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6] ‘부모의 질문이 아이 사고력 키운다’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306] ‘부모의 질문이 아이 사고력 키운다’

0 개 1,799 코리아타임즈
**************************************
  자녀들의 사고에 불꽃을 피우는 질문들
**************************************

1. 꽃들도 행복을 느낄까?

2. 우리는 왜사는 것일까?

3. 사람은 항상 진실만을 이야기해야 하나?

4. 나무의 이름은 왜 나무일까?

5. 스님들은 왜 머리를 깎을까?

6. 이 세상에서 가장 큰 것은 무엇이고 가장 작은 것은 무엇인가?

7. 친구가 곤경에서 빠져나올 수 있다면 거짓말을 해도 될까?

8. 고래는 왜 바다로 갔을까?

9. 이 세상에서 가장 위대한 사람은 누구일까?

10. 사람은 왜 먹어야 살까?

11. 내가 나라는 것을 어떻게 증명할 수 있을까?


  아이를 생각하게 만드는 방법은 많습니다. 독서와 토론 이 대표적입니다. 이와 더불어 질문을 하는 것도 자녀의 사고력을 향상시키는 좋은 방법입니다.
  상당수의 부모들은 아이에게 뭔가 채워줘야 한다는 강박관념을 갖고 있습니다. 하지만 지식 수십 개를 일방적으로 넣어 주는 것보다는 단 하나라도 제대로 된 질문을 하는 것이 아이 사고력을 높이는데 도움이 된다고 전문가들은 말합니다.

  질문을 받은 아이는 사물이나 지식을 무조건 받아 들이지 않고 한번 더 생각하는 기회를 가져 사고의 폭을 스스로 넓힐 수 있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부모가‘말 의 다리는 4개'라고 말하면 아이는 단순지식만을 얻게됩니다. 대신‘말의 다리는 4개인데 왜 그럴까?'라고 질문 을 던지면 아이는 생각할 수 시간을 갖게 됩니다.

  여기서 질문이란 단순히 의문형 문장 형태를 가리키는 것이 아닙니다. 가령‘숙제했니?‘책 읽었니?'와 같은 말은 질문이 아닌 명령입니다.‘네.’혹은‘아니요.'와 같은 대답 밖에 나올 수 없는 물음 역시 사고력을 위한 질문이 될 수 없습니다.
  사고력 신장을 위한 질문에는‘오늘 기분은 어떠니?' ‘학교에서 제일 기억에 남는 것은 무엇이니?'와 같은 일상적인 질문이 있습니다. 독서나 학습 후 내용에 대한 질문, 가령‘주인공은 왜 그 곳에 갔을까?'‘네가 주인공이라면 어떻게 행동했을까?'와 같은 학습적 질문,‘손가락은 왜 다섯 개일까?'와 같은 철학적 질문도 있습니다. 모두 아이의 사고를 자극한다는 공통점이 있습니다.

  주입식 교육을 받아온 부모 입장에서 이러한 질문을 던지는 것이 쉽지 만은 않다. 하지만 몇 가지 원칙을 갖고 질문을 한다면 아이의 생각을 키우는 것이 어렵지 않습 니다.
  우선‘밥은 왜 세끼를 먹지?'‘왜 매일 세수를 할까?'‘사람은 왜 잠을 잘까?' 등 당연한 것에 대해 묻는 것이 필요하다. 아이가 모든 것을 무의식적으로 받아들이지 않고 비판적으로 소화하게 만드는 질문입니다.

  모든 질문에 답이 있다는 생각을 버려야 합니다. 대부분의 부모들은 자신이 반드시 자녀들보다 나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자신이 답을 모르는 질문은 하지 않기 마련이지만 이는 바람직하지 않다고 합니다.

  질문마다 답이 여러개 있는 경우도 많을 뿐만 아니라 설사 답이 한 개더라도 아이와 함께 찾는다는 생각으로 질문하고 대화하는 시간을 갖는 것이 중요합니다.
  질문 후에는 반드시 기다려 주는 자세가 필요합니다. 아이에게 생각할 여유를 주고 질문을 이해하지 못했을 경우 질문을 구체적으로 다시 해줍니다. 아이가 대답하는 도중에 말이 막히면‘좋은 생각인 것 같은데?'라는 식으로 격려해 주는 것이 좋습니다.

[371] 자기만 생각하는 아이 교육 어떻게 해야 하나요?

