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이 우는 소리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성태용
명사칼럼
조기조
김성국
템플스테이
최성길
Danielle Park
김도형
Timothy Cho
강승민
크리스틴 강
들 풀
정동희
마이클 킴
에이다
보문
멜리사 리
Jessica Phuang
휴람
박기태
채수연
독자기고
EduExperts
이주연
Richard Matson
수필기행

9월이 우는 소리

0 개 1,009 조기조

미루다가, 미루다가 일을 저질렀다. 용기를 낸 것이다. 마침, 눈 여겨둔 그 집 앞을 지나는데 문이 열린다. 한 아동이 가방을 들고 나섰고 선생님인 듯한 아주머니가 “잘 가!” 하며 또 보잔다. 돌아서는 그녀를 따라 들어갔다. 뜻밖에 들어온 손님을 손주들 레슨을 물어보려는 할배로 생각했던 모양이다. 어찌하여 그 선생님의 가장 나이 많은 문하생이 되었다.


사실, 간소하게 살자고 짐을 다 버려서 집이 썰렁하다. 그런데 피아노 한 대는 있다. 버릴 수가 없어서 두고 있는데 우두커니 입 닫고 있는 그를 보고 미안했던 적이 한두 번이 아니었다. 가끔은 뚜껑을 열고 앉아 보지만 오른 손가락으로 애국가만 치다 말았다. 재미없다.


중국이 개방을 할 때에 많은 사업가가 중국으로 떠났다. 너른 시장과 값싼 인건비를 보고 간 것이다. 많은 악기회사들이 중국으로 갔다가 빈손으로 돌아오기까지는 그리 오래 걸리지 않았지만 떠나지 않고 고전했던 한 회사는 버텨내었다. 사실 IMF의 위기에 부도가 난 회사는 은행도 골칫덩어리였던 모양이다. 입에 풀칠도 쉽지 않은데 누가 악기를 사겠는가 말이다. 망한 회사는 상한 생선이나 같다. 아무도 거들떠보지 않기 때문이다. 


대학을 나와 겨우 취직해서 장가들고 아이들의 재롱이 한창인데 실직한 청년가장은 배고픔에 결단을 내린다. 재취업을 못해 놀고 있는 기술자들에게 성공하고 보자며 함께 일하자고 설득했고 그들과 함께 은행에서 회사를 인수받는다. 밀린 이자는 탕감 받고 1년 후부터 갚아 나가겠다고. 그로부터 10년이 흘렀다. 재롱둥이 아이들을 생각해서 위해하지 않은 재료로 질 높은 국산 악기를 고집했다. 값싼 중국산에 고전했지만 많아야 둘인 자녀들에게 부모들은 싸구려를 사 주지 않아 재기할 수 있었고 마침내 한, 큰 악기사의 디지털 피아노를 OEM으로 만들게 되었던 것이다. 그는 처음 만든 피아노 10대를 팔지 않고 기증을 하기로 했단다. 수녀님들이 운영하는 유아원을 포함해서 고마웠던 분들에게 전했다는데 어찌해서 내게 그 중의 한 대가 왔는지는 모르겠지만 정말로 갖고 싶었던 것 중의 하나였다. 마침내 청소년일 때의 꿈이 이루어졌다.


6290afc2715596f44c543eef9de22b2e_1636501134_8147.png
 

읍내에서 20리 떨어진 산골에서 자랐던 나는 어쩌다가 짐차의 숨 가쁜 엔진 소리가 산을 울리면 달려 나가서 환영하곤 했었다. 짐차는 가끔 비료를 싣고 오거나 가을이면 농협이 수매한 나락을 실어 날랐다. 전기도 들어오지 않는 산골이어서 겨울이면 땔감을 들고 가 찬 바람 새는 교실에 난로를 피웠다. 음악시간이면 여럿이서 쪼르르 옆 교실에 달려가서 풍금을 들고 왔다. 페달로 풀무질하는 소리보다는 날라리가 크게 울렸지만 목쉰 어미 소의 울음만큼이나 힘들어하는 풍금을 그래도 즐겼다. 읍내의 중학교에는 음악실이 따로 있었다. 멀찍이서 보았지만 말로만 듣던 피아노가 거기 있었다. 그 피아노로 처음 배운 노래를 기억한다. “아득하다 저 산 너~머 흰 구름 머무는 고옷~ 그리운 내 고향으~로 언제나 돌아가아리~.....” 피아노는 잘 못 붙인 이름이었다. 포르테라야 맞다. 여린 것이 아니라 강했고 장엄했던 것이다. 목이 쉰 풍금과는 급이 달랐다. “저걸 내가 가지고, 배워야 하는데......” 사실 이 생각은 곧 거둬들였다. 언감생심이었다. 참으로 가난했던 시절이었기에. 그래도 그 생각의 싹을 자르진 못 했다. 그랬더니 길고긴 기다림 끝에 길이 열렸다.


