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방랑자로 떠돌 때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내가 방랑자로 떠돌 때

0 개 1,014 수필기행

■ 장 기오 


젊었을 때 나는 장돌뱅이처럼 세상을 떠돌았다. 한 달에 20일 이상을 보따리를 싸들고 이 도시, 저 항구로 배회했다. 내가 그렇게 떠돌면서 느낀 절경(絶景)이란 마음에 있지 풍경 그 자체가 아니라는 사실이다.


로망의 기억이 생생한 어느 공원, 떠나 버린 애인의 뒷모습이 생각나는 어느 해변의 쓸쓸한 일몰, 어머니의 꽃상여가 나가던 봄꽃의 동산, 그 허무한 낙화, 이렇듯 마음에 있는 곳에 정감이 담긴다.


천하의 절경일지라도 내 추억이, 내 가슴이 담기지 않으면 별 의미가 없다. 또 의미가 있는 곳은 기존의 의미로 인해 가슴에 닿는다. 아폴리네르가 ‘미라보 다리 아래 세느강이 흐르고 우리들의 사랑도 흐른다’고 노래했기에 사람들은 다리 위에서 걸음을 멈추고 감격스러워한다. 난정(蘭亭)도 우군(右軍, 왕휘지)이 없었다면 무성한 숲, 긴 대나무 밭에 지나지 않았으리라.


어느 해 봄, 목포 근방 항구였던가? 지금은 이름도 가물가물한 조그마한 항구에서 배를 기다리고 있었다. 벚꽃은 꽃비로 흩어져 내리고 햇볕은 따뜻해 나는 꿈을 꾸듯 몽롱한 시선으로 바다를 바라보고 있었다. 아! 평화롭고 아름답다. 누구에게 보여주고 싶다. 누구와 나누고 싶다는 생각이 간절했다. 시(詩)라도 쓰고 싶었다. 아니 누구에게 편지라도 쓰고 싶었다.


그때 나는 배가 오기를 기다리며 부둣가에 앉아 따뜻한 햇볕에 행복해했던 기억이 난다. 그런데 거기가 어딘지 딱히 기억이 나질 않는다. 데쟈뷰(deja-vu)다. 가끔 꿈속에서 그런 풍경들이 보인다. 거기가 어딘지는 모르지만 분명 가 보았던 기억이 나던 곳인데 말이다.


나는 드라마 촬영을 하면서 잊지 못할 장소가 몇 군데 있다. 채석강의 석양이 그렇다. 지금은 방파제가 생기고 그 주변으로 포장마차들이 들어서 많이 망가졌지만 그 옛날의 채석강은 등골이 서늘할 정도로 아름다웠다. 채석강에는 바다로 향해 많은 동굴들이 나 있다. 대패로 깍은 듯한 바위를 겹겹이 쌓아 형성된 절벽의 기이함에도 감탄사가 절로 나오지만 동굴에서 지는 해를 보면 가히 절경이라 할만하다.


동굴 깊숙한 곳에서 줌렌즈로 당겨 석양을 찍을라치면 동굴 입구를 꽉 채운 해가 이글거리며 바다 위로 ‘첨벙’ 소리를 내며 떨어지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전율을 느끼기에 충분하다. 그러나 들고 나는 물길로 인해 조금만 물때를 놓쳐도 물길에 갇히고 말기 때문에 익사할 위험도 많다. 지금은 동굴 속으로 사람이 들어갈 수 없도록 철망을 쳐 놓아 그 비경을 감상할 수가 없지만 <산곡의 백합> 이라는 작품을 촬영할 때 나는 그 석양에 반해 시간을 놓쳐 익사할 뻔한 일이 있어 기억이 새로운 장소다.


108dc9f4e181b79d53b90c7fe67b4676_1645475826_3954.png
 

일출이 아름다운 곳은 동해 추암이 단연 으뜸이다. 추암의 일출은 그냥 바다 위로 떠오르는 태양이 아니다. 추암은 바다 가운데 바위군(群)이 있다. 이를 배경으로 떠오르는 태양은 바다 위로 불쑥 솟아오르는 태양과는 다른 장엄미가 있다.


