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 건축법안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신 건축법안

0 개 2,783 NZ코리아포스트
이번 호에서는 독자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부가 지난 8월 12일 전국 뉴스를 통해 발표한 현행 건축 법규 수정안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다.

Maurice Williamson 건설부 장관은 8월 12일 현행 건축 법규인 Building Act 2004를 수정하여 현재 건설업계에 만연해 있는 불만을 해소하게 하고 건축의 허가에서 완공까지의 진행과정을 원활하게 해주며 기본적인 건축 비용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을 추진 중이라고 발표했다. 이는 건설업자들이 해당 프로젝트에 대한 책임을 더 갖게 함으로써 카운슬의 관료주의적이고 경직된 행정 처리를 줄임과 동시에 업무의 효율성을 높이고 허가 및 인스펙션과 관련된 비용을 과감하게 줄이는 방향을 모색 중이다.

Williamson 건설부 장관은 정부는 이러한 기본 안에 대하여 적극적으로 지지하고 있다고 말하며 이 수정안은 건설업자들에게 “build it right first time” 즉 공사 초기부터 제대로 짓게끔 할 것이라고 하였다. 또한 건물의 품질과 안전에 문제가 되지 않는 수준에서 건축의 효율성과 생산성을 많이 강조하게 될 것이라고 한다.

신 건축법규에 포함되는 내용 새로 시행될 법규는 단계적으로 시행될 예정인데 주요 골자로 다음의 내용들을 포함할 예정이다.

- 설계 도면을 작성한 설계자와 그 시공을 담당한 건설업자에게 건축 법규를 준수할 의무를 갖게 하며 그 책임을 지게 할 것이다.

- 공사비 $20,000이 넘는 모든 공사에 대해서 공사 계획, 품질보증, 하자에 대한 보증수리, 만일의 분쟁 발생 시의 해결 방안 등을 의무적으로 계약서에 포함시키도록 할 것이다.

- 하자 보증수리에 관한 금전적인 보장이나 보험계약 등을 의무화 할 것이다.

또한 누수문제 혹은 기타 안전과 관련된 위험요소가 적은 건축물에 대해서는 건축허가를 면제해 주거나 건축허가 절차를 단순화 시키고 공사 기간 중에 있는 일련의 인스펙션의 횟수도 대폭 줄일 예정이다. 즉 최고 20제곱 미터 크기의 현관, 베란다, car port, 독립적으로 지어지는 차고, 정부에서 지정한 자재와 공법으로 지어지는 단순 형태의 위험요소가 적은 주택의 경우, 내벽 공사, 최고 50제곱 미터 크기의 shade, 일부 retaining wall, 최고 높이 2.5미터의 펜스, 실내 바닥공사 등에 대해서는 수월하게 허가와 공사가 진행되게 법규를 바꾸어 나갈 예정이다.

예를 들어 별채로 지어지는 차고는 건축허가를 요구하지 않고 라이센스를 가지고 있는 빌더가 지을 수 있게 하여 허가와 인스펙션 등의 행정 비용을 줄이고 신속하게 공사가 이루어지게 하는 반면 그 책임은 빌더에게 지우는 방법이다.

정부는 건축법규의 수정을 위해서 지난 해부터 전국적으로 각계 각층의 의견을 수렴하여 반영하였으며 약 380개 이상의 건의안을 받아들여 충분한 검토 후에 내린 결론이라고 했다.

정부에서 추진하는 건축법규의 개정안이 현재 건설업계에 만연해 있는 카운슬에 대한 불만과 불신, 허가와 공사기간에 대한 불필요한 지연과 그에 따른 비용, 하자보수에 대한 일관성 없는 해결방안 등의 수많은 문제에서 벗어나고 소비자들을 만족시켜주는 방향으로 진행이 되고 불황으로 심각한 영향을 받고 있는 건설 및 부동산 업계에 활력을 불어 넣어줄 수 있는 기회가 되기를 바란다.

