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자의 빛, 겨울 공양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청자의 빛, 겨울 공양

0 개 802 템플스테이

a7a56f36946d37338d36ef25aeb8eed7_1647906200_9422.png 

▲ 태안선에서 발견된 발우

사진제공 및 소장처 :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발우가 있었다


고려 시대, 태안 앞바다에 사나운 풍랑이 몰아치던 어느 날. 강진에서 만든 양질의 청자를 가득 싣고 개경을 향하던 몇 척의 목선들은 끝내 거친 파도를 이기지 못한 채 깊고 푸른 바다에 몸을 묻었다. 그리고 지난 2007년, 대섬 앞바다에 잠들어 있던 천여 년 전 고려의 난파선은 하세월을 지쳐온 듯 2만 5천여 점의 보물을 쏟아냈다.


심해의 푸른 빛을 덧입고 되살아온 고려청자, 그 사이에는 불교의 나라 고려가 만들어 낸 푸른빛 발우가 영속의 시간을 이겨낸 채 자리하고 있었다.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태안해양유물전시관이 2022년 5월 15일까지 개최하는 ‘해저만발(海底萬鉢), 바다에서 만난 발우(Buddhist Alms Bowls Salvaged from the Sea)’ 전시의 엄선된 138개 발우는 그렇게 수면 위로 떠올랐다. 국내외의 큰 관심을 받으며 인양된 태안 해저유물, 그 안에서도 사람들의 눈길을 사로잡은 것은 정성껏 합을 맞춰 제작된 대량의 발우들이었다. 비록 정확한 사용처는 기록되어 있지 않지만, 당시 고려인들의 일상에 불교가 얼마나 큰 영향을 끼치고 있는지 짐작할 수 있는 귀한 증거다.


발우가 그저 평범한 그릇이 아니듯, 그 안에 담기는 것 또한 단순한 음식이 아니기에.


불가의 정신을 담는 그릇


승가의 공양법을 뜻하는 발우공양은 단순히 먹는 행위만으로 규정할 수 없는 수많은 의미와 불교의 세계관이 담겨 있다. 


발우공양에는 크게 8가지 정신이 전해지는데, 먼저 한 끼의 음식에 담긴 수많은 노고와 과정에 감사와 공경을 담아 그저 식사가 아닌 ‘공양’이라 말한다. 나아가 이 음식이 나에게 오기까지 숱하게 이어진 인연들에 자각하는 연기적 세계관을 담는다. 또 맛이 아닌 수행에 필요한 섭취로써 무욕을, 지위 고하에 상관없이 같은 음식을 통해 평등을 담으며, 뭇 생명을 위해 자신의 음식을 덜어내는 헌식으로 나눔의 정신을 담는다. 식전 게송인 오관게의 구절처럼 도업을 성취하여 중생을 제도하겠다는 수행자의 서원이, 음식물 찌꺼기를 배출하지 않음으로써 자연과 공생하려는 의지가, 끝내는 이 모든 과정을 통틀어 온 우주와 공존하려는 공동체 정신이 담겨 있는 것이다.


사찰의 공양이 일반 채식과 다른 점은 단순히 육식을 제한하는 것을 넘어, 이처럼 모든 생명을 향한 자비심의 발로라는 데 있다. 수확부터 조리과정, 나눔과 섭식까지 불가의 공양은 매 순간이 ‘수행’이다.


a7a56f36946d37338d36ef25aeb8eed7_1647906256_1055.png
▲ 통도사에서 올겨울 김장 채비를 하고 있다


겨울 수행은 울력부터


지난 11월 19일, 전국의 선원과 총림에서 겨울철 석 달간 일체의 외부 출입을 끊고 화두에 매달리는 동안거 정진이 시작됐다. 비단 동안거가 이뤄지지 않는 사찰이라도 겨울을 준비하는 산사의 풍경은 닮아있다. 혹독한 계절, 수행을 이끌어 갈 양식을 함께 준비하는 울력은 겨울 산사의 가장 중요한 의례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기 때문이다.


어른 스님들과 일반 신도들까지 며칠씩 힘을 더하는 김장 울력은 가장 고되고, 또 기쁜 일이다. 최근에는 사찰의 김장 울력으로 소외계층을 위한 김치 나눔이 대중화되어 더욱 그렇다. 


보통 동안거 결제 이전에 치러지는 김장이 마무리되면, 그해 겨울 먹을거리들도 차곡차곡 제 순서를 찾아 들어서기 마련이다. 김장 때 갈무리한 무청은 후원 처마에 차곡차곡 걸려 구수한 시래기로, 가을볕에 말려둔 무말랭이와 온갖 장아찌들도 겨우내 떨어지지 않는 고마운 양식이 될 것이다. 계절이 깊어지면 산속의 짐승들이 혹한의 고비를 넘길 수 있도록 얼어붙은 계곡에 물구멍을 내주고, 고구마와 곡류 등을 나누는 헌식 또한 이즈음에 자주 볼 수 있다.


가장 혹독하기에 가장 따뜻한 연대가 이루어지는 시간, 바로 산사의 겨울이고, 창창한 빛을 잃지 않은 청자처럼 천 년을 넘어 은은하게 전해오는 우리의 미덕이다.


a7a56f36946d37338d36ef25aeb8eed7_1647906285_6239.png 

▲ 고구마를 법당 바닥 위에 말리고 있다. 겨우내 귀한 식량으로 거듭날 고구마를 위해 스님은 법당 마루를 깨끗이 닦고 한 조각 한 조각 고구마를 정성스레 펴놓았다. 부처님께 올리는 공양만큼이나 고귀한 여정이다.


