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자, 주택 가격을 얼마나 좌우하는가?

투자자, 주택 가격을 얼마나 좌우하는가?

0 개 2,187 노영례
투자자들이 주택 가격 상승에 얼마나 책임이 있을까? 매시 대학(Massey University)의 데이비드 화이트가 새로 발표한 박사 논문에 따르면, 꽤 큰 책임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RNZ에서 보도했다.

데이비드 화이트는 정부를 포함해 투자자들이 주택 가격 상승의 원인으로 자주 지목되곤 하지만, 이를 입증할 명확한 증거가 제시된 적은 없었다고 말했다.

그는 주택이 과대평가되었는지, 그리고 그 원인이 투자자들의 활동인지에 대해 조사하고 싶었다고 밝혔다. 그의 논문에서는 두 가지 모두 사실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고 전했다.

투자자들은 시장의 한 세그먼트로 선정되었는데, 이들은 투자 수익률(return on investment)과 같은 재무적 요인에 기초해 의사 결정을 내릴 가능성이 가장 높다고 데이비드 화이트는 말했다. 반면, 자가 소유자는 이웃에 대한 감정적 유대감과 같은 비재무적 요인을 고려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 점에서 투자자들은 기본 가치(fundamental value)에 더 집중할 것으로 예상되고, 또한 투자자들은 주택 가격 상승이 그들의 활동에 기인한다는 공공 담론과 중앙은행(Reserve Bank)의 거시건전성 정책 변화로 인해 선정되었다고 그는 언급했다.

연구 결과, 투자자들은 종종 자본 이익(capital gain)에 대한 기대에 의해 움직인다는 것이 드러났다.

이 기대가 과대평가될 경우, 투자자들은 주택의 가치를 과대평가하고 더 많은 비용을 지불하려 할 수 있다.

데이비드 화이트는 자신의 연구에 따르면, 투자자들의 지속적인 과대평가는 자본 이익의 과대평가와 시장 하락 위험에 대한 과소평가로 인해 발생했다고 설명했다.

그 원인은 투자자들이 시장의 과거 실적에 의존하고 미래의 지속 가능성에 대해 충분히 고려하지 않은 데 있었다고 그는 덧붙였다.

이는 가격 책정의 순환성을 초래하며, 가격 상승 추세를 강화한다고 그는 말했다.

<놓칠까 두려운 심리>
데이비드 화이트는 투자자들과 그들이 의사 결정을 내리는 데 사용하는 간소화된 방식에 대해 이야기했으며, 모든 투자자들이 주택 가격이 상승할 것이라는 편향을 가지고 있음을 발견했다.

사람들은 '집값은 항상 오른다'고 말했고, 놓칠까 두려워하는 심리가 있었다. 논문 심사관은 이것이 가장 놀랍지 않은 결과라고 말했다. 모두가 투자자들이 가격을 올리고 있다고 전해 듣지만, 이를 뒷받침하는 강력한 증거는 많지 않았다.

과거의 수익률과 가격 상승을 보면, 자본 이익에 대한 기대가 자가 충족적 예언(self-fulfilling prophecy)이 되어 더 높은 가격을 지불하게 만든다.

투자자들은 종종 부동산을 가능한 한 낮은 가격에 구매하려 한다고 주장하지만, 데이비드 화이트는 데이터에서 그런 행동은 나타나지 않았다고 말했다. 그런 행동은 오히려 가격을 낮추는 방향으로 작용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은행 부문이 상승하는 시장에서 과거 주택 가격과 알고리즘 기반 평가에 의존하기보다는 객관적 분석과 평가에 더 중점을 두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많은 투자자들에게 부채 자금 조달에 대한 접근은 구매의 필수 조건이고, 따라서 잠재적으로 과대평가된 가격으로 매입하는 자금 접근을 제한하는 것이 도움이 될 것이라고 그는 언급했다.

정책 입안자들, 은행 부문, 감정사 및 투자 자문가들은 시장 성과에 대한 과도한 의존보다 기본 가치에서 벗어난 부분을 식별하는 방법론을 고려해야 할 역할이 있다고 그는 덧붙였다.



<투자자 또는 투기자>
오클랜드 부동산 투자자 협회(Auckland Property Investors Association)의 사리나 기번 총괄 매니저는 데이비드 화이트의 연구가 투자자보다는 투기자(speculators)를 설명하는 것 같다고 말했다.

사리나 기번은 투기자가 시장의 자연스러운 힘이 대부분의 상승을 이끌어주기를 기대하며, 가치를 보고 매입하여 이익을 남기고 매도한다고 설명했다. 반면, 투자자는 가치와 수익률 간의 균형을 보고 매입하며, 정기적인 임대 수익이 부동산을 가치 있게 만드는 주요 요소라는 것을 알고 있다고 덧붙였다.