ⓒ 뉴질랜드 코리아포스트(http://www.koreapost.co.nz),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cladding (Ⅱ)

댓글 0 | 조회 1,922 | 2012.06.27
지난 주에 이어서 recladding… 더보기

Re-cladding (Ⅰ)

댓글 0 | 조회 1,895 | 2012.06.13
최근 누수주택이 커다란 사회문제가 된… 더보기

플라스터 집은 나쁜 집? (Ⅱ)

댓글 0 | 조회 6,785 | 2012.05.23
지난 호에 이어서 플라스터 집에 대해… 더보기

플라스터 집은 나쁜 집? (Ⅰ)

댓글 0 | 조회 7,577 | 2012.05.08
외장을 플라스터로 마감한 집은 사도 … 더보기

최근 주택시장의 특징과 향방

댓글 0 | 조회 2,273 | 2012.04.24
최근 TV뉴스나 신문의 1면을 장식하… 더보기

Value of sections

댓글 0 | 조회 1,752 | 2012.04.12
이 곳 뉴질랜드에서도 땅이나 집이 가… 더보기

섹션 고르기 (Ⅱ)

댓글 0 | 조회 1,885 | 2012.03.27
지난 호에 이어서 섹션 고를 때의 주… 더보기

섹션 고르기 (Ⅰ)

댓글 0 | 조회 2,082 | 2012.03.14
최근 신규 주택의 공급이 모자라는 상… 더보기

Granny Flat

댓글 0 | 조회 2,691 | 2012.02.29
‘Granny Flat&r… 더보기

부동산 2012

댓글 0 | 조회 2,331 | 2012.02.14
긴 여름 휴가와 Auckland An… 더보기

옥션으로 집 구입하기 (Ⅱ)

댓글 0 | 조회 6,006 | 2012.02.01
지난 호에서는 auction에서 집 … 더보기

옥션으로 집 구입하기 (Ⅰ)

댓글 0 | 조회 2,324 | 2012.01.18
새해가 밝았습니다. 올 한 해 모든 … 더보기

옥션으로 집 팔기 (Ⅱ)

댓글 0 | 조회 2,631 | 2011.12.24
지난 호에서 알아 본 auction은… 더보기

GOING, GOING, GONE!

댓글 0 | 조회 1,956 | 2011.12.13
부동산 매매에서 가장 강력한 효과를 … 더보기

LIM 리포트 (Ⅱ)

댓글 0 | 조회 2,348 | 2011.11.22
지난 주에 이어서 LIM (Land … 더보기

LIM 리포트

댓글 0 | 조회 2,636 | 2011.11.08
거의 모든 부동산 매매 계약에서 필수… 더보기

빌더스 인스펙션의 허와 실

댓글 0 | 조회 2,532 | 2011.10.26
주택 매매를 할 때에 계약이 체결된 … 더보기

전원일기 (Ⅲ)

댓글 0 | 조회 2,383 | 2011.10.12
5. 양의 관리또한 양에 대한 관리도… 더보기

전원일기 (Ⅱ)

댓글 0 | 조회 2,346 | 2011.09.28
지난 호에 이어서 전원주택 구입시 자… 더보기

전원일기 (Ⅰ)

댓글 0 | 조회 2,448 | 2011.09.14
대부분 고층 아파트가 주를 이루는 도… 더보기

돈 되는 집 (Ⅰ)

댓글 0 | 조회 4,563 | 2011.08.24
이번 호에서는 돈 되는 집 즉 투자가… 더보기

겨울철 부동산 전략 (Ⅱ)

댓글 0 | 조회 2,520 | 2011.08.09
지난 호에 이어서 이번 호에서는 집이… 더보기

집을 팔기 위한 준비 (Ⅰ)

댓글 0 | 조회 2,510 | 2011.07.26
매년 이맘때쯤 되면 춥고 비가 많이 … 더보기

Under the floor (Ⅱ)

댓글 0 | 조회 2,081 | 2011.07.13
지난 호에 이어서 마루 바닥의 공간을… 더보기

Under the floor (Ⅰ)

댓글 0 | 조회 2,331 | 2011.06.29
대부분 방갈로나 빌라 스타일의 집과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