 0 | 조회 2,276 | 2020.10.03
보건부는 10월 3일 새 확진자가 1… 더보기

오늘 밤 9시부터 하버 브리지 차선 폐쇄, 대중 교통 옵션은?

댓글 0 | 조회 4,356 | 2020.10.03
오클랜드 교통국(AT)은 이번 주말에… 더보기

오클랜드 폐수장 연못, 1 헥타르 태양광 패널 시스템

댓글 0 | 조회 1,771 | 2020.10.03
오클랜드 폐수장 연못의 1헥타르 면적… 더보기

오늘부터 사전 투표 시작, 450개 투표소 열려

댓글 0 | 조회 2,332 | 2020.10.03
선거와 국민 투표를 위해 450개의 … 더보기

[10월 2일] 새 확진자 없음, 활성 확진자수 43명

댓글 0 | 조회 2,005 | 2020.10.02
보건부는 10월 2일 새 확진자가 없… 더보기

10월 2일 “신규 지역감염자는 없었지만 귀국자 12명이 양성”

댓글 0 | 조회 2,709 | 2020.10.02
어제 ‘코로나19’ 지역감염자는 없었… 더보기

주거용 건축허가 “타운하우스와 플랫 등 크게 늘었다”

댓글 0 | 조회 2,988 | 2020.10.02
지난 8월까지 전국에서 연간 3만70… 더보기

유명인사 이름 갖게 된 희귀한 ‘아기 키위’

댓글 0 | 조회 1,878 | 2020.10.02
희귀한 키위 한 마리가 태어난 가운데… 더보기

루아페후에서 등반 중 추락사한 여성 신원 공개

댓글 0 | 조회 2,607 | 2020.10.02
지난 9월 26일(토) 정오 무렵에 … 더보기

약물 복용한 어린이 병원으로 실려가

댓글 0 | 조회 2,431 | 2020.10.02
오클랜드에서 한 어린이가 마약 성분의… 더보기

오클랜드, 예년보다 더 건조한 날씨 두려워

댓글 0 | 조회 2,655 | 2020.10.02
10월 첫 주는 전국적으로 맑고 따뜻… 더보기

소규모 사업체 회복 조사, 19%만 지원받고 있다고 느껴

댓글 0 | 조회 1,941 | 2020.10.02
American Express가 실시… 더보기

ANZ, 기업 신뢰 지수 2월 이후 최고치

댓글 0 | 조회 1,587 | 2020.10.02
ANZ은행은 기업 신뢰 지수가 2월 … 더보기

보건부, 탑승 전 검사 의무화 방안 제시

댓글 0 | 조회 1,944 | 2020.10.02
보건부는 뉴질랜드 국경 통제의 수단으… 더보기

중국계, 국민당 지지자들 엑트당으로 이동 추이

댓글 0 | 조회 2,365 | 2020.10.02
중국계 사람들을 대상으로 한 여론 조… 더보기

유튜브로 집수리 등 따라하기, 안전은 전문가에게 의뢰해야

댓글 0 | 조회 1,972 | 2020.10.02
YouTube를 통하여 애완동물들의 … 더보기

호주로의 여행, 가능성 높은 계획으로...

댓글 0 | 조회 1,938 | 2020.10.02
아직 비행기 좌석을 예약하기는 좀 이… 더보기

오클랜드 철로망 투자 제대로 안돼, 심각한 문제

댓글 0 | 조회 1,475 | 2020.10.02
키위레일은 오클랜드 지역의 철로망에 … 더보기

지난 3년 동안 최대 불법 조개류 채취, 어느 정도일까?

댓글 0 | 조회 2,116 | 2020.10.02
피피 등 조개류의 1일 어획량은 지역… 더보기

7년 전 사라진 고양이, 다시 돌아와

댓글 0 | 조회 1,953 | 2020.10.02
크라이스트처치의 한 가족은 7년 전에… 더보기

오클랜드 남부 고속도로 사고, 일부 차선 폐쇄

댓글 0 | 조회 1,952 | 2020.10.02
오클랜드 남부 고속도로에서 교통 사고… 더보기

[10월 1일] 새 확진자 12명, 모두 격리 중

댓글 0 | 조회 7,322 | 2020.10.01
보건부는 10월 1일 새 확진자가 1… 더보기

여론 조사, 대마초 법안은 '반대' 존엄사 법안은 '찬성'

댓글 0 | 조회 2,997 | 2020.10.01
최근 뉴스허브 레이드-리서치 여론조사… 더보기

한 남성, 미망인 장모의 돈 140만 달러 훔친 후 수감

댓글 0 | 조회 2,774 | 2020.10.01
한 남성이 미망인이 된 장모님으로부터… 더보기

키위 절반 이상, 지금은 소득세 인하 논할 때 아니라고...

댓글 0 | 조회 2,785 | 2020.10.01
키위들의 절반 이상이 지금은 소득세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