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허가가 면제되는 건축 공사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건축허가가 면제되는 건축 공사

0 개 3,975 이동온
뉴질랜드에서 살다 보면 어떤 식으로든 Resource Management Act 1991의 영향을 받기 마련이다.  Resource Management Act 1991(이하‘자원관리법’)은 육지, 공기 그리고 물에 관련된 법을 재정비하기 위해 만들어진 법으로, 이 세가지 물질의 사용과 관련된 행동은 자원관리법의 적용을 받게 된다.
 
나무 한 그루를 자르는데도 종류와 크기에 따라서 허가를 받아야 하며, 수영장을 준설하거나, 우물을 팔 때에도 적정 허가를 받아야 하고, 야외에서 불을 피워 소각을 할 때에도 공기의 오염을 대비하여 허가를 받아야 한다.  집을 짓거나 택지를 분할 할 때에도 물론 자원관리법에 따라 정부의 인허가를 받아야 하는데, 이는 상업용 대규모 개발이거나 개인목적의 소규모 개발이거나 상관 없이 공통적으로 적용된다.
 
자원관리법이 육, 해(수), 공의 사용에 관한 규제라면, 이와 쌍벽을 이루는 규제가 또 하는 있는데, 이는 Building Act 2004 (이하 ‘건축법’)이다.  대부분의 개발 또는 건축사업은 자원관리법과 건축법, 두 법 모두의 적용을 받게 되는데, 건축물을 짓기 위해서 자원관리법에 따라 토지사용 허가나 토공(土工)허가를 신청하고, 건축법에 따라 건축허가(building consent)를 신청하는 식이다.
 
기존에 있던 건축물을 소규모로 증축할 때에도 건축허가를 신청하여 건축법의 규제를 받아야 한다면, 이는 증축을 원하는 당사자나 허가를 심사해야 하는 해당 지방정부에도 과중한 업무부담이 된다.  그래서 소규모의 위험부담이 적은 건축 공사는 건축허가 없이도 시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는데, 이렇게 건축허가가 면제되는 건축 공사의 공통점은 공중의 안전에 해가 되지 않고, 건축 전체의 구조성과 견고함(structural integrity)에 영향을 미치지 않아야 한다는 점이다.
 
구체적으로 건축허가가 면제되는 건축 공사 몇 가지를 살펴보면:
 
- 퍼걸러(pergola), 즉 등나무 따위의 덩굴성 식물을 올리게끔 만들어진 서양식 정자는 본채 건물에 붙어있던 떨어져있던 상관없이 건축허가 없이 건축이 가능하다, 단 퍼걸러는 지붕이 없어야 한다;
 
- 현존하는 베란다(veranda)나 테라스/파티오(patio)에 벽이나, 창을 설치하여 에워싸서 현관(porch)나 온실(conservatory)로 만드는 것은 해당 면적이 5제곱미터 이하일 경우에만 건축허가가 면제된다;
 
- 흔히 데크(deck)라 불리는 플랫폼(platform)은 높이가 1.5미터 이하일 경우에는 건축허가가 면제된다;
 
- 내벽의 건축, 개조 또는 철거는 건축물의 구조성과 견고함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해당 내벽이 화재 발생시 대피하는데 어려움을 끼치지 않는다는 전제하에 건축허가에서 면제된다.  단 돌이나 벽돌 등의 회반죽으로 고정되는 벽은 건축허가가 필요하다.  보통 무게를 지탱하는 내벽은 건물의 구조성에 영향을 끼친다고 판단된다;
 
- 간이차고(carport)는 지상 1층(ground floor)에 있는 경우 20제곱미터 이하의 면적까지 건축허가가 면제된다.  간이차고는 적어도 한쪽 벽이 뚫려있어야만 간이차고로 간주되고, 모든 벽이 막혀 있다면 차고(garage)로 간주되어 면제대상에 포함되지 않는다;
 
이 외에도 많은 건축 공사가 건축허가로부터 면제되니, 구체적인 정보가 필요하신 분은 건축가나, 해당 시청 담당자 또는 건축 전문 변호사에게 문의 하시기 바란다.
 
