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주 중앙은행 경기 침체 이후 세계 첫 번째로 기준금리 인상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호주 중앙은행 경기 침체 이후 세계 첫 번째로 기준금리 인상

0 개 2,414 코리아포스트
■ 환율
NZD는 지난 금요일 US 비농장 급여 발표를 앞두고 잠시 하락세를 보였으나 한 주간 계속하여 USD 0.71 보다 높은 선에서 머물렀다. 지난 목요일인 10월 1일은 긍정적인 비지니스 전망 조사 발표에 힘을 얻어 USD 0.725까지 상승하며 거래되었다. 금요일 늦은 시간 뉴욕 거래에서 회복된 NZD는 기존 미화 대비 환율 상 약간의 변동만 보이며 0.2%만 상승하여 기타 통화 대비 지난 월요일 환율에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번 주의 국내 주요 관심사는 NZIER의 기업 견해 분기별 조사일 듯 하다. 이번 조사는 월별 비지니스 전망 조사에서 보여진 긍정적 결과와 같은 양상을 띌 것이라는 예측이다. 하지만 호주 중앙은행, 영국 중앙은행, 유럽 중앙은행의 잇따른 금리 발표가 이번 주에 있던 것을 미루어 짐작할 때 외환 시장과 금리 시장 분위기는 해외소식에 의해 주도 될 것으로 보인다. 만일 이번 주 US 주식 시장이 지난 주와 같이 약세를 보일 경우, NZD는 최근의 최고치로 다시 올라서기는 어려울 듯 하다. 이번 주 화요일 있던 호주 중앙은행의 첫 기준금리 인상 행보를 시작으로 뉴질랜드 환율시장 역시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10월 7일 기준, NZD는 원화 대비 861원, USD 대비 $0.7349, AUD 대비 $0.8260 선에서 마감되었다.

■ 금리
지난 주 뉴질랜드 금리 시장은 주 중반에 상승세를 탔으나 다시 초반 금리로 떨어지며 큰 변동 없이 거래되었다. 뉴질랜드의 자료는 수요일 NBNZ 비지니스 전망 조사에서 근 10년 중 가장 긍정적인 헤드라인 결과를 보였다. 세계 금리 시장은 주 중반의 손실에서 회복하였으며 지난 금요일 다시 주 초반 금리로 돌아왔다. 주 후반 부에 들어서며 시장이 경기 회복에 대한 의혹을 제기하며 US 채권 시장의 늘어난 수요로 인해 US 국채 이율의 하락을 불러왔다. US 고용 현황 보고는 9.8%에 육박한 실직률을 발표하며 시장 침체를 불러일으켰다. 지난 금요일 발표된 비농장 급여 발표에서 9월 한 달간 263,000건의 실직을 발표하였고 이는 지난 8월의 수치와 9월 예상 수치를 훨씬 뛰어넘는 수치였다. US 10년 정부채권이율은 5월 이래로 가장 낮은 선인 3.18%까지 하락하여 거래되었으나 한 주를 마감하며 3.22%로 회복하였다. 이번 주 US 재무부는 $780억의 지폐 및 채권을 매각할 예정이다. 국내 금리 시장은 투자가들이 미국 경기 회복에 대한 이의를 제기함으로써 낮아진 US 금리와 세계 경기 침체 이래 첫번째로 기준 금리 인상을 단행한 호주의 금리 사이에서 중간 입장에 처해 있다.

■ 뉴질랜드 8월 건축 허가 현황
8월 건축 허가율은 다시 한 번 약간의 상승을 보이며 지난 달과 비교하여 1.7% 상승하였고 이는 일년 전 이맘 때와 비교하여 10% 정도로 감소한 수치로 넓게 벌어졌던 차이를 좁혔다. 하지만 건축 허가율은 여전히 연속 두 달 아파트 건축 허가 부문에서 약세를 보이고 있다. 8월 한 달 간 허가된 신아파트 건축은 7월의 55건에서 30건으로 감소하였고 이는 지난 6개월간 월 평균 133건에 비교해 볼 때 아주 작은 수치이다. 아파트 건축을 제외한 기타 건축은 2.8% 상승하였다. 지난 달 11%의 강한 상승세를 보였던 것을 감안할 때 상대적으로 작은 수치는 그리 놀랄만하지 않다. 하지만 불투명한 경기 상황이 계속하여 건축 수요에 압력을 더하고 있는 가운데, 주택 판매와 건축 허가율 사이의 격차는 여전히 남아 있다. 비거주용 건축물 허가는 8월 한달 간 다시 한 번 강세를 보이며 3.4% 상승하였고 이는 일년 전과 비교하여 5.9% 상승한 수치이다.

