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방 변신 프로젝트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주방 변신 프로젝트

0 개 2,112 최순희

 

e110628c0dabb1225dd086dfb198bd63_1453938755_699.jpg

 

우리 집 주방은 오래된 원목 수납장에 20년이 넘어 보이는 바니쉬가 칠해져 있었다. 그래서 이번 방학 홈스쿨링 프로젝트로 수납장과 싱크대 장을 깔끔한 화이트로 페인트칠하기로 했다. 이 일에 온 가족이 참여했다. 심지어 다섯 살 가을이부터 네 살 겨울이 그리고 두 살배기 새봄이까지 동참했다. 남편이 일의 내용과 순서를 정하고, 작업 과정을 지도 감독했다. 먼저 봄이는 슈퍼마켓에서 구해온 바나나 박스에 수납장 안의 물건들을 꺼내서 주방 한쪽에 쌓아두었다. 문을 분리하는 일은 스크류 드라이버를 좋아하는 여름이가 도맡았다. 분리된 문과 서랍들은 데크로 운반하여 사포로 샌딩을 했다. 마스크와 장갑을 끼고 쓱싹 쓱싹 경쟁하듯이 열심히 샌딩을 했다. 시원한 바람이 불어 덥지 않게 해 줄 뿐만 아니라, 사포 질 하면서 나온 먼지도 멀리 날아가도록 도와주었다. 사포 질을 하고 나서 가정용 페인트 스프레이로 젯소(undercoat)를 뿌렸다. 데크에서 스프레이 된 페인트는 금방 말라서 좋았다. 한 쪽이 마르면 뒤로 돌려서 뒤쪽에 뿌렸다. 양쪽이 다 마르면 틈이 있는 곳을 필러로 메워 주고 가볍게 다시 샌딩을 한 후 젯소를 한번 더 꼼꼼하게 뿌려주었다. 그 위에 페인트 (top coat)를 한 번 뿌리고 말린 후 그 위에 다시 한번 뿌렸다.

 

주방에는 수납장과 싱크대 장의 프레임이 남았다. 먼저 프레임 주위로 페인트가 묻으면 안 되는 곳들에 마스킹 테이프를 붙였다. 싱크대 위쪽은 마스킹 필름으로 덮고 바닥에는 드롭 천을 깔아서 페인트가 떨어져 묻지 않도록 준비했다. 좋은 결과물을 위해 준비과정이 중요하다는 교훈을 상기하면서 프레임을 사포로 샌딩했다. 페인트칠은 넓은 면은 큰 롤러로, 좁은 면은 미니 롤러로 칠하고 가장자리와 롤러가 들어가지 않는 곳은 붓을 사용했다. 젯소를 두 번, 페인트도 두 번 칠했으니 총 네 번을 페인트칠한 것이다. 롤러는 생각보다 어렵지 않았고, 붓은 의외로 신경 쓸 것이 많았다. 한쪽 방향으로 붓 자국이 나게 신중히 붓질을 해야 했다. 칠한 후에 흘러내리는 곳이나 빠진 부분이 있는지 점검해서 수정하는 과정이 꼭 필요하다는 것도 삶의 교훈이었다. 칠하는 작업은 재미있었다. 손이 닿지 않는 높은 곳을 사다리에 올라가서 칠하는 것은 조금 어려웠다. 마르는 과정은 선풍기를 틀어 단축시켰다. 페인트가 모두 끝난 다음에는 페인트 용품 정리를 했다. 마지막으로, 수납장 안쪽 청소를 하고 물건들을 넣은 다음, 문을 끼워 넣었다. 

 

페인트가 마르는 시간에 간식도 먹고, 밥도 먹으면서, 꼬박 3일이 걸렸다. 다행히 수성페인트를 사용해서 냄새는 적었다. 페인트 용품들은 한 가운데 모두 모아두고 사용하고, 저녁에는 밖에 내놓아서 생활의 불편을 줄일 수 있었다. 가족이 함께 해서 즐겁게 일할 수 있었고, 페인트를 칠하고 말리기를 여러 차례 하는 과정에서 인내심도 배웠다. 페인트를 엎지르는 웃지 못할 일도 두 번이나 있었다. 그렇지만, 우리 손으로 직접 이루어낸 결과물은 당연히 대만족이다. 사춘기인 봄이와 여름이에게는 일의 요령과 팀워크 등을 배우는 좋은 기회가 되었고 일하는 사람들이 오는 번거로움과 비용도 아끼는 일석이조의 프로젝트였다. 꼬맹이들 가을이와 겨울이, 새봄이는 플레이 하우스에 페인트를 칠하게 했더니, 그림도 그리고 마음대로 붓질도 하면서 신이 났다. 페인트가 팔 다리뿐만 아니라 얼굴과 머리카락에까지 묻어서 가족 모두가 페인트로 하나가 된 모습이 좋았다. 이번 우리 집 주방 변신 프로젝트는 우리 가족에게 좋은 추억으로 오랫동안 남을 것 같다.

