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500만 치매 환자에게 희소식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5500만 치매 환자에게 희소식

0 개 1,854 박명윤

노인들이 가장 두려워하는 질환은 치매(Dementia)이다. 물론 우리나라 사망원인 1위인 암(癌, Cancer)도 무섭지만, 말기 암 환자는 사랑하는 가족들을 만나고 유언도 남기고 이 세상을 하직(下直)을 하지만, 치매 환자는 자신이 누구인지도 모르는 상태에서 저 세상으로 떠난다. 물론 사랑하는 가족들도 인지하지 못한다.


나이가 들수록 걸릴 확률이 높아지는 치매는 전 세계적으로 환자가 약 5500만명에 달한다. 보건복지부와 중앙치매센터의 ‘대한민국 치매현황 2021’ 자료에 의하면, 2020년 기준 우리나라 65세 이상 노인 인구 중 치매로 추정되는 환자 수는 약 84만명(유병률 10.3%)이다.


문제는 치매가 치료하기 가장 어려운 질환 중 하나라는 점이다. 인류의 첫 치매 치료제는 미국의 제약사 바이오젠(Biogen)과 일본의 에자이(Eisai)가 공동 개발한 알츠하이머병 치료제인 아두헬름(Aduhelm)이다. 2021년 11월 미국 식품의약청(FDA) 승인을 받아 치매 정복을 위한 첫 출발을 알렸다. 그러나 안전성 논란으로 현재 사실상 시장에서 퇴출된 상태이다. 또한 약가(藥價)가 5만6000달러로 책정되면서 고가약 논란에 시달렸다.


그러던 중, 바이오젠과 에자이가 내놓은 ‘두 번째’ 알츠하이머 치료제 ‘레켐비(Leqembi)’가 2023년 1월 가속등인(accelerated approval)을 받은 지 약 6개월 만에 FDA의 정식 승인을 지난 7월 6일(현지 시각) 받았다. 레켐비는 알츠하이머 환자의 뇌에 서서히 축적되는 비정상 단백질인 베타-아밀로이드(beta-amyloid)를 제거해 기억력과 인지 기능 악화 속도를 저하시킨다.


한편 미국 제약사 일라이 릴리(Eli Lilly)가 개발 중인 항체 의약품 ‘도나네맙(Donanemab)’은 초기 증상 단계의 60-85세 알츠하이머병 환자 1736명을 대상으로 18개월(76주)간 임상시험을 했다. 임상 3상 시험에서 위약(僞藥, 시험 결과 비교를 위한 가짜 약) 대비 인지력 저하가 약 35% 늦어졌다. 이는 치매 치료제 ‘레켐비’와 비슷한 결과다. 릴리도 FDA에 ‘도나네맙’ 승인을 신청한 상태로, 연내 정식 승인을 기대하고 있다.


임상시험(臨床試驗, Clinical Trial)이란 새로운 약을 시중에서 공식적으로 사용하기 전에 안전성과 약효(藥效)를 검증하기 위해 실험단계에서 사람에게 적용하는 절차로 보통 3단계로 진행된다. 1상(Phase I)시험에서는 소수의 건강한 사람을 대상으로 안전성과 내약성이 검토되고, 2상에서는 소수의 환자를 대상으로 용법, 용량과 안전성, 내약성을 탐색한다. 끝으로 3상에서는 다수의 환자를 대상으로 안전성과 유효성이 검토된다.


치매를 조기 발견하기 위해서는 기억력이 저하되었을 때 검사를 받아야 한다. 중앙치매센터의 <치매 자가진단 체크리스트>는 다음과 같다. 14개 항목에서 6개 항목 이상에 ‘예’라고 표시될 경우 주관적 기억감퇴가 심한 것으로 의미하므로, 치매를 의심하고 조기진단을 받아 보는 것이 바람직하다.



(1)당신은 기억력에 문제가 있습니까? 

(2)당신의 기억력은 10년 전에 비해 저하되었습니까? 

(3)당신은 기억력이 동년의 다른 사람들에 비해 나쁘다고 생각합니까? 

(4)당신은 기억력 저하로 일상생활에 불편을 느끼십니까? 

