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월 전국의 신규주택 건축허가는 지난해 같은 달보다 늘었지만 최근 몇 년간 이어진 감소세가 여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3월 4일 통계국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25년 1월 한 달간 전국의 신규주택 건축허가는 2,203건으로 2024년 1월 대비 11%가 증가했다.
이에 대해 통계 담당자는 올해는 지난해보다 건수가 늘어나기는 했지만 이는 2022년과 2023년 1월의 기록과 비교하면 여전히 적은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도표) 최근 3년간 월별 신규주택 건축허가 현황(기간:2022.1~2025.1)
올해 1월의 허가건수 2,203건 중 단독주택은 1,077건으로 지난해 1월보다 20% 늘었고 타운하우스와 아파트, 은퇴촌 등을 모두 포함하는 공동주택도 1,126건으로 3.1% 증가했다.
그중 공동주택을 살펴보면 타운하우스와 플랫 및 유닛은 968건으로 전년의 899건보다 증가했으며 은퇴촌도 70건에서 90건으로 늘어난 반면, 아파트는 123건에서 68건으로 줄었다.
<바닥면적 10년 만에 최저 수준으로 떨어져>
한편 신규 주택의 평균 면적이 10년 만의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는데, 올해 1월까지 연간 기준으로 건축허가를 받은 신규주택의 ‘총바닥면적(total floor area)’은 약 470만㎡로 2024년 1월까지의 연간 기록보다 7.2%가 줄었다.
특히 공동주택의 바닥면적이 15% 줄어든 190만㎡로 집계되면서 감소 폭이 컸으며 단독주택의 총바닥면적도 280만㎡로 1.1%가 줄었다.
통계 담당자는 올해 1월까지 1년간 허가한 신규주택의 총바닥면적은 2015년 이후 가장 작은 1월 기준 연간 기록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개별 주택의 평균 바닥면적도 감소세를 보였는데, 단독주택의 평균 바닥면적은 176㎡로 2024년 1월까지 기록한 183㎡보다 줄었고 이는 1994년 이후 가장 작은 수준이다.
또한 공동주택을 보면 타운하우스, 플랫 및 유닛이 107㎡로 변동이 없었고 은퇴촌이 124㎡로 지난해의 123㎡보다 조금 커진 반면에 아파트는 93㎡로 지난해의 99㎡보다 상당한 수준으로 줄었다.
주택 유형별 평균 바닥면적은 차고 유무와 함께 복도와 지하 주차장과 같은 아파트 건물 내 공유 공간의 영향을 받는다.
(도표) 신규주택 건축허가 총바닥면적 변동(기간: 2010.1~2025.1)
<연간 기준으로 건축허가 7.2% 감소>
한편 올해 1월까지 연간 기준으로 보면 전국에서 허가를 받은 신규주택 숫자는 3만 3,812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7.2% 감소했다.
이 중 공동주택은 1만 7,854건으로 15% 감소한 반면 단독주택은 1만 5,958건으로 2.9% 증가했다.
다세대 주택의 세부 내역을 보면,
타운하우스, 플랫 및 유닛은 14,210건(전년 대비 15% 감소)
아파트는 1,926건(전년 대비 15% 감소)
고령자 주택은 1,718건(전년 대비 13% 감소)으로 각각 집계됐다.
신규주택 건축허가는 경제 상황과 금리, 건축비 등의 영향을 많이 받는데 최근 몇 년간 높은 금리와 건축비 상승으로 전반적인 감소세가 이어지고 있으며 특히 공동주택 부문의 위축이 두드러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