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신-지극히 개인적인 암호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문신-지극히 개인적인 암호

0 개 1,506 한얼
뉴질랜드는 한국에 비교하면 문신을 새긴 사람들이 유독 많다. 더 분방하고 개성을 중요시하는 문화 때문일까. 특히 여름날에 길거리를 걷다 보면 문신이 있는 사람보다 없는 사람을 찾는 게 더 어렵다.

자해하는 게 아니라면야 자신의 몸에 자신이 하고 싶은 걸 하는 것은 개인의 권리라고 생각한다. 문신도 헤어스타일이나 매니큐어와 마찬가지로 미용이나 자기 표현의 일환에 불과하므로. 그것을 침범하거나 비난할 이유는 다른 사람 어느 누구에게도 없는 것이다. 그건 인간으로서의 월권이라고 할 수도 있으리라.

문신한 사람을 보는 게 불쾌하다면, 글쎄. 문제는 그 사람에게 있는 게 아니라, 불쾌하다고 여기는 당사자에게 있는 게 아닐까.

거의 십 년 가까이 외종 사촌 언니를 만났을 때, 언니의 몸 곳곳에 문신이 새겨져 있는 것을 보고 좀 놀랐던 것 같다. 물론 눈에 띄는 위치에는 없었다. 발의 복사뼈나 귀 뒤, 그리고 어깨와 골반 정도였달까. 그 신중하리만치 작은 문신들에 나는 감탄을 금치 못했다. 혹시 아플까 싶어 - 물론 그럴 리는 없지만 - 손끝으로 꾹꾹 눌러보고 뭐라고 쓰여진 건지, 무엇을 의미하는 건지 물어보았다.

“이건 뭐라고 쓰여진 거야?”
“라틴어야. 유명한 명언이래.”
“그럼 이건 왜 새겼어?”
“그냥.”

몸에 그림을 그려 넣는 데엔 딱히 이유가 없어도 된다. 당연한 사실이지만 그래도 약간의 신선한 충격이었다. 그리고 이내 수긍했다. 아무렴, 이건 내 몸인데.

내가 본 중에 가장 흔한 문신은 색채가 들어간 ‘전통적인’ 문신이었다. 대개 꽃이 들어가 있고, 알 수 없는 추상적인 무늬가 테두리 없는 바탕을 메운다. 더러는 - 남자들의 경우 - 해골이 들어가 있기도 하다. 보통은 팔--이두근에서 팔꿈치 안쪽까지 살을 메우고 있고, 손목까지 내려오는 경우도 심심찮다. 마치 소매처럼. 어쩌다가 보게 되면 나도 모르게 빤히 응시하게 된다.

나도 문신을 새기고 싶다고 종종 생각하곤 한다. 보통 문신은 지극히 개인적인 뜻과 중요성을 가진 것들이 많으니 나도 예외는 아닐 것이다. 아직 정확히 어떤 모양을, 또는 문구를 새기고 싶은진 모르겠지만 죽을 때까지 가지고 있을 생의 메멘토 하나 정도는 있어도 되지 않을까. 내게 소중한 것, 또는 특별한 상징. 비록 살면서 그런 걸 정해놓지는 않았어도.

내가 본 중 가장 아름다운 문신은 어떤 젊은 여성의 몸에 새겨진 것이었다. 더운 여름이었고, 대부분의 사람들은 소매가 없거나 짧은 옷을 입고 있었다.

횡단보도를 건너기 위해 기다리던 중 내가 본 그 라틴계 여성의 문신은 바로 날개였다. 흔하다면 흔한 문신 유형이지만, 그녀의 ‘날개’ 한 쌍은 늘씬한 어깨와 날갯죽지 전체에 걸쳐 그려져 있었다. 딱히 색이 있는 건 아니지만 굉장히 섬세하게 검정색 잉크로 그려진 날개는 진짜 새의 날개처럼 목 바로 아래, 등의 한가운데서부터 시작해 어깨와 이두근까지 깃털을 펼치고 있었다. 소매나 줄 없는 하얀 홀터넥 상의를 입고 있어서 더더욱 눈에 띄었던 것 같다. 내가 본 것들 중 그 어떤 것보다도 노골적이고 파격적인 자유에의 갈망이라 나는 눈을 뗄 수 없었다.

안타깝게도 내 부모님은 내 몸에 펜촉을 갖다 대는 것조차 결사반대를 하시니, 대신 나는 내가 쓰는 소설의 주인공 등에게 문신을 주어 대리만족을 하곤 한다. 그들이 지나온 길과 하지 않는 이야기의 역사를.