(5)당신은 최근에 일어난 일을 기억하는 것이 어렵습니까? 

(6)당신은 며칠 전에 나눈 대화 내용을 기억하는 것이 어렵습니까?

(7)당신은 며칠 전에 한 약속을 기억하기 어렵습니까?

(8)당신은 친한 사람의 이름을 기억하기 어렵습니까? 

(9)당신은 물건 둔 곳을 기억하기 어렵습니까? 

(10)당신은 이전에 비해 물건을 자주 잃어버립니까? 

(11)당신은 집 근처에서 길을 잃은 적이 있습니까? 

(12)당신은 가게에서 사려고 하는 두세 가지 물건의 이름을 기억하기 어렵습니까? 

(13)당신은 가스이나 전깃불 끄는 것을 기억하기 어렵습니까? 

(14)당신은 자주 사용하는 전화번호(자신 혹은 자녀의 집)을 기억하기 어렵습니까? 


치매는 다양한 원인에 의해 뇌 기능이 손상되어 후천적으로 기억력, 언어력, 판단력 등 여러 영역의 인지기능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것을 말한다. 원인 질환으로는 알츠하이머병(Alzheimer’s disease)이 전체 치매의 75.5%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이외에도 혈관성 치매, 파킨슨 증상을 동반한 치매, 알콜성 치매, 두부외상으로 인한 치매 등이 있다.


치매를 일으키는 가장 흔한 퇴행성 뇌질환인 알츠하이머병은 1907년 독일의 정신과 의사인 알로이스 알츠하이머(Alois Alzheimer) 박사에 의해 최초로 보고되었다. 알츠하이머병은 매우 서서히 발병하여 점진적으로 진행되는 경과가 특징적이다. 초기에는 주로 최근 일에 대한 기억력에서 문제를 보이다가 진행하면서 언어기능, 판단력 등 다른 인지기능의 이상을 동반하게 되다가 결국에는 모든 일상생활 기능을 상실하게 된다.


치매 검사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그 중 가장 흔하게 사용되는 방법은 객관적 자기보고식 심리검사를 하는 것이다. 치매 원인을 찾기 위한 혈액검사, 뇌영상 검사(MRI) 등을 시행한다. ‘알츠온(AlzOn)’은 혈액검사를 통해 알츠하이머병의 위험도를 확인하는 새로운 검사 방법이다. 알츠하이머병의 원인 물질인 베타-아밀로이드의 올리고머화(oligomerization, 응집화) 정도를 측정해 해당 질환의 위험도를 평가하는 검사이다.


국제알츠하이머협회 자료에 의하면, 전 세계 알츠하이머 환자 수는 2020년 기준 5500만명이며, 2030년에는 7800만명 그리고 2050년에는 1억3900만명을 전망하고 있다. 보건복지부와 중앙치매센터 자료에 따르면, 국내 추정 알츠하이머 환자 수는 2021년 88만6천명이며, 2030년 127만2천명 그리고 2050년에는 271만명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한다. 평균수명 증가로 알츠하이머병 환자는 증가하고 있다.


미국 바이오젠(Biogen)과 일본 에자이(Eisai)는 2년 전 아두카누맙(Aducanumab) 성분을 이용해 아밀로이드 베타를 감소시키는 데 성공했다. 하지만 독성(毒性)이 심하고 당시 임상 실험 2건 중 한쪽에서만 유의미한 결과가 나와 조건부 승인을 받았다. 이 결정에 FDA 자문위원 가운데 3명이 사퇴했다. 미국과 일본 두 회사는 레카네맙(Lecanemab) 성분으로 추가 실험을 성공시켜 이번에 정식 승인을 받았다.


알츠하이머 치매의 진행 속도를 늦추는 치료제 ‘레켐비(Leqembi)’가 미국 식품의약국(FDA) 정식 승인을 지난 7월 6일(현지 시각) 받았다. 미국 바이오젠과 일본 에자이가 공동 개발한 레켐비는 알츠하이머 환자의 뇌에 서서히 축적되는 비정상 단백질인 베타-아밀로이드(beta-amyloid) 플라크 생성을 방해하여 기억력과 인지 기능 악화 속도를 저하시킨다.