댓글 0 | 조회 1,737 | 2007.12.20
남을 배려할 줄 모르고, 남의 입장에… 더보기

[370] 아이에게 알맞은 적성 찾아 주기

댓글 0 | 조회 1,740 | 2007.12.11
※원인※ 부모들은 모두 자녀의 행복을… 더보기

[369] 친구와 어울리지 못하는 아이

댓글 0 | 조회 1,927 | 2007.11.28
※ 원인 ※ 주변을 주의 깊게 살펴보… 더보기

[368] 공부할 마음이 없는 것 같은 아이

댓글 0 | 조회 1,765 | 2007.11.13
*원인* 대부분의 부모님들은 자녀가 … 더보기

[367] 자기주장만 내세우는 아이

댓글 0 | 조회 1,730 | 2007.10.24
어린아이들은 원래 자기 중심적으로 행… 더보기

[366] 말 안 하는 아이 정말 답답해요

댓글 0 | 조회 1,855 | 2007.10.09
말을 할 수 있는 능력이 있는 아이가… 더보기

[365] 자녀교육 과연 어떻게 해야 하나요?

댓글 0 | 조회 1,520 | 2007.09.26
아이를 양육하는데 흔들리지 않는 부모… 더보기

[364] 잦아지는 아이와의 의견충돌 어떻게 풀어 가야 할지....

댓글 0 | 조회 1,511 | 2007.09.12
※ 원인 ※ 갈등은 우리가 행하는 거… 더보기

[363] 공부에 대한 아이 생각을 바꿔 주고 싶어요

댓글 0 | 조회 1,596 | 2007.08.28
아이가 종종 '공부 싫어', '공부 … 더보기

[362] 외모에만 관심이 있는 아이들

댓글 0 | 조회 1,667 | 2007.08.15
'착한 얼굴', '이기적인 몸매', … 더보기

[361] 화를 잘 내고, 공격적, 폭력적인 아이 어떻게 해야 되나요.

댓글 0 | 조회 2,349 | 2007.07.24
* 원 인 * 이 세상에서 단 한 번… 더보기

[360] 어떻게 해야 아이 말을 제대로 들어줄 수 있을까요?

댓글 0 | 조회 1,613 | 2007.07.10
점점 커 가는 아이는 자기 목소리만 … 더보기

[359] 발음교정방법

댓글 0 | 조회 1,804 | 2007.06.27
발음은 우리의 의사를 최종적으로 표현… 더보기

[358] 하루종일 PC를 켜 놓고 있는 아이들

댓글 0 | 조회 1,806 | 2007.06.13
아직까지 아이들은 인터넷 활용에 있어… 더보기

[357] 에세이는 어떻게......?

댓글 0 | 조회 1,559 | 2007.05.23
많은 명문대학 응시자들은 고등학교때 … 더보기

[356] 본인에 맞는 계획 세우기

댓글 0 | 조회 1,545 | 2007.05.09
신기하게도 공부를 잘 하는 학생들은 … 더보기

[355] 독해력 증진 방법

댓글 0 | 조회 1,638 | 2007.04.24
● 직독직해는 독해의 생명 영어의 우… 더보기

[354] 어휘력 증진방법

댓글 0 | 조회 1,566 | 2007.04.11
● 기본 단어는 별도로 공부해 둔다.… 더보기

[353] 미국에서도 성적 경쟁시대

댓글 0 | 조회 1,497 | 2007.03.28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 더보기

[352] 장점을 살리는 교육

댓글 0 | 조회 1,767 | 2007.03.28
Educational Leadersh… 더보기

[351] SAT 에세이 '공부법'

댓글 0 | 조회 1,976 | 2007.02.26
지난 5일 치러진 SAT시험의 에세이… 더보기

[350] 자아의식과 자부심

댓글 0 | 조회 1,683 | 2007.02.13
청소년기는 특히 외모에 신경을 많이 … 더보기

[349] 후배들에게 조언하는 '성공학습 8계명'(Ⅱ)

댓글 0 | 조회 1,765 | 2007.01.30
3. Studying tip 1: P… 더보기

[348] '성공학습 8계명'(Ⅰ)

댓글 0 | 조회 1,705 | 2007.01.15
새해 2007년 1월도 반이 지나고 … 더보기

[347] Reading Skill

댓글 0 | 조회 1,566 | 2007.01.15
읽기 실력(Reading skill)…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