사리나 기번은 투자자들이 낙관적이고 더 많은 비용을 지불한다는 점에 대해, 20년 가까이 부동산 업계에서 일하면서 단 한 번도 더 많은 비용을 지불하려는 투자자를 본 적이 없다고 강조했다.

16만 년 만에 나타난 혜성, 육안관찰도 가능할 듯

댓글 0 | 조회 760 | 2025.01.14
좀처럼 보기 드문 ‘혜성(Comet)’을 뉴질랜드에서 맨눈으로 볼 기회가 올 수도 있게 됐다.미국 항공우주국(NASA)은 혜성의 밝기를 예측하는 것이 아주 정말 … 더보기

기차선로와 충돌한 도주차, 기차 운행 한동안 중단

댓글 0 | 조회 464 | 2025.01.14
경찰을 피해 달아나던 차가 기차선로와 부딪히는 바람에 열차 운행이 한동안 중단됐다.이번 사건은 1월 14일 정오 무렵에 북섬 남부 레빈(Levin) 인근의 코푸타… 더보기

경찰차에서 도주한 남성 공개한 경찰

댓글 0 | 조회 786 | 2025.01.14
법원에 출정하던 남성이 도주하는 사건이 또 벌어진 가운데 경찰이 주민들에게 협조를 요청하고 있다.사미르 데렉 벨하잠(Samir Derek Belhajjam, 30… 더보기

오클랜드 중심부의 '도시 열섬' 효과, 잠재적으로 위험

댓글 0 | 조회 878 | 2025.01.14
새로운 데이터에 따르면, 도시 열섬 효과로 인해 오클랜드 중심가는 야간에 다른 지역보다 최대 3도 더 더워질 수 있다. 오클랜드 카운슬에서 의뢰한 연구에 따르면 … 더보기

쿡 해협 페리 운항 차질, 파도로 더 거친 항해 예상

댓글 0 | 조회 544 | 2025.01.13
쿡 해협을 건너는 승객들은 거친 바다로 인해 여정이 다시 힘들어질 수 있다는 경고를 받고 있다고 RNZ에서 보도했다.최근 몇 일간 강풍의 영향으로 인해 쿡 해협 … 더보기

데저트 로드, 두 달간 폐쇄 예정

댓글 0 | 조회 1,909 | 2025.01.13
북섬의 주요 고속도로의 일부인, Tūrangi와 Waiouru를 연결하는 데저트 로드(Desert Road)가 월요일부터 두 달 동안 유지보수를 위해 폐쇄된다.뉴… 더보기

기업의 77%, 경제적 불확실성에 우려

댓글 0 | 조회 1,068 | 2025.01.13
2025년 비즈니스 전망에서, 경제적 불확실성과 지속적인 시장 변동성이 여전히 그림자를 드리우고 있다고 RNZ에서 보도했다.Datacom의 최신 비즈니스 전망 설… 더보기

코로만델 산불, 헬리콥터 동원 화재 진압 계속

댓글 0 | 조회 1,163 | 2025.01.13
코로만델에서 발생한 산불을 끄기 위해 지상의 소방 대원들과 헬리콥터가 코로만델 진압을 계속하고 있다일요일에 여러 소방팀들과 헬리콥터가 화재 현장으로 투입되었고, … 더보기

블루베리 PYO, 어디에서 할 수 있나?

댓글 0 | 조회 2,552 | 2025.01.11
뉴질랜드는 블루베리가 익어가는 계절이다.오클랜드 인근에는 대형 블루베리 농장을 방문해서 블루베리 따기를 직접 체험할 수 있는 곳이 있다. 블루베리 농장은 2월 와… 더보기

말버러 하카나 베이, 범고래 무리

댓글 0 | 조회 1,022 | 2025.01.11
한 어부는 남섬 말버러 하카나 베이(Hakana Bay)의 푸른 바다에서 새끼를 포함한 범고래 무리가 헤엄치는 모습을 목격하고 놀라운 광경이었다고 전했다.비키 위… 더보기

캔터베리, 전봇대 들이받은 차 사고로 2명 사망, 정전 발생

댓글 0 | 조회 819 | 2025.01.11
캔터베리의 카이아포이(Kaiapoi) 근처의 클라크빌(Clarkville)에서 전봇대를 들이받은 차량 사고로 2명이 사망하고 1명이 중상을 입었으며, 일부 주택에… 더보기

오클랜드 아본데일 여성 사망 사건, 경찰 수사

댓글 0 | 조회 1,931 | 2025.01.11
경찰이 오클랜드 애번데일에서 한 여성이 사망한 사건을 수사하고 있다.35세의 남성이 살인 혐의로 기소되어 구금되었고, 월요일 오클랜드 지방 법원에 출두할 예정이다… 더보기