ⓒ 뉴질랜드 코리아포스트(http://www.koreapost.co.nz),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TMI TMI

댓글 0 | 조회 240 | 15시간전
요 며칠간 정원일을 좀 하다보니 얼굴… 더보기

수도에서 흙탕물이 나와요!

댓글 0 | 조회 427 | 1일전
비가 많이 오는 계절이 돌아왔습니다.… 더보기

생각만 해도 기쁜 날

댓글 0 | 조회 188 | 1일전
갈보리십자가교회 김성국파카 만년필로 … 더보기

남은 인생 10년

댓글 0 | 조회 293 | 1일전
마츠리(Matsuri; まつり)가 ‘… 더보기

6월의 북쪽 하늘을 바라보며 . . .

댓글 0 | 조회 190 | 1일전
계절은 한치의 어김이 없어 또 다시 … 더보기

반복적인 행동을 하거나 불안감이 느껴지나요?

댓글 0 | 조회 234 | 1일전
과거에 비해 무척 복잡하고 빠르게 변… 더보기

균형을 향해 가는 시간 화엄사의 공양

댓글 0 | 조회 100 | 1일전
구례 화엄사의 적멸보궁에 이르면 네 … 더보기

지피지기 백전백승, 파트너쉽 영주권

댓글 0 | 조회 629 | 2일전
뉴질랜드 영주권자 또는 시민권자의 파… 더보기

10. 소장 내에 곰팡이와 세균이 득실거린다고…

댓글 0 | 조회 538 | 2일전
정상적으로 건강한 사람들은 소장에는 … 더보기

비즈니스파트너와 피고용인의 경계

댓글 0 | 조회 322 | 2일전
사업을 하고 있는 사람이 비즈니스파트… 더보기

가난한 사랑의 노래

댓글 0 | 조회 151 | 2일전
시인 신 경림가난하다고 해서 외로움을… 더보기

커피만 마시며 사는 아주머니 이야기

댓글 0 | 조회 510 | 2일전
인간은 마음이 몸을 지배합니다. 어느… 더보기

코로나19, 암과 치매 유발 가능성

댓글 0 | 조회 996 | 6일전
미국 워싱턴포스트(WP)가 암(癌)을… 더보기

9. 장내 유익균들을 소멸시키거나 약화시키는 의외의 것들

댓글 0 | 조회 1,092 | 9일전
장내 미생물들이 사람의 정신건강이나 … 더보기

의사결정 취약자를 위한 법률 재심의

댓글 0 | 조회 251 | 9일전
어떤 사람이 치매나 뇌졸중 또는 학습… 더보기

뉴질랜드에서 행복 찾기

댓글 0 | 조회 976 | 2024.06.12
우리는 보다 행복한 삶을 향해서 한 … 더보기

호흡으로 명이 길어질 수 있어

댓글 0 | 조회 481 | 2024.06.12
호흡의 길이와 명(命)의 길이는 관계… 더보기

이 한 그릇의 마음으로 쉬어가기를

댓글 0 | 조회 370 | 2024.06.12
세종 전통문화체험관에서 듣는동화 스님… 더보기

2024 예산의 새로운 세율 기준

댓글 0 | 조회 1,361 | 2024.06.12
뉴질랜드 정부는 2024 예산을 발표… 더보기

리커넥트 “Care to Self-care?”

댓글 0 | 조회 427 | 2024.06.12
지난 한 달 동안, 리커넥트는 Hen… 더보기

비 오는 날 이성계 능 앞에서

댓글 0 | 조회 336 | 2024.06.12
갈보리십자가교회 김성국비 오는 날동구… 더보기

8. 설탕과 술이 지닌 위대한 마력들

댓글 0 | 조회 426 | 2024.06.11
원래 사람은 씨 맺는 모든 채소(허브… 더보기

‘큰 북한’으로 변해가는 러시아

댓글 0 | 조회 407 | 2024.06.11
▲ 일러스트레이션 김대중페이스북은 북… 더보기

낙타와 낙타풀

댓글 0 | 조회 121 | 2024.06.11
시인: 송 재학세상의 모든 낙타들은 … 더보기

AEWV 소지자가 알아야 할 6가지 구구절절

댓글 0 | 조회 758 | 2024.06.11
뉴질랜드에서 합법적인 취업을 할 수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