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에 집중할 수 있는 환경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공부에 집중할 수 있는 환경

0 개 2,606 NZ코리아포스트
* 자녀의 인격을 무시하는 잔소리를 하지 말자.

자녀가 공부하는 습관이나 행동에서 구체적인 사실만을 놓고 판단해야 합니다. 하나의 일에 케케묵은 일까지 끼워 넣어 도매금으로 평가하거나 부정적인 시각으로 확대 해석하지 말아야 합니다.

“공부는 안 하고 순 딴 짓에 빠져서.” “저 녀석 대체 뭐가 되려고 저러는지.” “항상 자제력이 부족하다니까. 그 시간에 공부를 좀 하면 좀 좋아.”

이런 말들 속에는 아이의 여러 가지 특성 중의 하나를 미워하는 것이 아니라, 엄마의 마음에 안 들게 행동하는 아이 자체를 미워하는 것이 들어 있습니다. 이런 표현을 자주 듣는 아이는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스스로를 정말 한심한 존재로 생각하게 됩니다.

* 집을 편안한 공부 터로 만들자

딱딱한 분위기에서 선생님의 강의를 듣느라 긴장했던 상황에서 벗어나, 편안하지만 일관된 질서가 있는 공간에서 자녀가 복습하는 공간으로 집을 변화시킵시다.

자녀에게 조용히 공부하라고 방문을 닫고 밖으로 나오면 대부분의 아이들은 괜히 주변에 널려 있는 것들을 집적대거나, 갑작스레 손톱을 깎는 등 공부 이외의 것에 관심을 갖습니다. 혼자서 집중해서 공부하기 힘들어하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공부를 굳이 아이의 방에서만 하는 것이 아니라 거실과 부엌 등 집안 어디에서나 할 수 있게 분위기를 만드는 것이 필요합니다.

분위기를 조성한 후에도 학습 분위기가 제대로 조성된 것인지를 항상 점검해보면서 자녀의 마음을 깊이 이해하려는 자세를 취해야 합니다. 이럴 때 자녀는 순간순간 흔들리는 자신의 모습을 스스로 바로잡고 편안하게 공부할 수 있게 됩니다.

* 일관성 있는 원칙을 세우자

수많은 연구결과가 말해주듯이 아이들은 부모의 태도에서 가장 큰 영향을 받습니다. 자녀교육에 성공한 가정과 실패한 가정을 비교해 보면 이러한 사실을 금방 확인할 수 있습니다.

특히 성공한 가정에서는 부모가 몇 가지 원칙을 세우고 이를 일관성 있게 지킨 경우가 실패한 가정에 비해 압도적으로 많습니다. 어릴 때부터 원칙을 세운 일을 어기지 않으려고 애쓰는 부모에게서 보고 배워 자신도 원칙을 일관성 있게 지키고 그에 따라 공부도 해나가기 때문인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부모가 자신은 원칙대로 행동하지 않은 채 아이에게만 일관된 규칙을 강요하면 아이들은 곧바로 반박합니다. 자신은 매일 늦고, 휴일이면 늦잠을 자면서 자녀에게 ‘일찍 자고 일찍 일어나라’고 다그칠 수 없습니다. 매일 휴대폰으로 길게 수다를 떨면서 아이들에게 문자 메시지 보내느라 정신 없다고 나무랄 수도 없습니다.

모름지기 부모가 자기 기분대로 원칙을 바꾸거나 양보하지 않을 때 아이들도 원칙의 중요성과 소중함을 배웁니다. 부모의 일관된 삶을 보고 자란 아이들은 비록 흔쾌하게 정하지 않은 규칙일지라도 부모의 모습을 통해 함부로 룰을 깨서는 안 된다는 원칙을 배우는 것입니다.

* 실천하는 모습을 보여주자

오늘부터 ‘아이들에게’가 아니라 엄마인 ‘나 자신에게’ 지켜야 할 일관된 룰을 정해봅시다. 백 번의 잔소리보다 더 좋은 약은 모범을 보이는 것입니다. 그것을 가족들에게도 공표하고 그 원칙을 얼마나 잘 지켜나가는지 체크해봅시다. 예를 들어 아래와 같이 각자에게 필요한 항목을 만들 수 있습니다.

⊙ 하루에 30분 이상 꼭 운동을 한다.
⊙ 아무리 바빠도 식구들에게 인스턴트 음식을 먹이지 않는다.
⊙ 아침에 일어나면 좋은 음악을 식구들에게 들려준다.
⊙ 아이들과 같이 있을 때 전화로 수다 떨지 않는다.