내가 컴퓨터로 자판을 두드린 지가 40년쯤 된다. 아직도 안 보고 치지를 못한다. 서두르면 오타가 나서 더 오래 걸리니 잘 못 배운 것이다. 운지법을 제대로 배우지 않았던 것이 원인이다. 1986년에 자동차 한 대 값을 주고 286 컴퓨터와 24핀 도트 프린터를 샀다. 아래한글이 처음 나왔을 때 그걸 사서 시작했다. SPSS라는 통계프로그램을 깔아 밤새도록 계산을 시켰다. 컴퓨터가 느려서 한번 시키면 몇 시간씩 계산을 했던 것이다. 사실 피아노 건반은 컴퓨터의 자판보다는 몇 배나 더 어렵다. 높은음자리표는 겨우 익혔는데 그놈의 낮은음자리표는 헷갈린다. 오선을 벗어난 음표는 버벅거리며 센다. 낮은음자리표 대신에 높은음자리표보다 두 옥타브 낮은 것으로 치면 좋을 텐데 말이다.


‘미파’ 와 ‘시도’ 사이가 반음이어서 단조로움을 피하는 것은 좋지만 조 바꿈에는 어지럽다. 왼손과 오른손이 따로 움직여야 하니 악보와 건반과 손가락을 동시에 다 보는 것은 벅차다. 쉬운 곡은 악보를 외어버리면 되기는 하겠지만 말이다. 학원을 다닌 지 몇 달이 지났다. 한 마디를 익히느라 100번은 더 연습을 했을 거다. 9월에 들며 ‘9월의 노래’를 연습한다. 느리고도 더디지만 이제 안 보고 칠 수 있다. 물론 반주는 단순한 6박자지만 지루하지 않다. Am, Dm, E7, G, F의 5개뿐인 코드는 참 잘 어울린다. 그래서 화음(和音)이라 했나보다. 이들 화음은 왜 하나씩 건너야 잘 어울릴까? 이웃하는 두 건반은 대부분 잘 안 어울린다. 가까이에 있으니 잘 어울려야 할 것이 아니던가? 흘깃, 곁에 있는 아내를 쳐다보다 말았다. 피아노 건반처럼 가까이 있어서 잘 못 어울리는 건가? 화음을 양보한다고 될 일이던가 마는.....



‘9월이 오는 소리’에 가사가 또 그렇다. “가로수의 나뭇잎은 무~성해~~도~ 우리들의 마~으멘 나겨~업 이~지~고.....” 라는 대목이 있다. 사실 9월에 낙엽은커녕 단풍도 이르다. 그럼에도 내 마음이 들킨 것 같으니.... 자꾸 따라 부르니“9월이 우는 소리”로 들린다. 풀벌레 소리가 애잔해서 그렇고 밥 한 번 먹자, 술 한 잔 하자 하던 소리가 그립고도 아쉬워서 그렇다. 죽지 못해 사는 사람들이 얼마나 이 시련이 빨리 지나가기를 기다리고 있는가? 모질고 독한 바이러스, 누굴 원망하겠는가. 今年看又過(금년간우과); 올해가 또 지나감을 보는데 何日是歸年(하일시귀년); 어느 날에나 돌아갈거나? 천년도 더 전의 시성 두보가 지금의 내 마음 같다. 향수병에 걸린 그의 시에서 한 글자만 고쳤다. 올봄을 올해로. 그러다가 또 울고 말겠다. 오늘도 “어디선가 부르는 듯, 당시인 새앵 가악뿌운~.....”