현재까지의 알츠하이머 치료제들은 인지 기능을 일시적으로 개선시킬 뿐 치매의 진행 속도 자체를 늦추지는 못했다. 레켐비는 초기 알츠하이머 환자를 대상으로 한 치료제로 정맥주사(靜脈注射)로 투여한다. 레켐비는 1795명을 대상으로 한 임상 3상(Phase III Trial)에서 5개월가량의 병세 둔화 효과가 확인됐다. 다만 임상 과정에서 뇌부종(腦浮腫), 뇌출혈(腦出血) 등의 부작용이 보고됐고, 심각한 뇌출혈로 사망한 환자도 2명 있었다.


레켐비가 치매 치료제이기는 하나 뇌부종, 뇌출혈 등 심각한 부작용이 있다. 이에 FDA는 ‘레켐비’를 승인하면서, 약 봉투 가장 잘 보이는 곳에 크게 검은색으로 박스를 치고 경고문을 실으라는 ‘블랙박스(black box) 경고’를 덧붙였다. 치매 치료제 개발이 어려운 것은 약물이 혈관과 뇌 사이의 얇은 막인 ‘혈뇌 장벽(blood-brain barrier)’을 통과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약물이 이 벽을 통과하는 순간 농도가 100분의 1-1000분의 1 수준으로 떨어진다.


FDA 자문위원들은 치료제가 없는 상황에서 위험에 비해 환자가 얻을 수 있는 혜택이 크다며 ‘레켐비’를 만장일치로 승인을 권고했다. 일본 에자이는 한국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레켐비’ 시판허가 승인 신청서를 제출했다. 이르면 내년 하반기 승인이 이뤄질 전망이다. 한편 치료제 가격이 미국 기준 연간 2만6500달러(약 3400만원)이므로 걸림돌이 된다.



대한치매학회(Korean Dementia Association)가 지난해 전국 17개 시도 만 18세 이상 남녀 1006명을 조사한 결과, 알츠하이머병 경도인지장애 상태에서 약물 개발 시 월 60만원까지 지불할 수 있다고 답한 비율이 41.2%. 120만원 15%, 300만원 5.3%, 가격이 상관없다는 답변도 7%에 달했다.


전문가들은 레켐비의 부작용도 적지는 않으나, 영상학적인 소견으로 이중 실제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는 22-23% 정도이다. 또한 증상도 약을 중단하면 거의 없어지므로 조절 가능한 부작용이라고 생각한다. 다만 뇌출혈 위험이 높은 항응고제를 사용하는 환자에게 처방해서는 안된다. 아무에게나 쓸 수 있는 약이 아니므로 필요한 검사 후에 조심해서 사용해야 한다.


‘레켐비’는 나빠진 인지기능을 되돌리는 것이 아닌 악화(惡化)를 막아주는 질병 조절 치료제(disease-modifying agent)다. 한번 저하된 인지 기능을 복원할 수는 없다. 그러나 그동안 개발된 치료제는 증상 완화 효과에 그친데 반해, 레켐비는 치매 발생의 근본 원인을 억제한다는 점에서 진일보한 치료제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레켐비 허가는 고혈압, 당뇨병 등 만성질환과 같이 치매를 조절할 수 있게 하는 첫 단계라고 할 수 있다.


치매는 한 번 진행되면 인지기능이 돌아올 수 없는 병이므로 전 단계에서 진행을 막는 게 중요하다. 미국 컬럼비아대학 신경전문의 로런스 호니그 교수는 레켐비는 알츠하이머 치료의 신기원이 시작되는 첫걸음이라며 더 효과가 높은 치료제의 등장을 기대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많은 사람들이 고통을 받고 있는 알츠하이머 치매 치료의 길이 열린다는 소식에 세계가 반색하고 있다.


치매는 미리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권장되는 것은 두뇌 회전을 많이 시킬 수 있는 놀이나 독서이다. 건전한 수준의 게임, 바둑, 카드놀이와 같은 종합적인 인지 능력을 요구하는 놀이가 도움이 된다. 신문, 책을 읽거나 글을 쓰는 것이 효과적인 예방법이다. 건강한 식습관을 가지고 생선과 채소를 즐겨 먹여야 한다. 꾸준한 걷기 운동은 인지 기능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된다. 충분한 수면을 취하는 것이 좋다. 지나친 음주와 흡연을 삼가야 한다.


