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생이란 무엇인가?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인생이란 무엇인가?

0 개 3,606 NZ코리아포스트
어떤 국왕이 국정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학자들에게 “인생이란 무엇인가?”에 대하여 연구하라고 국정과제를 주었다.

각 분야에서 선발 된 수십 명의 저명한 학자들로 위원회를 만들어 인간과 사회 속에서 인생은 무엇이며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 톨스토이의 인생론을 시작으로 성경과 불경을 시작으로 동서양의 학문적 자료를 수집하고 토론하고 정리하면서 10여년이 흐른 후 수십 필의 낙타 등에 연구 논문을 싣고 국왕을 방문 하였다. 학자들은 국왕에게 방대한 연구 논문과 10권으로 편집 된 책자를 드리면서 읽어 보기를 권했다.

국왕은 학자들의 그간의 노고를 치하하고 한편 기쁘면서도 그 많은 글을 다 읽을 수가 없어서 연구팀에게 말하기를 “모두 읽을 수가 없으니 더 간단하게 정리하라”고 하였다.

학자들은 다시 머리를 맞대고 3년을 고심하고 노력 한 끝에 퍼펙트하게 3권의 책으로 정리해서 국왕에게 보고 하였다. 국왕은 평생을 많은 사람들을 만나고 정치로 나라를 다스리고 국민들을 위한다고 하였지만 정작 인생 자체에 대하여서는 늘 의문으로 남았는데 이제 그 해답을 찾을 수 있다고 생각하니 감개무량했다.

그래서 그 책을 펼쳐 읽어 내려가려고 했지만 그즈음 국왕은 눈도 나빠지고 귀도 잘 들리지 않아 그 3권의 책을 반도 읽을 수가 없었다.

그래서 단 한권의 책으로 만들어 오라고 했다. 기꺼이 왕의 처지를 이해한 학자들은 또 1년이 흐른 후 그 3권을 정리해서 한 권의 뛰어난 글을 완성했다.

그러나 불행히도 한 권의 책이 완성될 즈음 기력이 쇠퇴하고 임종에 임박한 왕은 다시 학자들을 불러 말하기를 “나는 이제 병들고 남은 수명이 얼마 되지 않아 이걸 다 읽을 수가 없구나, 누구든 좋다 한 마디로 인생이 무엇인지 요약해서 말해 줄 수는 없겠는가? 빨리 듣고 싶구나!”하고 재촉했다.

학자들은 나이 많은 국왕을 위하여 밤낮으로 연구에 연구를 거듭 한 끝에 한 사람의 대표자를 선임하여 왕의 귓전에 대고 큰 소리로 말했다.

“대왕이시어, 사람은 태어나서 늙고 병들고 그리고 죽어가는 과정입니다. 그리고 그 과정이 정의로워야 사회적으로 가정적으로 행복합니다”

국왕은 “음 인생이란 그렇단 말이지, 음 그래, 그렇지, 맞아! 고맙구나, 알려주어서 정말 고맙구나”. 국왕은 빙그레 미소 지으며 “그렇구나”하고 숨을 거두었다.

장자(莊子)에 나오는 이야기이다.

근래 한국의 총리 장관 후보자의 국회 인사청문회를 보니 후보자들의 지난날이 정의롭지 못하고 재산적으로 도덕적으로 언어적으로 문제가 있어 어렵게 올라온 자리를 통과하지 못하고 낙마하여 정치적 치명타를 입는 것을 보았다.

그들은 대부분 위장전입, 부동산 투기, 뇌물수수, 세금탈루, 병역기피, 거짓 발언, 직권남용, 인사비리, 특혜의혹, 부당이익, 심지어 대답이 어려울 때는 ‘기억이 잘 나지 않는다.’ 등의 발언과 문제로 청문 보고서를 얻지 못하고 회한의 눈물을 흘려야 했다. 이제 와서 후회한들 무슨 소용이 있으랴?

오늘 이런 자리에 올 줄 알았더라면 내 주변을 맑고 깨끗하게 관리하고 되도록이면 결함 없이 살았을 텐데! 라고 뉘우친들 회복 불가능 한 자신의 모습만 한스럽게 보인다. 좀 더 주군을 잘 만나 사회적으로 일찍이 정의롭게 살았더라면 오늘의 영광을 놓치지 않았을 것이다. 위의 ‘인생이란 무엇인가’란 고사만 보았더라도 실패로 이어지는 어리석음을 예방 할 수 있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MB 정부의 나머지 반은 ‘공정사회를 만드는데 힘쓸 것’이라고 말했다.