이 봄에는 섬진강가로 갈 일이다. 매화마을에 들러 꽃잎이 흩날리는 나무 아래서 술이라도 한잔 마셔 보라. 세상 근심은 다 사라지고 신선이 될 것이다. 수십만 평에 조성된 매화나무 어디에 앉아도 흥취는 그만 그만일 것이다. 연인과 함께한다면 더욱 좋으리라. 도도히 흐르는 섬진강을 내려다보며 시라도 한 수 읊어 본다면 시인이 따로 있을 소냐. 그대들이 시인일 것이다.


고즈넉한 절로는 주왕산의 주왕암이 으뜸이고 그 위로 자리잡은 학소대도 절경이다. 그러나 나만 알고 남들이 모르는 절경이 하나 있다. 두타산의 두타산성이 바로 그곳이다. 내가 그곳을 방문했을 때는 늦여름 안개비가 부슬부슬 내리고 있을 때였다.


비안개가 산허리를 감돌아 산 전체가 어떤 모습을 하고 있는지 도통 짐작이 가질 않았지만 안개 사이로 언뜻언뜻 보이는 기암 절벽이 사방에 병풍처럼 둘러서 있고 절벽 위로는 겹겹의 바위들이 마치 저승사자처럼 험상궂은 얼굴을 하고 밑을 내려다보고 있었다. 소름이 전신을 훑으면서 머리끝이 곤두섰다.


선경(仙境)이 따로 없다. 이런 곳을 두고 하는 말이리라.


이처럼 우뚝한 산은 많지 않다. 물론 금강산이나 설악산 같은 유명산에 비할 바는 아니지만 좁은 공간에서 이런 절경이 한 프레임에 들어오는 산은 드물다. 그러나 올라가는 코스는 난코스다. 로프를 잡고 한 시간은 올라가야 한다.


어디 그뿐이겠는가? 동진강의 갯벌, 만경강변의 갈대숲, 소쇄원의 바람 소리와 대나무 향기에 잠시 사색에 잠겨 보는 것도 좋을 것이다. 하회마을이나 양동마을에 가서는 부족한 서권기(書卷氣), 문자향(文字香)을 채울 일이다. 그러나 이런 절경들이 아직까지 보존되고 있는지는 알 수가 없다. 조금만 괜찮다 싶으면 닭볶음탕 집이 우후죽순처럼 생겨나고 어떤 여행가가 추천을 하면 금세 사람들이 몰려 술판과 노래판이 벌어지는 등 단숨에 세속화되어 버린다.



어느 날 문득 내가 왜 이렇게 다람쥐 쳇바퀴 돌 듯 무미건조하게 살아야 하는가에 심각한 회의가 생겼을 때나 삶이 고통스럽고 생이 지루하고 하루하루가 권태로울 때도 사람들은 바람처럼 여행을 떠난다. 거기에서 어떤 희망을 찾고 구원을 얻는다.


신혼여행도 그렇다. 새로운 출발을 자축하고 어떤 결의를 다짐하기 위해서다. 그래서 여행은 삶의 구원행위다. 그 장소가 비록 하찮은 장소라 할지라도 거기에서 어떤 구원을 얻었다면 그곳은 그의 인생에서 절경이 될 수밖에 없다. 그러나 마음이 닿지 않으면 절경이 보이지 않는다. 마음 없는 곳의 풍경은 그냥 스쳐 간다. 기억에도 남지 않는다. 절은 절, 경치는 경치, 도토리묵에 술판이나 벌이면 그것으로 끝이다.


마음 있는 곳에 추억이 생기고 뜻이 생길 것이다. 여행은 좋은 곳을 가는 것이 아니라 좋은 곳을 마음에 담는 행위다. 그래야 아름다워진다.