치매 환자를 돌보는 보호자들은 심한 스트레스를 받기 때문에 환자와 다툼도 잘 생기고, 극단적인 경우는 환자를 학대하거나 살인하기도 할 정도고 힘들어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치매 환자를 올바르게 대하는 방법을 잘 숙지해 돌보아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은 전문의들이 말하는 보호자들이 올바르게 치매 환자를 대하는 방법이다.



▲ 절대로 치매 환자를 적으로 대하면 안 된다. 

▲ 잘못했다고 야단치면 안 된다. 

▲ 하루 두 번 환자의 상태를 살펴본다. 

▲ 술은 환자가 보이지 않는 곳에 숨겨라. 

▲ 약을 꼬박꼬박 잘 먹게 해주라. 

▲ 산책이나 가벼운 운동, 퍼즐놀이 등과 같은 건전한 취미 생활 가지게 해준다. 

▲ 환자의 자존심을 지켜준다. 

▲ 생활의 변화를 주지 않도록 하며, 생활과 환경을 단순화시킨다. 

▲ 보호자들도 어려움에 처하면 주변 사람들에게 도움을 요청할 수 있다.


신약 ‘레켐비(성분명 레카네맙)’와 ‘도나네맙’은 알츠하이머병 진행을 늦추는 최초의 치료제다. 전문가들은 도나네맙이 레카네맙보다 더 알츠하이머 초기 단계 환자에 효과적일 것으로 봤다. 투자은행 JP모건체이스는 치매약 치료제 시장에서 도나네맙이 60%, 레카네맙이 40%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했다. 전문가들은 효능이 개선되고 복용이 편리한 치료제가 개발되기를 기대하고 있다. 비싼 약값과 복용 방법도 극복해야 할 과제다.


현재 값비싼 항체 치료제보다 저렴한 합성 신약이나, 병원에서 오랫동안 주사를 맞는 대신 환자에게 편리한 경구용(먹는) 치료제가 개발돼야 한다. 미국 네바다대학(University of Nevada)에 따르면, 올해 전 세계적으로 개발되고 있는 알츠하이머 치료제 후보 물질은 141개로 187건이 임상 중이다.


국내 일동제약과 현대약품도 치매 치료제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일동제약은 알츠하이머 신약후보물질 ‘ID1201’을 개발하고 있으며, 2019년 알츠하이머 환자 1449명을 대상으로 효과를 확인하는 임상 3상을 승인받았다. 최근 임상 3상이 종료된 것으로 알려졌다. 현대약품은 기존 알츠하이머 환자에게 처방되는 도네페질과 메만틴 성분을 합친 복합제 ‘BPDO-1603’를 개발 중이며, 현재 임상 3상 단계가 진행 중이다.


‘100세 시대’에 사는 인간에게 치매는 죽음보다 두려운 공포다. 치매는 미래를 잃어버리기에 무서운 질병이다. 치매 전문가들은 공통적으로 치매 환자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지금 여기에서’라는 마음가짐이라고 강조한다. 내가 할 수 있는 일을 오늘 시작하는 것은 미래로 한 발 내디딘 것이다. 이에 ‘지금’이라는 시간을 소중히 여기며 살아가야 한다.


3996400f1cf74f3d63f6295bb22aee24_1691152853_4795.jpg
 

배가 차가운 거 같아요!

댓글 0 | 조회 923 | 2023.10.11
예전에는 나이 든 어른이나 ‘무릎이 시리다’, ‘등에서 찬바람이 난다’, ‘배가 차다’고 했는데, 요즘은 젊은 사람과 심지어 아이들까지도 배가 차다고 호소하는 경… 더보기

템플스테이에 다녀와서 어떻게 살 것인가?

