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53] 새는 날아야 새다.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성태용
명사칼럼
조기조
김성국
템플스테이
최성길
Danielle Park
김도형
Timothy Cho
강승민
크리스틴 강
들 풀
정동희
마이클 킴
에이다
보문
멜리사 리
Jessica Phuang
휴람
박기태
채수연
독자기고
EduExperts
이주연
Richard Matson
수필기행

[353] 새는 날아야 새다.

0 개 3,377 KoreaTimes
  Wildlife is something which man cannot construct. (야생 생물은 인간이 만들어 낼 수 없는것이다.) Once it is gone, it is gone forever. (한 번 사라지고 나면, 그것은 영원히 사라지는 것이다.) Man can rebuild a pyramid, but he can't rebuild ecology or a giraffe. (인간은 피라미드를 다시 건설할 수는 있지만, 생태 환경이나 기린을 다시 만들 수는 없다.)

  There are many species of animals that may  disappear from the earth within the next few years. (다가 올 몇 년 이내에 지구에서 사라 질지도 모르는 많은 품종의 동물들이 있다.) These endangered   species will die out and become extinct unless man can help. (이 멸종 위기에 처한 품종들은 인간이 도울 수 없다면 사라지고 멸종될 것이다.)

  Not long ago the United States issued a series of postage stamps calling attention to threatened   species, like the California condor and the polar bear. (얼마 전에 미국은 캘리포니아 독수리와, 북극곰 같은 멸종 위협을 받는 품종들에 대한 관심을 불러 일으키는 일련의 우표들을 발행했다.)  But for some species it is already too late. (그러나 어떤 품종들에게 있어서는 이미 너무 늦었다.) The American passenger pigeon was once a very common bird. (미국산 여행자 비둘기는 한 때는 아주 흔한 새였다.) Yet the passenger pigeon is gone forever. (그러나 여행자 비둘기는 영원히 사라졌다.) The last one died in a zoo in 1914. (마지막 여행자 비둘기는 1914년 한 동물원에서 죽었다.)

  The kiwi is also an endangered species. (키위 새 또한 멸종위기에 처한 품종이다.)   It's disappearing at a rate of 5.8% per year, threatened by imported predators such as dogs and stoats and by   loss of habitat. (키위 새는 개나 담비와 같은 외래 육식 동물들과 서식지의 감소로 인해 연간 5.8%의 비율로 사라지고 있다.)

  당연히 뉴질랜드를 상징한다고 할 수 있는 멸종위기에 처한 키위 새는 보호 받아야만 하고, 이러한 키위 새가 뉴질랜드 인들의 자랑거리라는 것은 당연한 이치다.
  그런데 과연 키위 새가 새라고 할 수 있을까?  하늘을 날지 못하는 새, 날지 않는 새 (flightless birds)가 새라고 불리 울 수 있을까? 생태학적으로나, 품종적으로 분류해 볼 때 키위 새는 분명 새에 속한다.

그러나 초월적 존재를 꿈꾸었던 갈매기 조나단이나 용맹한 캘리포니아 산 독수리 정도는 아닐지라도 적어도 참새처럼 이라도 새는 날아야 새가 아닐까?

  뉴질랜드에 살고 있는 유럽계 백인들은 자신들을 키위라고 자랑스럽게 부르기를 좋아한다. 심지어 뉴질 랜드에 살고 있는 중국계 사람들도 자신들을 키위 차이니즈라고 부르면서 이른바 뉴질랜드의 주류사회,  키위 사회의 일원으로 속하기를 원하고 있다. 그런데 왜 하필 날지 않는 새, 키위인가?  뉴질랜드의 어두운 삼림 속에서 고립된 채로, 날지도 못하고 겨우겨우 목숨을 이어 가는 키위 새보다는, 차라리 키위 과일에서 따온 키위라고 자신들의 별명을 부르는 게 낫지 않을까 생 각해 본다.
  키위 과일은 중국의 양쯔강 유역이 원산지인 과일 이지만 오늘날은 뉴질랜드의 대표적 특산 과일이 되었다.  1960년대 전까지만 해도 키위 과일은 "Chinese gooseberry" 라고 불리웠다. 그런데 중국에서부터 유입되어 온 이 과일을 정성껏 가꾸고 개량하고 뉴질 랜드화 해서 세계 시장에 자랑스럽게 역수출하며 내놓을 때 뉴질랜드의 농부들은, 이 과일을 뉴질랜드의 특산 품으로 인식시키기 위해서 ‘키위’라고 부르기 시작 했다고 한다. 머나 먼 동양의 한 나라에서 들어온 이색적인 과일도 진심으로 감싸고 사랑하고 정성을 다하여 가꾸었기 때문에 오늘날 세계인들의 사랑을 받는 뉴질랜드를 대표할 수 있는 과일이 될 수 있었다.