■ 장 기오(전 KBS 대PD, 수필가)  
108dc9f4e181b79d53b90c7fe67b4676_1645475874_2005.png 
 

고구마 꽃이 피었습니다

댓글 0 | 조회 1,128 | 2022.04.27
몇 달 전에 고구마 한 개를 땅에 심었는데, 그 고구마에서 제법 많은 줄기가 자라났다. 도시에서만 살았기에, 텃밭을 가꿀 줄도 모르고, 진득하니 식물을 잘 가꿀 … 더보기

효과적인 공부을 위한 10가지 주요 팁

댓글 0 | 조회 840 | 2022.04.27
지난 호에 이어서, 효과적으로 공부하기 위하여 필요한 10가지의 주요한 팁 중에서 나머지 4개에 대하여 말씀드리고자 합니다.7. 기억력을 향상하기 위하여는 입증된… 더보기

먹어치우지는 마라

댓글 0 | 조회 763 | 2022.04.27
사과 한 상자를 사면 그 중에서 상한 것부터 드시는 분이 계시고, 좋은 것부터 드시는 분이 계십니다. 성격 차이지요.저는 항상 제일 좋고 맛있게 생긴 것부터 먹습… 더보기

실어증(Aphasia)으로 은퇴한 ‘다이 하드’

댓글 0 | 조회 1,476 | 2022.04.23
영화 다이 하드(Die Hard, 1988), 식스 센스(The Sixth Sense, 1999) 등으로 유명한 할리우드 액션 스타 브루스 윌리스(Bruce Wi… 더보기

광기와 어리석음

댓글 0 | 조회 975 | 2022.04.13
엊저녁에 한국에 사는 언니와 오랫동안 전화 통화를 하다 보니, 자정을 넘겨 새벽녘에야 잠이 들었다. 오직 그림을 그리고 수강생들을 가르치면서 살아왔던 나의 큰 자… 더보기

혼자의 넓이

댓글 0 | 조회 826 | 2022.04.13
시인 이문재해가 뜨면나무가 자기 그늘로서쪽 끝에서 동쪽 끝으로종일 반원을 그리듯이혼자도 자기 넓이를 가늠하곤 한다해 질 무렵이면 나무가 제 그늘을낮게 깔려오는 어… 더보기

어려움 가운데 있는 이웃에게 나눔을 - 자가격리 푸드 팩 나눔

댓글 0 | 조회 1,097 | 2022.04.13
코로나 오미크론 확산으로 인해 어려운 2022년도 초반을 보냈지만 많은 분의 도움이 있었기에 리커넥트는 지속해서 사회 속 어려움을 겪는 분들에게 도움을 드릴 수 … 더보기

러시아: 침략과 후진성

댓글 0 | 조회 929 | 2022.04.13
‘침략’의 의도들은 시대마다, 나라마다 조금씩 다릅니다. 가장 단순하고, 분석하기 쉬운 것은 ‘자원 확보’나 ‘전략적 요충지’ 확보형 침략들입니다. 예컨대 미국의… 더보기

하루 10분 가벼워지고 날씬해지는 운동과 명상 루틴

댓글 0 | 조회 742 | 2022.04.13
몸과 마음은 서로 밀접하게 연관되어있다는 사실..경험으로 다들 아시죠? 생각과 고민이 많고 스트레스 받는 날에는 머리도 아프고 몸도 쉽게 지치고, 속도 불편하고…… 더보기

천천히 다지면서 가지 뭐~~

댓글 0 | 조회 797 | 2022.04.13
만약에.. 2012년 어느날.이렇게 해서 공을 만들면 슬라이스도 덜나고 퍼팅도 정확해지고 고객에게 어필할 마케팅 포인트도 있으니 글로벌 브랜드와 팩트로 싸워 볼 … 더보기

내 자녀의 온라인 게임 중독, 어떻게 해야 할까?(2)

댓글 0 | 조회 1,025 | 2022.04.13
부담 없이 게임을 하는 것은 긴장을 풀고 즐거운 시간을 보낼 수 있는 좋은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게임에 너무 집착하여 게임이 자녀의 삶을 장악하고 있는… 더보기

고마운 마음으로 골고루 먹기

댓글 0 | 조회 696 | 2022.04.13
어떤 분이 밥만 보면 눈물이 나온다고 말씀하시더군요. 왜 그러냐고 물었더니 너무 맛있어서 그렇대요. 그리고 밥을 맛있게 먹기 위해 간식은 일체 안 한다고 얘기하더… 더보기