이 항목들을 잘 지켜나가는 것은 물론 쉽지 않지만 아이들은 엄마가 스스로 정한 규칙을 지켜나가는 모습을 보고 배우게 됩니다. 최소한 아이들의 입에서 “엄마도 안 하면서, 만날 우리한테만 이래라, 저래라 그러세요.”라는 말은 나오지 않습니다. 뿐만 아니라 잘만 실천하면 자녀가 스스로 목표를 세우고 이를 실천하는 긍정적인 공부 분위기를 만들 수 있습니다.

ⓒ 뉴질랜드 코리아포스트(http://www.koreapost.co.nz),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아동 학대(Ⅰ)

댓글 0 | 조회 2,321 | 2015.07.14
지난 금요일 크라이스트처치 병원에서 15 개월 된 아이의 사망 원인은 뼈가 여러 군데 골절된 매우 폭력적인 공격을 받은 원인으로 밝혀 졌고, 그의 어머니와 계부가… 더보기

[334] 시간관리가 제대로 안되는 아이

댓글 0 | 조회 2,325 | 2006.06.13
■사례 공부하라고 하면'쪼금만 쉬었다 할게' 하고서는 1시간 이고, 2시간도 넘게 빈둥거리며 어영부영 보내는 초등5 아이 때문에 속 터집니다. 정말 잔소리도 하루… 더보기

부모 언어습관, 아이 성공 좌우한다

댓글 0 | 조회 2,333 | 2011.05.10
사람에게서 가장 강한 근육은 세치 혀라는 얘기가 있습니다. 세치 혀로 뱉어내는 말 한마디가 한 사람의 운명을 뒤바꾼 예가 얼마나 많은가. 말 한마디로 천 냥 빚을… 더보기

때릴까? VS 참을까?

댓글 0 | 조회 2,346 | 2014.04.08
아이를 키우면서 이런 저런 속상한 일로 손이 올라간 경험이 한두 번쯤 있게 마련입니다. 잘못된 체벌은 아이에게 큰 상처를 줄 수 있다고 하지만, 대화만으로 문제를… 더보기

[361] 화를 잘 내고, 공격적, 폭력적인 아이 어떻게 해야 되나요.

댓글 0 | 조회 2,352 | 2007.07.24
* 원 인 * 이 세상에서 단 한 번도 화를 낸 적이 없는 사람은 존재하지 않는다. 그만큼 ‘화’ 나 ‘분노’의 감정은 우리의 일상에서 아주 가깝고, 일반적인 감… 더보기

부모와 자녀의 마음을 이어주는 사랑의 대화법

댓글 0 | 조회 2,368 | 2015.03.24
매일 바쁜 나날을 보내는 하루하루, 가족이 다 함께 둘러앉아 대화를 나눈 지도 오래 입니다. 특히 맞벌이가 많아, 바깥 일에 지친 아버지와 어머니는 귀가하자마자 … 더보기

미래에 촉망받는 인재

댓글 0 | 조회 2,370 | 2009.05.27
‘세계적 미래학자 3인이 말하는 앞으로 5~10년후 쯤 미래에는 어떤 인재가 촉망받을까?미래학자 다니엘 핑크는 ‘하이컨셉트(High-concept)를 중시하고 개… 더보기

성공인을 키운 부모의 20가지 습관(Ⅰ)

댓글 0 | 조회 2,378 | 2010.08.11
1. 깔끔한 외모에 신경을 쓴다. 헐렁한 트레이닝 바지에 헝클어진 머리를 한 엄마, 집 안 어디서나 담배를 마구 피우는 아빠를 보며 아이들은 배울 것이 없다. 자… 더보기

마마보이 (2)

댓글 0 | 조회 2,397 | 2010.03.10
마마보이는 그 부모가 자녀를 과잉보호해서 키우는 것이다. 과잉보호하는 것은 사실상 폭력을 휘두르는 것과 다르지 않다. 과잉보호란 화초나 나무를 분재하는 것과 같이… 더보기

화를 잠재우는 생활수칙

댓글 0 | 조회 2,398 | 2008.10.15
아이에게 화를 내고 난 다음, 많은 부모들은 후회한다. 아이가 입었을 ‘마음의 상처’와 깊어진 ‘감정의 골’을 걱정하고, 화내지 않고 아이를 변화시킬 수 없는지 … 더보기

10대를 최고로 사랑하는 7가지 방법(Ⅱ)

댓글 0 | 조회 2,403 | 2011.01.26
5. 있는 그대로의 모습을 사랑하라당신은 조건 없이 자녀를 사랑할 수 있는가? 아이들에게 화를 낼 수는 있어도 아이에게 마음을 닫아서는 안 된다. 아이가 실망시킬… 더보기

폭력적인 아이를 변화 시키는 솔루션

댓글 0 | 조회 2,417 | 2015.02.10
툭하면 엄마를 때리거나 물건을 던지는 아이가 의외로 많습니다. 어린애가 하는 행동이라고 웃으며 넘어가다 보면 습관으로 굳어져 미래가 걱정스러워집니다. 하지만 공격… 더보기