자비로 피어나는 공양 


옛 백제와 신라에서는 불교 문화가 피어남과 함께 살생을 국법으로써 금하고, 고려에 이르러서는 채식을 권장하며 채소를 재료로 음식의 맛을 내기 위한 식물성 기름과 향신료가 발달했다. 이처럼 우리 민족의 다양한 채식 요리에는 그 근간에 불교의 자비 사상이 자리한다. 


자비는 이른 새벽 수행자들의 속을 부드럽게 달래줄 죽을 쑤는 보살의 손끝에, 얼굴 한 번 보지 못한 누군가를 위해 기꺼이 김치를 담는 봉사자의 발걸음에, 작은 배춧잎 하나도 허투루 버리지 않고 귀히 여기는 마음에 있다.


천 년 전 깊은 바다에 잠시 몸을 뉘었던 푸른 발우 그 안에도 어느 고려인이 꿈꾸었을 영원한 자비의 나라, 불국토의 꿈이 살아 숨 쉰다.


■ 제공: 한국불교문화사업단

운전 좀 한다는 사람들은 정말로 운전을 잘할까? 방어운전!

댓글 0 | 조회 1,908 | 2022.03.23
운전을 해야할 때 가장 많이 듣는 말… 더보기

효과적인 공부을 위한 10가지 주요 팁

댓글 0 | 조회 1,413 | 2022.03.23
최고의 학생들을 살펴보면, 어떤 학생… 더보기

누가 감히 우크라이나를 조롱하는가

댓글 0 | 조회 1,637 | 2022.03.23
“여기저기서 기관총을 조준사격하고 있… 더보기

만들고 싶은 것 만들 수 있는 골프 추구

댓글 0 | 조회 1,189 | 2022.03.23
길었던 추운 겨울이 지나 봄이 다시 … 더보기

괜찮아, 괜찮아, 다 괜찮아

댓글 0 | 조회 1,110 | 2022.03.23
푸르른 하늘부터 반겨 준 웰링턴 여행… 더보기

길상사

댓글 0 | 조회 892 | 2022.03.23
시인 이산하절로 가는 길은 성당을 거… 더보기

우크라이나 전쟁 월드비전 긴급구호 현황

댓글 0 | 조회 920 | 2022.03.23
2월 24일 러시아의 본격적인 군사작… 더보기

백신접종 의무화 명령 무효 판결

댓글 0 | 조회 1,814 | 2022.03.23
작년 말 칼럼에서는 뉴질랜드 정부가 … 더보기

매일하지 않아도 뱃살 쏙 빠지는 5분 플랭크

댓글 0 | 조회 1,023 | 2022.03.23
며칠 방심하고 운동을 게을리하거나 평… 더보기

음식 스트레스를 받지 마라

댓글 0 | 조회 966 | 2022.03.23
음식에 대해서는 하여튼 잘 드시라고 … 더보기

꽃보다 어여뻐라, 민경씨 고마워요

댓글 0 | 조회 1,635 | 2022.03.22
작년 1월이었다. 견딜수 없는 그리움… 더보기

생일

댓글 0 | 조회 926 | 2022.03.22
갈보리십자가교회 김성국화려해서 눈에 … 더보기

새로운 트러스트 법(TRUSTS ACT) - 신탁관리자가 알아야 하는 사항

댓글 0 | 조회 1,964 | 2022.03.22
제 1부 - 신탁관리자의정해진 의무 … 더보기
Now

현재 청자의 빛, 겨울 공양

댓글 0 | 조회 803 | 2022.03.22
▲ 태안선에서 발견된 발우사진제공 및… 더보기

국경개방과 에센셜 워크비자신청

댓글 0 | 조회 2,503 | 2022.03.22
국경개방에 대한 뉴스에 늘 촉각을 세… 더보기

기대감의 방법론

댓글 0 | 조회 829 | 2022.03.22
어떻게 기대할까요?며칠전 어느 한가한… 더보기

오미크론 유감

댓글 0 | 조회 1,216 | 2022.03.22
오미크론이 기승을 부리고 있다. 이제… 더보기

‘한국의 지성’ 故 이어령 교수

댓글 0 | 조회 1,507 | 2022.03.19
‘우리 시대 최고의 지성(知性)’ 이… 더보기

나를 만든 한 권의 책 <<문학과 미술 사이>>

댓글 0 | 조회 906 | 2022.03.09
대학과 학문에 대한 막연한 환상을 품… 더보기

사랑과 평화

댓글 0 | 조회 884 | 2022.03.09
시인: 이문재사람이 만든 책보다책이 … 더보기

첫사랑

댓글 0 | 조회 1,148 | 2022.03.09
■ 노 혜숙주위를 살폈다. 아무도 보… 더보기

리커넥트 향초 자활 프로젝트 - 캔들 메이커 인터뷰

댓글 0 | 조회 1,023 | 2022.03.09
향초 자활 프로젝트는 2018년도에 … 더보기

22년도 골프공 생산 가격만 올라가고...

댓글 0 | 조회 1,285 | 2022.03.09
2년째 공장에 출장도 못가고 강력한 … 더보기

내 자녀의 온라인 게임중독, 어떻게 해야 할까? (1)

댓글 0 | 조회 1,410 | 2022.03.09
십대의 자녀들, 특히 아들들의 온라인… 더보기

나에게 남은 시간

댓글 0 | 조회 1,139 | 2022.03.09
우리 곁에 이미 도착해 있는 미래아직…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