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질랜드 주요 도시 해안가, '가라앉고 있다'

뉴질랜드 주요 도시 해안가, '가라앉고 있다'

0 개 1,177 노영례

d9fc0229fe93e0fc0f481a22749a2745_1744028686_1168.jpg
 

최신 위성 데이터 분석 결과, 뉴질랜드의 주요 도시 해안 지역이 매년 수 밀리미터씩 가라앉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구 해수면 상승과 맞물려, 해당 지역이 해양 재해에 더 빨리, 더 심각하게 노출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해수면 상승, 이제는 '상대적 상승률'이 관건

지구 평균 해수면은 1900년 대비 약 18cm 상승했으며, 연간 상승 속도도 4.4mm로 가속화되고 있다. 이 수치는 언뜻 적어 보일 수 있지만, 이미 폭풍 해일이나 만조로 인한 피해를 증폭시키고 있다.


하지만 문제는 여기서 그치지 않는다. 뉴질랜드 해안의 일부 지역에서는 해안선 자체가 침하되고 있다. 즉, 해수면이 오르는 동시에 땅이 내려앉고 있는 것이다.


이중 효과(Double effect)로 인해 상대적인 해수면 상승률(relative sea-level rise)은 훨씬 더 가파르게 나타난다. 이는 해안 기반 시설과 주거 지역에 장기적인 위협으로 작용할 수 있다.


'크라이스트처치, 연간 최대 8mm 침하', 지진 영향 지속

오클랜드대학 등 뉴질랜드 연구진이 발표한 이번 연구는, 기존보다 훨씬 정밀한 위성 레이더 기술(InSAR)을 이용해 10m 간격으로 전국 해안선 침하율을 분석했다. 이전 연구는 2km 간격으로 측정된 것이었다.


대표적인 사례는 크라이스트처치의 사우스쇼어(Southshore)와 뉴 브라이튼(New Brighton) 지역이다. 이곳은 2011년 대지진의 진앙지에 가까운 모래 언덕 지형 위에 형성된 지역으로, 지각이 여전히 응력 해소 과정을 겪으며 가라앉고 있는 중이다.


일부 지역은 연간 최대 8mm 침하했는데, 이는 도시 내에서 가장 빠른 속도 중 하나다.


주요 도시 침하율 및 예상 해수면 상승량

연구진은 뉴질랜드 5대 도시의 침하율을 밀리미터 단위 정밀도로 측정했다. 도심 지역의 포장도로, 건물 표면 등은 위성 레이더 반사를 잘 일으켜 측정 정확도가 높았다.


연간 도시별 침하율:

  • 크라이스트처치: 3.6mm  
  • 웰링턴: 2.4mm  
  • 더니든: 1.6mm  
  • 오클랜드: 1.5mm  


이를 해수면 상승률과 결합하면, 상대적 해수면 상승률은 연간 7mm 이상에 달한다. 이 속도가 지속된다면, 100년 안에 70cm 이상 해수면 상승이 일어나게 되며, 이는 현재 대부분의 해안 방어 시설이 감당하기 어려운 수준이다.


동일 도시 내에서도 최대 10mm 차이, 세부적 대응 필요

연구진은 “같은 도시 내에서도 지역별 침하 속도가 최대 10mm까지 차이난다”며, 정책적 대응 역시 지역 맞춤형, 세부화된 대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예를 들어 더니든 및 오타고 항구 일대 지도에서는 단지 몇 블록 차이로 침하율이 현저히 다른 모습을 보여준다.


해안 도시의 미래, “지금부터 대비해야”

이 연구는 NZSeaRise 프로젝트의 후속으로, 해안 도시들이 미래의 침수 및 기후 변화 대응 전략을 수립하는 데 중요한 근거가 될 전망이다.


“지구는 더워지고 있고, 바다는 팽창하며, 빙하는 녹고 있다. 동시에 땅은 내려앉고 있다. 이 모든 것이 겹쳐지는 해안 도시에는 더욱 빠른 행동이 필요하다”라고 연구진은 경고했다.


 


“해안가가 가라앉고 있다”, 위성 데이터로 드러난 뉴질랜드 ‘침하 핫스팟’

최신 위성 분석을 통해 뉴질랜드 해안가에서 매우 빠르게 가라앉고 있는 지역들(hotspots)이 확인되었다. 이들 지역은 공통적으로 해안선 개발로 지형이 변경된 곳이라는 점에서 주목된다.


“매립지, 지금도 가라앉는 중”, 불안정한 기반이 도시 인프라 위협

20세기 동안 뉴질랜드 여러 도시에서는 바다를 메워 광범위한 매립지 개발이 이뤄졌다. 하지만 이들 매립지는 여전히 지반 침하(compaction)가 진행 중이며, 그 위에 세워진 도로, 건물 등의 인프라에 불안정한 기반을 제공하고 있다.


대표적인 사례는 포리루아 하버(Porirua Harbour)이다. 이 지역의 포리루아 스트림 하구 인근 매립지는 현재 연간 3~5mm씩 가라앉고 있으며, 이는 포리루아 해안 평균 침하율의 두 배가 넘는다.