테 아나우 노숙자 문제, 장기 지원 계획 없어

댓글 0 | 조회 1,276 | 2025.01.11
테 아나우는 남섬 밀포드 사운드로 가는 길목에 있는 타운이다. Fiordland conceptual plan에 따르면, 테 아나우에서 노숙자가 증가하고 있지만, … 더보기

코리아 포스트 제 776호 1월 14일 발행

댓글 0 | 조회 877 | 2025.01.11
오는 1월 14일 코리아 포스트 제 776호가 발행된다.이번호 인터뷰에서는 모토사이클에 대한 진심 어린 애정을 가지고 있는 한인들이 있다. 이들은 모토사이클을 통… 더보기

문제 행위 공공주택 세입자, 553건 '경고'

댓글 0 | 조회 1,955 | 2025.01.10
정부는 경고 통지 발부 증가와 불만 해결 시간 단축이 Kāinga Ora(정부 공공주택 관리기관) 세입자에 대한 단속이 효과를 보고 있다는 증거라고 밝혔다.정부의… 더보기

마라에토타라 폭포, 로프 스윙 제거에도 점프 도전 이어져

댓글 0 | 조회 1,077 | 2025.01.10
혹스베이 마라에토타라 사람들이 폭포 아래의 물로 뛰어들던 오랜 명소가 이제는 너무 위험하다고 판단해 제거를 결정했다.이에 지역 주민인 로건 하워드는 격분했고, 자… 더보기

북섬 노스랜드 지역 사업체들, '인터넷 장애' 불만 고조

댓글 0 | 조회 910 | 2025.01.10
노스랜드 카이파라(Kaipara) 지역의 사업체들은 13시간 동안 지속된 인터넷 장애로 인해 많은 상점이 영업을 중단하거나 현금 거래만 할 수밖에 없었던 상황에 … 더보기

DOC, '어망에 잡힌 바닷새 사망 사건' 제보 요청

댓글 0 | 조회 742 | 2025.01.10
환경보호부(DOC)는 코로만델의 슬리퍼 섬/와카하우(Slipper Island/Whakahau) 인근에서 해양새들이 어망에 잡혀 익사했다는 신고를 받은 후, 대중… 더보기

웰링턴 부부, 700만 달러 로또 당첨

댓글 0 | 조회 2,413 | 2025.01.10
2025년 로또 뉴질랜드의 첫 파워볼 당첨자는 웰링턴에서 700만 달러 당첨 소식을 듣고 엄청난 충격을 받았다고 1 News에서 보도했다. 1월 8일 수요일 저녁… 더보기

소방당국, 왕가레이 화재 진압 계속

댓글 0 | 조회 738 | 2025.01.10
왕가레이에서 발생한 20헥타르 규모의 초목 화재로 대피했던 두 가구의 주민들이 금요일 아침에 자택으로 돌아가는 것이 허용되었다.소방 및 긴급구조대(Fire and… 더보기

페어웰 스핏에 좌초한 고래 구조 작업 진행 중

댓글 0 | 조회 886 | 2025.01.08
남섬 최북단인 골든 베이의 ‘페어웰 스핏(Farewell Spit)’에서 고래가 잇달아 집단으로 좌초해 일부가 죽은 가운데 구조 작업이 진행 중이다.자연보존부(D… 더보기

굴삭기가 끊은 케이블 “노스랜드 일부 지역 인터넷 접속 중단”

댓글 0 | 조회 1,217 | 2025.01.08
굴삭기가 공사 중 케이블을 파손하는 바람에 북섬 북부 일부 지역의 인터넷 접속이 끊겼다.북섬 노스랜드의 황가레이와 다가빌(Dargaville)을 잇는 주요 광섬유… 더보기

지난해 가장 인기 많았던 아기 이름은 ‘노아(Noah)’와 ‘아일라(Isla)’

댓글 0 | 조회 1,551 | 2025.01.08
매년 1월이면 그 전 해에 인기가 많았던 신생아 이름을 공개하는 내무부가 올해도 1월 8일에 그 명단을 발표했다.그에 따르면 2024년 여아 이름 중에서는 202… 더보기

와이라라파, 야외 '불 피우기 금지' 해제 예정

댓글 0 | 조회 876 | 2025.01.08
최근 몇 주간의 비와 낮은 기온으로 인해 와이라라파 지역의 '야외 불피우기 금지'가 해제된다.지난달 화재 및 비상 관리국(FENZ)은 와이라라파 전역에 화재 금지… 더보기

11명 자녀 둔 CHCH 아버지, 조기 석방 요청 기각

댓글 0 | 조회 1,583 | 2025.01.07
11명의 자녀를 둔 크라이스트처치의 아버지 데이비드 배글리는 조기 석방 항소에서 패소했다고 엔젯해럴드에서 보도했다.163건의 전과를 가진 데이비드 라타 배글리는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