세계물의 날 “물을 잘 쓰는게 가뭄을 이겨내는 방법입니다” - 아프리카 케냐스토리

댓글 0 | 조회 777 | 2022.04.13
매년 3월 22일은 UN이 정한 “세계 물의 날”입니다. 최근 극심한 기후변화로 인해 세계 곳곳에 장기간 비가 내리지 않아 물 부족이 심각해지고 있는데요. 특히,… 더보기

100년은 지나야 뿌리 깊은 나무가 된다

댓글 0 | 조회 1,003 | 2022.04.12
1976년 발표된 알렉스 헤일리의 소설 ‘뿌리’는 드라마로도 전 세계인들에게 방영된 바 있는데 상당한 반향을 일으켰다. 1767년 아프리카 잠비아에서 노예로 팔려… 더보기

물소리, 바람소리 경전에 혼자라는 돌멩이를 줍다

댓글 0 | 조회 916 | 2022.04.12
▲ 한국문화연수원사진: 한국문화연원·하지권​천하명당, 심산유곡(深山幽谷)의 물소리4년 전 몸과 마음이 녹아내려서 삶의 뼈대가 모빌처럼 흔들리던 시간.한 자루 촛불… 더보기

최고 세율 회피를 단속하는 IRD

댓글 0 | 조회 2,388 | 2022.04.12
IRD는 2021년 최고 세율을 39%로 인상하였습니다. 소득이 $180,000 이상으로 추정이 되면 최고 세율이 적용될 것입니다. 이 세율은 기업의 28% 세율… 더보기

4월의 기도

댓글 0 | 조회 814 | 2022.04.12
갈보리십자가교회 김성국십자가의 4월이지만힘에 겨운 십자가는지고 싶지 않습니다부딪칠 일 없는 인적 없는 곳에서원래 선한 사람인 듯이미워할 사람조차 없는 곳에서의인인… 더보기

효과적인 공부을 위한 10가지 주요 팁

댓글 0 | 조회 873 | 2022.04.12
지난 호에 이어서, 효과적으로 공부하기 위하여 필요한 10가지의 주요한 팁 중에서 3개를 더 말씀드리고자 합니다.4. 새로운 내용은 학교에서 배운 당일에 복습하십… 더보기

댓글 0 | 조회 764 | 2022.04.12
소년은 엉덩이 끝이 간지러웠습니다. 양 무릎뒤의 옴폭패인 자리도 간지러웠고 왠지 옆구리도 간지러운것 같았습니다. 피부만이 아니었습니다. 그 간지러움은 몸 속에서 … 더보기

보시 유감

댓글 0 | 조회 906 | 2022.04.12
아침에 조금 일찍 집을 나서며 목련꽃 사진을 찍는다. 매일 반복하는 일이다. 나날이 눈곱 반 만큼씩이나 자라는 모습을 지켜본지가 거의 한 달이다. 물이 오르니 두… 더보기

흙의 날

댓글 0 | 조회 782 | 2022.04.09
‘흙의 날’은 흙의 소중함과 보전 필요성을 알리기 위해 정부는 2015년에 3월 11일을 법정 기념일로 제정했다. 3월 11일로 정한 이유는 ‘3’은 3농(농업•… 더보기

지난 3월 25일부터 완화 변경된 Covid19 업데이트

댓글 0 | 조회 4,338 | 2022.03.30

코로나 자가격리 지원 서비스(개인/가족)

댓글 0 | 조회 2,417 | 2022.03.29

코로나19 후유증(後遺症)

댓글 0 | 조회 1,805 | 2022.03.24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 확진자 3명 중 1명은 발병 후 4주 이상 증상이 지속되거나, 치료 후 새로운 증상이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더보기

운전 좀 한다는 사람들은 정말로 운전을 잘할까? 방어운전!

댓글 0 | 조회 1,898 | 2022.03.23
운전을 해야할 때 가장 많이 듣는 말 중 하나는 ‘방어 운전’을 해야 한다는 말일 것입니다.방어운전 이라 함은 소극적인 운전으로 생각하기 쉬우나 오히려 그와는 반…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