댓글 0 | 조회 870 | 2023.10.11
봉화 축서사 참선 템플스테이깨달은 뒤에 어떻게 살 것인가.템플스테이에 다녀와서 어떻게 살 것인가.축서사에 다녀와서 어떻게 살 것인가.궁금하지 않은가?우선 마음의 … 더보기

사회적 타살의 일상성

댓글 0 | 조회 594 | 2023.10.11
현실 사회주의를 비판하려는 이들이 늘 집중 공격하는 것은 농업 집단화나 숙청 때와 같은 대규모 국가폭력이다. 물론 이 부분에서 스탈린주의를 변호할 수는 없다. 혁… 더보기

시골다방

댓글 0 | 조회 635 | 2023.10.11
갈보리십자가교회 김성국고등학교 시절 친구와 몰래처음 가 본 다방에서가져다 주는 커피에눈도 마주치지 못하고설탕만 많이 넣어 마셨다만나자 소심하게 말하고는다방 구석에… 더보기

뱃살이 고민이신가요?

댓글 0 | 조회 632 | 2023.10.11
왠만하면 잘 빠지지 않는 아랫배 쏙 들어가는 초보자 5분 복근운동. 선선해진 날씨 탓인지 요즘 들어 식욕이 더 좋아져 먹는 양을 조절하기가 힘들다는 분들이 많은데… 더보기

한민족의 미래

댓글 0 | 조회 637 | 2023.10.10
한민족은 한반도와 해외 여러 지역에 살면서 한인(Korean)으로서의 공통적 혈통과 문화를 공유(共有)하거나 공유한다고 생각하는 아시아 계 민족으로 정의하고 있다… 더보기

不惑의 秋夕

댓글 0 | 조회 530 | 2023.10.10
시인 천 상병침묵은 번갯불 같다며,아는 사람은 떠들지 않고떠드는 자는 무식이라고老子께서 말했다.그런 말씀의 뜻도 모르고나는 너무 덤볐고,시끄러웠다.혼자의 추석이오… 더보기

신기술이민의 불변조항 살펴보기

댓글 0 | 조회 1,311 | 2023.10.10
새롭게 단장한 기술이민법이 지난 10월 9일을 기해 시행에 들어갔습니다.180점이라는 높은 점수를 모으고 모아야 한다는 피로감에서 벗어나 단 6점만 따게 되면 언… 더보기

동양인들을 위한 NGO의 행사에 동참해야 하는 이유

댓글 0 | 조회 702 | 2023.10.10
정부에서는 많은 비영리 법인들을 지원하고 있는 데 그 동안 동양인 커뮤니티들을 위한 지원들은 다른 인종그룹들에 비해 저조했었고 미비했었습니다. 그리고 정부에서 지… 더보기

우즈벡 겉핥기

댓글 0 | 조회 558 | 2023.10.10
우즈베키스탄에 오면서 선입견에 휘둘리지 않으려 일부러 알아보지 않고 왔다. 저녁에 공항에 내려 숙소로 오는데 상당히 놀랐다. 운전이 왜 이러지? 시내의 도로는 우… 더보기

재산 관계법(PRA) 과 다수의 파트너의 관계성

댓글 0 | 조회 711 | 2023.10.10
법원의 역할은 국회의 입법을 특정 사례에 적용하는 것으로 해석하는 것이며, 필요한 경우 입법의 공백을 채우는 것이 가능하나 이때 공백 채우기가 국회의 입법 역할을… 더보기

Study tips: 성공적인 학습 일정 만들기

댓글 0 | 조회 515 | 2023.10.10
“너무 바빠서 깜빡했다”라는 이유로 숙제를 제출하는 것을 잊어버린 경우가 자주 있습니까?아니면 공부하려고 앉았을 때, 무엇을 해야 할지 모르겠나요?만약 이런 문제… 더보기

인간의 본래 기능을 다 찾으려면

댓글 0 | 조회 443 | 2023.10.10
외경과 연결이 안 되었다고 해서 당장 죽거나 건강하지 않은 것은 아닙니다. 다만 인간이 원래 가졌던 기능을 다 찾으려면 외경과 연결되어야 한다는 것이지요.다들 이… 더보기

‘박쥐 여인’의 경고

댓글 0 | 조회 1,224 | 2023.10.07
통계청(統計廳, Statistics Korea)이 발표한 ‘2022년 사망 원인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하루 평균 사망자 수는 1022명으로 처음 1,000명을 … 더보기

귀에서 물이나 고름이 나오나요?