문신은 그런 뜻에서 새기는 것이니까. 사람들이 문신을 꺼려 하지 않는 세상이 왔으면 좋겠다.

뉴질랜드 의대 진학 A to Z

댓글 0 | 조회 748 | 3일전
이번 칼럼부터는 뉴질랜드 의대 특집으… 더보기

TMI TMI

댓글 0 | 조회 405 | 4일전
요 며칠간 정원일을 좀 하다보니 얼굴… 더보기

수도에서 흙탕물이 나와요!

댓글 0 | 조회 472 | 4일전
비가 많이 오는 계절이 돌아왔습니다.… 더보기

생각만 해도 기쁜 날

댓글 0 | 조회 214 | 4일전
갈보리십자가교회 김성국파카 만년필로 … 더보기

남은 인생 10년

댓글 0 | 조회 352 | 4일전
마츠리(Matsuri; まつり)가 ‘… 더보기

6월의 북쪽 하늘을 바라보며 . . .

댓글 0 | 조회 219 | 4일전
계절은 한치의 어김이 없어 또 다시 … 더보기

반복적인 행동을 하거나 불안감이 느껴지나요?

댓글 0 | 조회 252 | 4일전
과거에 비해 무척 복잡하고 빠르게 변… 더보기

균형을 향해 가는 시간 화엄사의 공양

댓글 0 | 조회 119 | 4일전
구례 화엄사의 적멸보궁에 이르면 네 … 더보기

지피지기 백전백승, 파트너쉽 영주권

댓글 0 | 조회 667 | 5일전
뉴질랜드 영주권자 또는 시민권자의 파… 더보기

10. 소장 내에 곰팡이와 세균이 득실거린다고…

댓글 0 | 조회 558 | 5일전
정상적으로 건강한 사람들은 소장에는 … 더보기

비즈니스파트너와 피고용인의 경계

댓글 0 | 조회 343 | 5일전
사업을 하고 있는 사람이 비즈니스파트… 더보기

가난한 사랑의 노래

댓글 0 | 조회 169 | 5일전
시인 신 경림가난하다고 해서 외로움을… 더보기

커피만 마시며 사는 아주머니 이야기

댓글 0 | 조회 530 | 5일전
인간은 마음이 몸을 지배합니다. 어느… 더보기

코로나19, 암과 치매 유발 가능성

댓글 0 | 조회 1,015 | 9일전
미국 워싱턴포스트(WP)가 암(癌)을… 더보기

9. 장내 유익균들을 소멸시키거나 약화시키는 의외의 것들

댓글 0 | 조회 1,109 | 2024.06.18
장내 미생물들이 사람의 정신건강이나 … 더보기

의사결정 취약자를 위한 법률 재심의

댓글 0 | 조회 262 | 2024.06.18
어떤 사람이 치매나 뇌졸중 또는 학습… 더보기

뉴질랜드에서 행복 찾기

댓글 0 | 조회 987 | 2024.06.12
우리는 보다 행복한 삶을 향해서 한 … 더보기

호흡으로 명이 길어질 수 있어

댓글 0 | 조회 493 | 2024.06.12
호흡의 길이와 명(命)의 길이는 관계… 더보기

이 한 그릇의 마음으로 쉬어가기를

댓글 0 | 조회 376 | 2024.06.12
세종 전통문화체험관에서 듣는동화 스님… 더보기

2024 예산의 새로운 세율 기준

댓글 0 | 조회 1,382 | 2024.06.12
뉴질랜드 정부는 2024 예산을 발표… 더보기

리커넥트 “Care to Self-care?”

댓글 0 | 조회 435 | 2024.06.12
지난 한 달 동안, 리커넥트는 Hen… 더보기

비 오는 날 이성계 능 앞에서

댓글 0 | 조회 343 | 2024.06.12
갈보리십자가교회 김성국비 오는 날동구… 더보기

8. 설탕과 술이 지닌 위대한 마력들

댓글 0 | 조회 433 | 2024.06.11
원래 사람은 씨 맺는 모든 채소(허브… 더보기

‘큰 북한’으로 변해가는 러시아

댓글 0 | 조회 415 | 2024.06.11
▲ 일러스트레이션 김대중페이스북은 북… 더보기

낙타와 낙타풀

댓글 0 | 조회 132 | 2024.06.11
시인: 송 재학세상의 모든 낙타들은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