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4] 독서교육 왜 중요한가?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304] 독서교육 왜 중요한가?

0 개 1,680 코리아타임즈
공부 잘하는 자녀를 두는 것은 인종과 국가를 떠나 문명사회 대부분 부모들이 가지고 있는 공통적인 소망이다. 특히 우리나라 부모들의 경우 이 소망은 신앙에 가깝고, 이 곳 뉴질랜드에서 사는 부모님 들 역시 그 큰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으리라 생각한다.

  우리나라 부모들은 교육열 세계 1위, 사교육비 세계 1위, 인구대비 유학생수 세계 1위, 영어교육비 세계 1위 라는 통계를 만들어 내고 있다. 이런 분위기는 앞으로도 우리 사회에서 쉽게 사라지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사회적으로 필요한 지식은 교과서나 참고서 내용을 암기하는 지식이 아니라 자신의 생각을 통해 창조된 자신의 지식으로 급격하게 변하고 있다.
  즉 인재의 조건이 고학력이 아니라 양질의 정보와 창조적인 사고력을 갖춘 인물로 바뀌고 있다. 교육전문가 들은 현명한 부모가 되기 위해서는 이런 변화에 맞춰 21세기 유용한 인재가 되기 위한 주요한 방법을 확인해 두는 것이 중요하다고 조언하고 있다.

********************************
  공부 잘하는 학생들의 5가지 특징
********************************
한국교육개발원(KEDI)은 최근 보고서에서 고등학교 1·2학년 중 성적이 상위 10% 이내에 들어가는 학생들의 특징을 다섯 가지로 분류했다.

이를 구체적으로 보면

△어려서부터 독서를 좋아했다.

△공부는 스스로 자기 주도적으로 한다.

△학원보다는 도서관이나 집에서 혼자 조용히 공부한다.  

△공부하는 것이 매우 즐겁다'

△문학작품 읽기와 신문 읽기를 즐긴다.

등이였다.

  이 결과를 한마디로 요약하면, 공부 잘하는 학생들은 ‘공부의 노예’가 아니라 ‘공부의 지배자’들이란 점이다. 특히 한국교육개발원의 분석에서 눈길을 끄는 것은 독서와 관련된 특징이 대부분이라는 점이다. 이미 미국에서도 독서가 얼마나 중요한 것인가를 보여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미국교육과학연구소는 2002년 ‘미국의 리더는 어떻게 만들어지는가’라는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사회를 이끌어 가는 리더들 대부분은 초등학교 때 세계 명작 등 좋은 책을 많이 읽은 독서광이란 공통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에 반해 범죄자들 대부분은 거의 책을 읽지 않았거나 읽었다고 해도 교육적으로 가치가 없는 불량서적을 읽은 것으로 조사됐다. 또 보고서는 ‘초등학교 시절에 읽은 책의 양과 질이 그 사람의 인생의 방향과 질을 결정한다’는 결론으로 초등학교 독서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도대체 독서가 뭐 길래 책을 잘 읽는 사람들은 공부를 잘하고, 성공의 길을 걷게 되며 사회적인 리더가 되는 것일까. 이런 질문의 답은 책읽기가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을 길러주는 가장 유용한 방법이라는 점에서 찾을 수 있다. 즉 책을 많이 읽는 아이들은 일반적으로 혼자 공부하는 것을 즐거워한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전문가들은 “요즘처럼 지식과 정보가 폭발 하는 정보화 사회에서는 학교에서 배운 지식만으로 살아 갈 수 있는 사람은 없다”며 “이런 지식 폭발의 시대를 성공적으로 살아가기 위해서는 스스로 정보를 수집하고 정리하며 그것을 자기 것으로 만드는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이 필요하다”고 말하고 있다.

  실제로 학습전략 및 학습방법 연구가들의 연구결과도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을 기르는데 가장 효과적인 방법으로 독서보다 더 확실한 방법이 없다고 보고 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에 대해 “우리가 공부를 한다는 것, 정보를 수집한다는 것은 책을 읽는 행위를 빼놓고는 상상도 할 수가 없기 때문”이라며 “인터넷을 통한 정보수집도 있으나 이 방법도 엄격히 따지면 읽어내는 행위, 넓게 보면 독서라고 볼 수 있다”고 말했다.

  결국 책을 좋아하지 않고, 책을 스스로 잘 읽지 않는 사람은 정보화 시대를 살아가는 무기가 없는 사람과 같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이것이 바로 정보화 시대 21세기가 되면서 독서가 더욱 중요시되는 이유이다.  