우주에서 바라봐야 비로소 보이는 ‘땅’의 변화

연구진은 “역설적이지만, 살고 있는 땅의 변화를 제대로 보려면 우주에서 지구를 바라보아야 한다”고 말한다. 고해상도 위성 레이더 기술을 통해서야 비로소 국지적 침하 현상까지도 정밀하게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기술은 특히 도심지의 포장된 표면, 건물, 도로 등에서 뛰어난 반사 신호를 통해 밀리미터 단위 정밀도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위험 지역 사전 식별 가능, 미래 도시 계획에 반영해야

긍정적인 점은 이 데이터가 향후 해안 도시의 지속 가능한 개발과 기후 변화 대응 전략 수립에 핵심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연구진은 “이번 측정은 단지 첫걸음일 뿐”이라며, 향후 해안선과 도시의 침하 및 융기 현상을 지속적이고 체계적으로 모니터링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뉴질랜드의 해안은 이제 단순히 '바닷물이 올라오는' 것이 아니라, '땅이 내려가면서 바닷물이 더 가까워지는' 이중의 위기에 직면해 있다. 지금이 바로, 그 위험을 정밀하게 파악하고 대응 계획을 세울 결정적 시점이다.

[카드뉴스] “반려견 등록 안 하면 벌금 폭탄!”

댓글 0 | 조회 468 | 3시간전

오클랜드 Ōrākei 주택 화재… 아들이 가족 전원 구조, 영웅으로 찬사 받아

댓글 0 | 조회 978 | 7시간전
오클랜드 Ōrākei 지역의 한 주택에서 발생한 화재 현장에서, 20대 아들이 자신의 가족을 모두 구조해내며 지역 사회로부터 영웅으로 찬사를 받고 있다.화재는 4… 더보기

뇌의 피로, 챗봇이 위험을 증가시킬까?

댓글 0 | 조회 227 | 7시간전
최근 디지털 시대에 접어들면서 '뇌의 피로(Brain Rot)'라는 개념이 주목받고 있다. 이는 정보 과부하와 지속적인 디지털 상호작용으로 인해 발생하는 인지적 … 더보기

노스쇼어에서 발생한 강도 사건, 세 명 체포

댓글 0 | 조회 1,155 | 7시간전
오늘 아침 브라운스 베이의 두 개 상점에서 발생한 강도 사건과 관련하여 경찰이 세 명의 용의자를 체포했다.오늘 오전 3시 18분경, 클라이드 로드에 위치한 환전소… 더보기

뉴질랜드, 국제 교육 프로그램 재개 발표

댓글 0 | 조회 780 | 13시간전
뉴질랜드 교육부는 지난 4월 13일,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중단되었던 국제 교육 프로그램을 단계적으로 재개한다고 공식 발표했다. 이에 따라 외국인 유학생들의… 더보기

해밀턴 시, 5년간 1,000채 주택 공급 계획 승인

댓글 0 | 조회 504 | 13시간전
해밀턴 시의회는 4월 14일, 지역 내 주택난 해소와 인구 증가에 대응하기 위한 대규모 주택 개발 계획을 최종 승인했다고 발표했다. 이번 개발 계획에 따라 향후 … 더보기

크라이스트처치 시의회, 지역 경제 회복 위한 지원금 발표

댓글 0 | 조회 284 | 13시간전
크라이스트처치 시의회는 지난 4월 13일,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큰 타격을 입은 지역 경제의 회복을 위해 소상공인 및 자영업자들을 대상으로 한 경제 지원금 … 더보기

오클랜드 공항, 최신 AI 보안 시스템 도입… 대기 시간 줄이고 보안 효율성

댓글 0 | 조회 619 | 13시간전
오클랜드 국제공항이 4월 13일부터 최신 인공지능(AI) 기반 보안 검색 시스템을 도입하면서, 공항 보안 절차에 큰 변화가 시작됐다.새롭게 도입된 이 시스템은 A… 더보기

뉴질랜드인들, 해외 여행지로 눈을 돌리다

댓글 0 | 조회 698 | 13시간전
최근 조사에 따르면, 뉴질랜드인들이 휴가를 위해 더 먼 해외 여행지를 찾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퀸즐랜드, 피지, 런던, 쿡 제도, 시드니가 가장 인기 있는 여… 더보기

뉴질랜드, 인도-태평양에서 미국의 적극적인 파트너 필요성 강조

댓글 0 | 조회 269 | 14시간전
뉴질랜드 외무장관인 윈스턴 피터스(Winston Peters)는 뉴질랜드가 인도-태평양 지역에서 미국의 "적극적인" 파트너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러한 발… 더보기

뉴질랜드의 젊은 세대가 재택근무를 금지당하는 이유

댓글 0 | 조회 651 | 14시간전
최근 기업들이 젊은 세대, 특히 Z세대 직원들의 재택근무를 금지하는 이유가 밝혀졌다. 해커들이 기업에 대한 '백도어' 접근을 시도하면서, 이들 직원들이 주요 타겟… 더보기