 

뉴질랜드 의대 진학 A to Z

댓글 0 | 조회 748 | 3일전
이번 칼럼부터는 뉴질랜드 의대 특집으… 더보기

TMI TMI

댓글 0 | 조회 405 | 4일전
요 며칠간 정원일을 좀 하다보니 얼굴… 더보기

수도에서 흙탕물이 나와요!

댓글 0 | 조회 472 | 4일전
비가 많이 오는 계절이 돌아왔습니다.… 더보기

생각만 해도 기쁜 날

댓글 0 | 조회 214 | 4일전
갈보리십자가교회 김성국파카 만년필로 … 더보기

남은 인생 10년

댓글 0 | 조회 351 | 4일전
마츠리(Matsuri; まつり)가 ‘… 더보기

6월의 북쪽 하늘을 바라보며 . . .

댓글 0 | 조회 219 | 4일전
계절은 한치의 어김이 없어 또 다시 … 더보기

반복적인 행동을 하거나 불안감이 느껴지나요?

댓글 0 | 조회 252 | 4일전
과거에 비해 무척 복잡하고 빠르게 변… 더보기

균형을 향해 가는 시간 화엄사의 공양

댓글 0 | 조회 119 | 4일전
구례 화엄사의 적멸보궁에 이르면 네 … 더보기

지피지기 백전백승, 파트너쉽 영주권

댓글 0 | 조회 667 | 5일전
뉴질랜드 영주권자 또는 시민권자의 파… 더보기

10. 소장 내에 곰팡이와 세균이 득실거린다고…

댓글 0 | 조회 558 | 5일전
정상적으로 건강한 사람들은 소장에는 … 더보기

비즈니스파트너와 피고용인의 경계

댓글 0 | 조회 343 | 5일전
사업을 하고 있는 사람이 비즈니스파트… 더보기

가난한 사랑의 노래

댓글 0 | 조회 169 | 5일전
시인 신 경림가난하다고 해서 외로움을… 더보기

커피만 마시며 사는 아주머니 이야기

댓글 0 | 조회 530 | 5일전
인간은 마음이 몸을 지배합니다. 어느… 더보기

코로나19, 암과 치매 유발 가능성

댓글 0 | 조회 1,014 | 9일전
미국 워싱턴포스트(WP)가 암(癌)을… 더보기

9. 장내 유익균들을 소멸시키거나 약화시키는 의외의 것들

댓글 0 | 조회 1,109 | 2024.06.18
장내 미생물들이 사람의 정신건강이나 … 더보기

의사결정 취약자를 위한 법률 재심의

댓글 0 | 조회 262 | 2024.06.18
어떤 사람이 치매나 뇌졸중 또는 학습… 더보기

뉴질랜드에서 행복 찾기

댓글 0 | 조회 987 | 2024.06.12
우리는 보다 행복한 삶을 향해서 한 … 더보기

호흡으로 명이 길어질 수 있어

댓글 0 | 조회 493 | 2024.06.12
호흡의 길이와 명(命)의 길이는 관계… 더보기

이 한 그릇의 마음으로 쉬어가기를

댓글 0 | 조회 376 | 2024.06.12
세종 전통문화체험관에서 듣는동화 스님… 더보기

2024 예산의 새로운 세율 기준

댓글 0 | 조회 1,382 | 2024.06.12
뉴질랜드 정부는 2024 예산을 발표… 더보기

리커넥트 “Care to Self-care?”

댓글 0 | 조회 435 | 2024.06.12
지난 한 달 동안, 리커넥트는 Hen… 더보기

비 오는 날 이성계 능 앞에서

댓글 0 | 조회 343 | 2024.06.12
갈보리십자가교회 김성국비 오는 날동구… 더보기

8. 설탕과 술이 지닌 위대한 마력들

댓글 0 | 조회 433 | 2024.06.11
원래 사람은 씨 맺는 모든 채소(허브… 더보기

‘큰 북한’으로 변해가는 러시아

댓글 0 | 조회 415 | 2024.06.11
▲ 일러스트레이션 김대중페이스북은 북… 더보기

낙타와 낙타풀

댓글 0 | 조회 132 | 2024.06.11
시인: 송 재학세상의 모든 낙타들은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