[371] 자기만 생각하는 아이 교육 어떻게 해야 하나요?

댓글 0 | 조회 1,737 | 2007.12.20
남을 배려할 줄 모르고, 남의 입장에… 더보기

[370] 아이에게 알맞은 적성 찾아 주기

댓글 0 | 조회 1,740 | 2007.12.11
※원인※ 부모들은 모두 자녀의 행복을… 더보기

[369] 친구와 어울리지 못하는 아이

댓글 0 | 조회 1,927 | 2007.11.28
※ 원인 ※ 주변을 주의 깊게 살펴보… 더보기

[368] 공부할 마음이 없는 것 같은 아이

댓글 0 | 조회 1,763 | 2007.11.13
*원인* 대부분의 부모님들은 자녀가 … 더보기

[367] 자기주장만 내세우는 아이

댓글 0 | 조회 1,730 | 2007.10.24
어린아이들은 원래 자기 중심적으로 행… 더보기

[366] 말 안 하는 아이 정말 답답해요

댓글 0 | 조회 1,855 | 2007.10.09
말을 할 수 있는 능력이 있는 아이가… 더보기

[365] 자녀교육 과연 어떻게 해야 하나요?

댓글 0 | 조회 1,520 | 2007.09.26
아이를 양육하는데 흔들리지 않는 부모… 더보기

[364] 잦아지는 아이와의 의견충돌 어떻게 풀어 가야 할지....

댓글 0 | 조회 1,511 | 2007.09.12
※ 원인 ※ 갈등은 우리가 행하는 거… 더보기

[363] 공부에 대한 아이 생각을 바꿔 주고 싶어요

댓글 0 | 조회 1,596 | 2007.08.28
아이가 종종 '공부 싫어', '공부 … 더보기

[362] 외모에만 관심이 있는 아이들

댓글 0 | 조회 1,667 | 2007.08.15
'착한 얼굴', '이기적인 몸매', … 더보기

[361] 화를 잘 내고, 공격적, 폭력적인 아이 어떻게 해야 되나요.

댓글 0 | 조회 2,349 | 2007.07.24
* 원 인 * 이 세상에서 단 한 번… 더보기

[360] 어떻게 해야 아이 말을 제대로 들어줄 수 있을까요?

댓글 0 | 조회 1,613 | 2007.07.10
점점 커 가는 아이는 자기 목소리만 … 더보기

[359] 발음교정방법

댓글 0 | 조회 1,804 | 2007.06.27
발음은 우리의 의사를 최종적으로 표현… 더보기

[358] 하루종일 PC를 켜 놓고 있는 아이들

댓글 0 | 조회 1,806 | 2007.06.13
아직까지 아이들은 인터넷 활용에 있어… 더보기

[357] 에세이는 어떻게......?

댓글 0 | 조회 1,559 | 2007.05.23
많은 명문대학 응시자들은 고등학교때 … 더보기

[356] 본인에 맞는 계획 세우기

댓글 0 | 조회 1,545 | 2007.05.09
신기하게도 공부를 잘 하는 학생들은 … 더보기

[355] 독해력 증진 방법

댓글 0 | 조회 1,637 | 2007.04.24
● 직독직해는 독해의 생명 영어의 우… 더보기

[354] 어휘력 증진방법

댓글 0 | 조회 1,566 | 2007.04.11
● 기본 단어는 별도로 공부해 둔다.… 더보기

[353] 미국에서도 성적 경쟁시대

댓글 0 | 조회 1,497 | 2007.03.28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 더보기

[352] 장점을 살리는 교육

댓글 0 | 조회 1,767 | 2007.03.28
Educational Leadersh… 더보기

[351] SAT 에세이 '공부법'

댓글 0 | 조회 1,976 | 2007.02.26
지난 5일 치러진 SAT시험의 에세이… 더보기

[350] 자아의식과 자부심

댓글 0 | 조회 1,683 | 2007.02.13
청소년기는 특히 외모에 신경을 많이 … 더보기

[349] 후배들에게 조언하는 '성공학습 8계명'(Ⅱ)

댓글 0 | 조회 1,765 | 2007.01.30
3. Studying tip 1: P… 더보기

[348] '성공학습 8계명'(Ⅰ)

댓글 0 | 조회 1,705 | 2007.01.15
새해 2007년 1월도 반이 지나고 … 더보기

[347] Reading Skill

댓글 0 | 조회 1,566 | 2007.01.15
읽기 실력(Reading skill)…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