댓글 0 | 조회 1,385 | 2023.09.27
중이염은 크게 화농성과 삼출성으로 나눌 수 있으며, 각각은 병의 진행기간으로 보아 다시 급성과 만성으로 구분할 수 있다.여기에서 설명할 화농성 중이염은 쉽게 말해… 더보기

그대, 지극히 적은 소수를 위하여..

댓글 0 | 조회 570 | 2023.09.27
이제 2023년의 3번째 텀이 끝나고 연말 시험이 기다리고 있는 4번째 텀이 하루하루 다가오고 있습니다. 매년 이맘때가 되면 학생들은 크게 두가지의 부류로 나뉘게… 더보기

직원과 계약직의 차이점은 무엇이며, 이것이 왜 중요할까요?

댓글 0 | 조회 1,296 | 2023.09.27
직원과 계약직을 둘다 고용하시는 중이신가요? 그들은 다르게 급여를 받고 세금이 부과됩니다.당사자가 무엇이라고 부르던, 그 설명은 결정적인 것이 아닙니다. 근로자의… 더보기

​제7회 이호철 통일로문학상 수상소감 - 메도무라 슌

댓글 0 | 조회 456 | 2023.09.27
이호철 통일로 문학상을 제게 수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선정위원을 비롯한 문학상 관계자 여러분께 마음 깊이 감사드립니다. 이 상을 받을 수 있었던 것은 제 소설이… 더보기

공부한 내용을 오래 기억하기 위하여 도움이 되는 3가지 학습 전략

댓글 0 | 조회 545 | 2023.09.27
여러분은 수업 시간에 배운 내용을 기억하기 위해 끊임없이 힘겨운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느낀 적이 있나요? 공부를 하고 나서 그 공부한 내용을 오래도록 기억해야 … 더보기

잘록한 허리 만들어주는 3가지 운동

댓글 0 | 조회 627 | 2023.09.27
먹는 걸 좋아하는 한 사람으로서 때론 넘치는 식욕이 조절이 안될 때가 있는데요, 특히 저녁은 조금 일찍 먹거나 적게 먹어야지 다짐하면서도 경우에 따라 늦게 먹거나… 더보기

명쾌하게 이해되는 VISITOR비자

댓글 0 | 조회 1,292 | 2023.09.27
뉴질랜드 국적자가 한국에 입국하고자 하면 사전에 비자를 신청해서 받아야만 할까요? 반대로, 한국 국적자가 뉴질랜드에 입국하고자 한다면 비자가 필요할까요? 일반적으… 더보기

‘청어’ 신선한 열정, 멋지다

댓글 0 | 조회 664 | 2023.09.27
봄이 문 앞에서 서성대며 보챈다. 어서 반갑게 맞이해 달라고 . . .오늘아침 단장님 굿모닝 톡에도 봄소식이 묻어왔다. 고목에 새 순이 돋아나니 우리도 힘내자는 … 더보기

귀가

댓글 0 | 조회 411 | 2023.09.27
시인 도 종환언제부터인가 우리가 만나는 사람들은 지쳐 있었다모두들 인사말처럼 바쁘다고 하였고헤어지기 위한 악수를 더 많이 하며총총히 돌아서 갔다그들은 모두 낯선 … 더보기

움직이는 봄 속에서 피어나는 것들

댓글 0 | 조회 469 | 2023.09.26
초록이 아닌 연두, 빨강이 아닌 분홍. 봄의 빛깔은 절정에 머문 것이 아니라 부단히 움직이는 과정의 빛이다.이 봄을 만끽할 수 있는 곳이 공주이고 특히 그 중심에… 더보기

우주기와의 연결 고리가 끊어지면

댓글 0 | 조회 494 | 2023.09.26
얼마 전 호주로 여행을 다녀왔는데, 남반구의 오존층이 많이 파괴되어 천기 면에서 취약한 상태에 있더군요. 산소가 결핍되어 몸도 많이 나른하고요. 산소량이 부족한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