청소년 도박 문제와 온라인 게임의 연관성: 팬데믹과 게임 플랫폼의 영향

댓글 0 | 조회 168 | 6일전
최근 시드니 대학교 연구진은 로블록스… 더보기

2. 마우이와 태양을 길들인 이야기

댓글 0 | 조회 99 | 6일전
태초의 뉴질랜드, 이곳은 마오리 전설… 더보기

전생에 시아버지를 안 모신 업

댓글 0 | 조회 216 | 6일전
제 먼 친척 중에 굉장히 선(善)을 … 더보기

성공적으로 AE워크비자를 옮기려면?

댓글 0 | 조회 296 | 7일전
뉴질랜드에서 합법적인 체류를 위해서는… 더보기

IT가 세상을 바꾼다

댓글 0 | 조회 264 | 7일전
40여 년 전 미국을 처음 방문한 이… 더보기

누수 피해 보험 청구 어떻게 진행되나요?

댓글 0 | 조회 335 | 7일전
안녕하세요, Nexus Plumbin… 더보기

과거도 미래도 아닌 지금 이 순간 존재하는 행복

댓글 0 | 조회 116 | 7일전
템플스테이 50회 참가자 - 신동천·… 더보기

계약법 (contract law) 주요 분쟁

댓글 0 | 조회 227 | 7일전
뉴질랜드 법을 비롯한 “보통법” (c… 더보기

초개인화 시대, 우리의 아이들은 어디로 가는가

댓글 0 | 조회 188 | 7일전
우리는 지금 초개인화(Hyper-Pe… 더보기

벙커에서 배우는 인생의 탈출법

댓글 0 | 조회 153 | 7일전
골프를 하다 보면 한 번쯤 벙커에 빠… 더보기

뉴질랜드의대 정원확대! 합격 전략은?

댓글 0 | 조회 451 | 7일전
올해도 오클랜드 대학교 또는 오타고 … 더보기

전기차(EV)와 내연기관차의 유지보수 차이, 하이브리드 차량 관리법

댓글 0 | 조회 392 | 7일전
최근 자동차 시장에서 전기차(EV)와… 더보기

지지익선(知知益善)

댓글 0 | 조회 91 | 7일전
분신처럼 함께하는 스마트폰 없이 살아… 더보기

고칼륨혈증과 만성콩팥병

댓글 0 | 조회 177 | 2025.04.04
필자는 다양한 채소와 과일을 좋아하며… 더보기

드라이버 한 방의 유혹 - 인생도 한 번에 해결될까?

댓글 0 | 조회 178 | 2025.04.04
골프장에서 가장 짜릿한 순간은 티샷을… 더보기

강제적인 시간외 근무

댓글 0 | 조회 961 | 2025.03.26
일반적으로 고용계약서에는 정해진 근무… 더보기

1. 타네 마후타(Tane Mahuta) – 거대한 생명의 나무

댓글 0 | 조회 390 | 2025.03.26
뉴질랜드의 북섬 깊은 곳, 와이포우아… 더보기

아, 놀라워라,“은퇴 부모 영주권”

댓글 0 | 조회 2,441 | 2025.03.26
고국의 은퇴하신 부모님이 늘 마음에 … 더보기

맑은 차 한잔에 담긴 선의 경지를 엿보다

댓글 0 | 조회 152 | 2025.03.26
<해남 대흥사 일지암>최상… 더보기

아픈 분들을 생각하며

댓글 0 | 조회 298 | 2025.03.26
새벽에 잠이 깨어 일어나 앉았습니다.… 더보기

법인 파산 (Liquidation) 및 개인파산 (Bankruptcy)

댓글 0 | 조회 574 | 2025.03.25
지난 칼럼에서는 법인 상대로 최후통보… 더보기

밥 한 번 먹자

댓글 0 | 조회 328 | 2025.03.25
문밖을 나서기 불편했던 추위가 사그라… 더보기

찬란한 배신

댓글 0 | 조회 376 | 2025.03.25
<미수(米壽, 88세) 기념작&… 더보기

대학 입시를 잘 준비하는 법

댓글 0 | 조회 294 | 2025.03.25
필자는 오는 4월 5일 한국대학 및 … 더보기

여수

댓글 0 | 조회 190 | 2025.03.25
시인 김 명인여수, 이 말이 떨려올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