또래관계에 어려움을 겪는 아이들

댓글 0 | 조회 2,418 | 2014.05.27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를 얼마나 잘 맺느냐에 대한 능력이 인간의 행복감에 큰 영향을 주듯이 사람은 상호작용을 할 수 있는 누군가를 필요로 합니다. 아동의 또래관계란… 더보기

아이들이 듣기 싫어하는 소리 81가지(Ⅰ)

댓글 0 | 조회 2,430 | 2011.02.08
안 해야 되는 말 인줄 알면서도 화가 나면 내뱉게 되는 말이 있습니다... 혹시 나는 이런 말들을 하지 않았을까? 한번 읽어보면서 자녀에 대한 마음을 잘 다스려 … 더보기

[373] 청소년기의 올바른 이성교제

댓글 0 | 조회 2,436 | 2008.01.31
사춘기는 아이로부터 어른으로 옮기는 과도기로서 청소년들이 이성과 성에 눈뜨는 시기이다. 성에 대한 호기심이 생기고 시각적, 촉각적으로 직접 그것을 체험하고 싶은 … 더보기

아이 성향별 집중력 향상시키기(Ⅱ)

댓글 0 | 조회 2,447 | 2014.10.14
“집중력은 마음의 근육이다. 근육을 발달시키듯이 집중력도 발달시킬 수 있다”라고 미국의 심리학자 “다니엘 골먼”은 말합니다. 집중력은 반복되는 학습에도 몰두할 수… 더보기

거짓말하는 습관

댓글 0 | 조회 2,454 | 2014.04.23
■ 거짓말하는 습관 우리가 어렸을 때부터 정직해야 한다는 가르침을 받고 살아왔지만, 살면서 보통 몇 번 정도는 사소한 거짓말을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때로는 상대… 더보기

자녀의 책임감 키우기

댓글 0 | 조회 2,486 | 2015.04.14
사실 책임감이란 아이들이 갖고 태어나는 것도, 때가 돼서 저절로 획득 되는 것도 아닙니다. 아주 작은 일부터 수행 과정과 반복이 꾸준히 이어질 때 책임감은 서서히… 더보기

학습집중력 높이려면 미래직업 구체적으로 꿈꾸게 해야..

댓글 0 | 조회 2,498 | 2010.02.10
"그런데 엄마, 공부는 왜 해야 하는 거야?" "삼촌은 아빠보다 좋은 대학 안 나왔지만, 아빠보다 돈도 더 많이 벌고 잘 살잖아. 꼭 좋은 대학을 나와야 하는 건… 더보기

집중력 테스트(Ⅰ)

댓글 0 | 조회 2,569 | 2014.09.23
사람마다 차이는 있지만 만2세는 평균 7분, 4세는 10분, 5~6세의 아동은 12분간 집중할 수 있다고 합니다. 초등학생 때는 무엇을 하느냐에 따라 집중 시간이… 더보기

[287] “이민 온지 몇 년째인데…”

댓글 0 | 조회 2,595 | 2005.09.28
집에선 자신 있게 말도 잘 하고, 활발하던 아이가 밖(학교, 혹은 Kiwi와 이야기해야하는 상황)에만 나가면 남들 앞에서 꿀 먹은 벙어리처럼 말을 머뭇거리거나, … 더보기

책 읽지만 사고력이 나아지지 않는다면

댓글 0 | 조회 2,596 | 2010.11.10
책을 많이 읽는 것이 아이의 사고력을 높이는 가장 좋은 방법이라는 것은 누구나 다 잘 알고 있는 사실입니다. 문제는 대부분의 부모들이 책을 ‘많이’ 읽는 것에만 … 더보기

말대꾸하는 아이

댓글 0 | 조회 2,602 | 2009.06.24
아이가 부모의 말에 고박꼬박 대답하는 건 자아의식이 싹트거나 뚜렷해지면서 나타나는 현상으로 정당하게 자기 의견을 제시하고 억울한 느낌을 표현하는 경우입니다. 아이… 더보기

반항하는 사춘기 자녀

댓글 0 | 조회 2,605 | 2010.01.27
자녀가 사춘기가 돼 자기주장이 강해지면 부모와 싸우는 일이 많아지게 됩니다. 또한 야단을 친다고 해도 말을 듣지 않을뿐더러 간혹 대들기까지 하지요. 아이를 상대하… 더보기

현재 공부에 집중할 수 있는 환경

댓글 0 | 조회 2,607 | 2010.11.24
* 자녀의 인격을 무시하는 잔소리를 하지 말자.자녀가 공부하는 습관이나 행동에서 구체적인 사실만을 놓고 판단해야 합니다. 하나의 일에 케케묵은 일까지 끼워 넣어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