운전면허 제도, 10년 만에 대대적인 개편

댓글 0 | 조회 2,797 | 1일전
정부가 지난 10년 만에 가장 큰 폭의 운전면허 제도 개편을 추진하고 있다. 이번 개편안에는 현재 풀 운전 면허(Full driver's licence)를 취득하… 더보기

해고당한 사람들의 우습고 황당한 이야기

댓글 0 | 조회 1,309 | 1일전
뉴질랜드에서 해고당한 사람들의 우습고 황당한 이야기를 모아보았다. 이 이야기들은 해고라는 상황을 유머러스하게 풀어낸 사례들로, 때로는 기발한 아이디어와 함께 사람… 더보기

아이들 방학 때만 되면 고민에 빠지는 학부모의 사연?

댓글 0 | 조회 925 | 1일전
매년 분기별 방학시간이 오면 많은 아이들은 방학을 손꼽아 기다린다. 그러나 같은 시기, 많은 학부모들은 한숨을 쉬기 시작한다. 특히 맞벌이 가정, 그중에서도 직장… 더보기

뉴질랜드 일주일 경제 동향.

댓글 0 | 조회 1,086 | 1일전
2024년 4월 6일부터 14일까지의 뉴질랜드 경제 동향은 여러 가지 중요한 사건과 지표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는 뉴질랜드의 경제 전반에 걸쳐 영향을 미치고 있… 더보기

오클랜드 시의회가 제공하는 오클랜드 산책로

댓글 0 | 조회 1,188 | 1일전
오클랜드 시의회는 시민들이 자연 속에서 산책과 트레킹을 즐길 수 있도록 다양한 산책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산책로는 도시 중심부부터 해안가, 숲속까지 다… 더보기

뉴질랜드 관광 산업, 외국인 관광객 증가로 회복세

댓글 0 | 조회 608 | 2일전
뉴질랜드의 관광 산업이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점차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외국인 관광객의 방문이 증가하면서 경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최근 통계에… 더보기

트렌드의 홍수 속에서 길을 잃다: Z세대의 피로감

댓글 0 | 조회 409 | 2일전
2025년 4월 10일자 뉴욕타임스 기사에 따르면, 현대 사회에서 끊임없이 변화하는 트렌드에 압도당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특히 Z세대는 소셜 미디어를 통해 빠… 더보기

뉴질랜드 정부, 건축 및 리모델링에서 양모 섬유 제품 사용 장려

댓글 0 | 조회 1,102 | 2일전
뉴질랜드 정부는 건축 및 리모델링 프로젝트에서 양모 섬유 제품의 사용을 장려하는 새로운 정책을 발표했다.{google}이 정책은 지속 가능한 건축 자재 사용을 촉… 더보기

좀비 아포칼립스 생존 가능성이 높은 10개국

댓글 0 | 조회 1,428 | 2일전
2025년, 좀비가 세상에서 활발하게 존재한다면 인류는 생존을 위해 새로운 전략을 세워야 할 것이다. 여러 요소를 고려했을 때, 다음의 10개국이 좀비 아포칼립스… 더보기

미국의 새로운 관세 정책이 뉴질랜드에 미치는 영향

댓글 0 | 조회 1,299 | 2일전
최근 미국 대통령이 발표한 새로운 관세 정책은 뉴질랜드를 포함한 여러 국가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이번 정책은 미국 내에서 생산되는 제품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더보기

뉴질랜드의 독특한 파업 문화: '업무 과다 수행'과 '규정 준수'의 방식

댓글 0 | 조회 872 | 2일전
뉴질랜드에서는 전통적인 파업 방식과는 다른 독특한 방법으로 노동자들이 자신의 요구를 전달하고 있다.{google}이들은 일손을 멈추는 대신, 업무를 과도하게 수행… 더보기

뉴질랜드 빙하, 2005년 이후 42% 감소

댓글 0 | 조회 420 | 2일전
뉴질랜드의 빙하가 2005년 이후로 42%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이는 타우포 호수의 3분의 1에 해당하는 부피를 잃은 것으로, 기후 변화의 심각성을 보여주는 지… 더보기

TikTok, 뉴질랜드 어린이를 위한 새로운 안전 기능 발표

댓글 0 | 조회 391 | 2일전
TikTok은 뉴질랜드의 어린이와 청소년을 위한 새로운 안전 기능을 도입했다고 발표했다.이 기능은 부모가 자녀와 온라인 안전에 대해 더 나은 대화를 나눌 수 있도… 더보기

세대의 교차로: 2030세대와 그 부모가 마주한 오늘의 삶

댓글 0 | 조회 651 | 3일전
청년의 현실과 부모의 고민, 변화하는 뉴질랜드 사회의 단면을 들여다보다기술은 빠르게 진보하고, 일상의 풍경은 바뀌었지만 한 가지 변하지 않은 것이 있다면, 그것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