공정 사회는 개개인이 각 분야에서 좀 더 정의로울 때 가능하고 발전한다. 개인도 가정도 그 삶의 과정이 정의로울 때 잘 살고 건강하고 행복하다. 머리로는 이해되지만 현실은 냉혹해서 유혹에 노출되고 잘 실천되지 않는다. 경제가 어려운 교민 사회의 참다운 행복이 무엇인지 봄의 전령인 목련 꽃을 보며 생각해 본다.

ⓒ 뉴질랜드 코리아포스트(http://www.koreapost.co.nz),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뉴질랜드 의대 진학 A to Z

댓글 0 | 조회 733 | 3일전
이번 칼럼부터는 뉴질랜드 의대 특집으… 더보기

TMI TMI

댓글 0 | 조회 398 | 3일전
요 며칠간 정원일을 좀 하다보니 얼굴… 더보기

수도에서 흙탕물이 나와요!

댓글 0 | 조회 468 | 4일전
비가 많이 오는 계절이 돌아왔습니다.… 더보기

생각만 해도 기쁜 날

댓글 0 | 조회 209 | 4일전
갈보리십자가교회 김성국파카 만년필로 … 더보기

남은 인생 10년

댓글 0 | 조회 346 | 4일전
마츠리(Matsuri; まつり)가 ‘… 더보기

6월의 북쪽 하늘을 바라보며 . . .

댓글 0 | 조회 216 | 4일전
계절은 한치의 어김이 없어 또 다시 … 더보기

반복적인 행동을 하거나 불안감이 느껴지나요?

댓글 0 | 조회 251 | 4일전
과거에 비해 무척 복잡하고 빠르게 변… 더보기

균형을 향해 가는 시간 화엄사의 공양

댓글 0 | 조회 118 | 4일전
구례 화엄사의 적멸보궁에 이르면 네 … 더보기

지피지기 백전백승, 파트너쉽 영주권

댓글 0 | 조회 662 | 5일전
뉴질랜드 영주권자 또는 시민권자의 파… 더보기

10. 소장 내에 곰팡이와 세균이 득실거린다고…

댓글 0 | 조회 555 | 5일전
정상적으로 건강한 사람들은 소장에는 … 더보기

비즈니스파트너와 피고용인의 경계

댓글 0 | 조회 338 | 5일전
사업을 하고 있는 사람이 비즈니스파트… 더보기

가난한 사랑의 노래

댓글 0 | 조회 166 | 5일전
시인 신 경림가난하다고 해서 외로움을… 더보기

커피만 마시며 사는 아주머니 이야기

댓글 0 | 조회 527 | 5일전
인간은 마음이 몸을 지배합니다. 어느… 더보기

코로나19, 암과 치매 유발 가능성

댓글 0 | 조회 1,011 | 9일전
미국 워싱턴포스트(WP)가 암(癌)을… 더보기

9. 장내 유익균들을 소멸시키거나 약화시키는 의외의 것들

댓글 0 | 조회 1,107 | 2024.06.18
장내 미생물들이 사람의 정신건강이나 … 더보기

의사결정 취약자를 위한 법률 재심의

댓글 0 | 조회 261 | 2024.06.18
어떤 사람이 치매나 뇌졸중 또는 학습… 더보기

뉴질랜드에서 행복 찾기

댓글 0 | 조회 987 | 2024.06.12
우리는 보다 행복한 삶을 향해서 한 … 더보기

호흡으로 명이 길어질 수 있어

댓글 0 | 조회 493 | 2024.06.12
호흡의 길이와 명(命)의 길이는 관계… 더보기

이 한 그릇의 마음으로 쉬어가기를

댓글 0 | 조회 376 | 2024.06.12
세종 전통문화체험관에서 듣는동화 스님… 더보기

2024 예산의 새로운 세율 기준

댓글 0 | 조회 1,381 | 2024.06.12
뉴질랜드 정부는 2024 예산을 발표… 더보기

리커넥트 “Care to Self-care?”

댓글 0 | 조회 435 | 2024.06.12
지난 한 달 동안, 리커넥트는 Hen… 더보기

비 오는 날 이성계 능 앞에서

댓글 0 | 조회 342 | 2024.06.12
갈보리십자가교회 김성국비 오는 날동구… 더보기

8. 설탕과 술이 지닌 위대한 마력들

댓글 0 | 조회 433 | 2024.06.11
원래 사람은 씨 맺는 모든 채소(허브… 더보기

‘큰 북한’으로 변해가는 러시아

댓글 0 | 조회 414 | 2024.06.11
▲ 일러스트레이션 김대중페이스북은 북… 더보기

낙타와 낙타풀

댓글 0 | 조회 132 | 2024.06.11
시인: 송 재학세상의 모든 낙타들은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