  21세기 세계화 시대의 오늘날  뉴질랜드 주류사회의 이른바 ‘키위’들은 이 땅에 들어와 사는 모든 이민자들을 포함해 세계인들을 향해 과연 어떤 마음을 갖고 있는가? 키위 과일을 받아들였던 열린 마음인가, 아니면 나만이 독특한 가치가 있다고 여기며 좀 더 넓고 멀리 보기 위해 날 생각도 안 하는 키위 새의 마음인가?  새는 날아야 새다.  날지 않는 새는 그 자리에 주저 앉아 고립되고, 자기 노래 소리에만 도취되어 자기 세계 속에만 갇혀 살아가다가, 서서히 위기를 맞이하게 될지도 모른다.

청소년 도박 문제와 온라인 게임의 연관성: 팬데믹과 게임 플랫폼의 영향

댓글 0 | 조회 170 | 6일전
최근 시드니 대학교 연구진은 로블록스… 더보기

2. 마우이와 태양을 길들인 이야기

댓글 0 | 조회 99 | 6일전
태초의 뉴질랜드, 이곳은 마오리 전설… 더보기

전생에 시아버지를 안 모신 업

댓글 0 | 조회 217 | 6일전
제 먼 친척 중에 굉장히 선(善)을 … 더보기

성공적으로 AE워크비자를 옮기려면?

댓글 0 | 조회 296 | 7일전
뉴질랜드에서 합법적인 체류를 위해서는… 더보기

IT가 세상을 바꾼다

댓글 0 | 조회 264 | 7일전
40여 년 전 미국을 처음 방문한 이… 더보기

누수 피해 보험 청구 어떻게 진행되나요?

댓글 0 | 조회 335 | 7일전
안녕하세요, Nexus Plumbin… 더보기

과거도 미래도 아닌 지금 이 순간 존재하는 행복

댓글 0 | 조회 116 | 7일전
템플스테이 50회 참가자 - 신동천·… 더보기

계약법 (contract law) 주요 분쟁

댓글 0 | 조회 227 | 8일전
뉴질랜드 법을 비롯한 “보통법” (c… 더보기

초개인화 시대, 우리의 아이들은 어디로 가는가

댓글 0 | 조회 188 | 8일전
우리는 지금 초개인화(Hyper-Pe… 더보기

벙커에서 배우는 인생의 탈출법

댓글 0 | 조회 153 | 8일전
골프를 하다 보면 한 번쯤 벙커에 빠… 더보기

뉴질랜드의대 정원확대! 합격 전략은?

댓글 0 | 조회 451 | 8일전
올해도 오클랜드 대학교 또는 오타고 … 더보기

전기차(EV)와 내연기관차의 유지보수 차이, 하이브리드 차량 관리법

댓글 0 | 조회 392 | 8일전
최근 자동차 시장에서 전기차(EV)와… 더보기

지지익선(知知益善)

댓글 0 | 조회 91 | 8일전
분신처럼 함께하는 스마트폰 없이 살아… 더보기

고칼륨혈증과 만성콩팥병

댓글 0 | 조회 177 | 2025.04.04
필자는 다양한 채소와 과일을 좋아하며… 더보기

드라이버 한 방의 유혹 - 인생도 한 번에 해결될까?

댓글 0 | 조회 178 | 2025.04.04
골프장에서 가장 짜릿한 순간은 티샷을… 더보기

강제적인 시간외 근무

댓글 0 | 조회 963 | 2025.03.26
일반적으로 고용계약서에는 정해진 근무… 더보기

1. 타네 마후타(Tane Mahuta) – 거대한 생명의 나무

댓글 0 | 조회 391 | 2025.03.26
뉴질랜드의 북섬 깊은 곳, 와이포우아… 더보기

아, 놀라워라,“은퇴 부모 영주권”

댓글 0 | 조회 2,442 | 2025.03.26
고국의 은퇴하신 부모님이 늘 마음에 … 더보기

맑은 차 한잔에 담긴 선의 경지를 엿보다

댓글 0 | 조회 152 | 2025.03.26
<해남 대흥사 일지암>최상… 더보기

아픈 분들을 생각하며

댓글 0 | 조회 298 | 2025.03.26
새벽에 잠이 깨어 일어나 앉았습니다.… 더보기

법인 파산 (Liquidation) 및 개인파산 (Bankruptcy)

댓글 0 | 조회 575 | 2025.03.25
지난 칼럼에서는 법인 상대로 최후통보… 더보기

밥 한 번 먹자

댓글 0 | 조회 328 | 2025.03.25
문밖을 나서기 불편했던 추위가 사그라… 더보기

찬란한 배신

댓글 0 | 조회 378 | 2025.03.25
<미수(米壽, 88세) 기념작&… 더보기

대학 입시를 잘 준비하는 법

댓글 0 | 조회 294 | 2025.03.25
필자는 오는 4월 5일 한국대학 및 … 더보기

여수

댓글 0 | 조회 191 | 2025.03.25
시인 김 명인여수, 이 말이 떨려올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