건축 허가 없이 공사를 시작했다가 시청의 단속에 적발되어 다시 원상 복귀해야 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아무리 작은 공사라 하더라도 전문가에게 문의 하여 건축허가가 필요한지를 먼저 판단한 후에 시작하는 것이 권장 된다.  건축허가가 면제되는 공사여도, 다른 법의 (예로 위에서 언급한 자원관리법) 규제를 받는 공사일 수도 있고, 크로스리스 형태의 타이틀은 이웃의 사전 허락을 서면으로 받아야만 공사가 가능할 수도 있으니, 이점 역시 주의 하시기 바란다.
 

Without Prejudice

댓글 0 | 조회 11,000 | 2011.09.28
법정 드라마를 보시는 분들은 without prejudice라는 단어를 들어보신 적이 있으실 것이다. 밑에서 좀 더 자세히 설명 하겠지만, without prej… 더보기

뉴질랜드판 봉이 김선달

댓글 0 | 조회 6,962 | 2011.05.24
다들 대동강물을 팔아먹은 봉이 김선달 이야기는 아실 것이다. 희대의 사기꾼인지 아니면 뛰어난 사업가인지, 사람마다 평가는 다르겠지만, 한푼도 안들이고 대동강물을 … 더보기

“No Refund” - 환불거부

댓글 4 | 조회 6,410 | 2011.05.11
주말이면 쇼핑센터에 사람들이 많아진다. 학생들 방학이나, 비가 오는 주말이면 쇼핑센터가 더욱 분주해지기 마련인데, 이런 날에는 상점들은 발 디딜틈 없을 정도로 바… 더보기

법인 이사의 책임관계

댓글 0 | 조회 6,063 | 2010.01.26
뉴질랜드는 한국이랑 비교할 때 법인을 설립하는 것이 비교적 쉽다. 흔히 주식회사라 부른 법인은 별다른 지식이 없이도 직접 인터넷으로 설립이 가능하다. 데어리 등의… 더보기

명예훼손 (Defamation)

댓글 0 | 조회 5,849 | 2010.01.11
한인들은 자신의 명예와 체면에 민감한 민족이다. 필자가 법무 업무를 보며 평소 명예훼손에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가를 문의하시는 교민들을 적지 않게 보아왔다. A가 … 더보기

재산분할과 트러스트(신탁)

댓글 0 | 조회 5,835 | 2010.03.22
지난 423호와 424호에 이어 이번 칼럼에선 재산분할과 관련하여 트러스트를 소개하려한다. 재산 분할 양해 각서 외에도 배우자/파트너와의 결별에 대비하여 준비할 … 더보기

착한 사마리아인 법 - 방관자 신드롬

댓글 0 | 조회 5,535 | 2012.07.25
피를 흘린 채 길가에 쓰러져 있는 사람을 방관하고 스쳐 지나가는 사람들. 몇 주 전 미국 버지니아주 한 지역을 운행하는 버스의 CCTV에 찍힌 영상이다. 피를 흘… 더보기

몰카는 처벌이 가능할까?

댓글 0 | 조회 5,526 | 2015.04.29
촬영을 당하는 사람이 그 사실을 모르는 상태로 촬영하는 촬영기법을 몰래카메라, 흔히 줄여 몰카라 부른다. 한국에서 몰래카메라라는 단어가 처음 대중적으로 사용된 것… 더보기

길을 걷다 현금 다발이 든 사과박스를 줍게 된다면?

댓글 1 | 조회 5,497 | 2011.06.14
만약 길을 걸어가다 지갑을 줍게 된다면 독자께서는 어떻게 하실 것인가? 만약 지갑 안에 신분을 증명할만한 아무런 카드나 자료가 없고, 현금 다발이 들어있다면… 아… 더보기

$10 상당의 주식을 $5에 대량 매입을 시도한다면?

댓글 0 | 조회 5,301 | 2011.02.12
최근 투자자들의 어리숙함을 이용해 주식 거래를 통한 시세차익을 노린 한 사업체의 행각이 발각되어 화제를 일의키고 있다. Energy Securities라는 사업체… 더보기

비지니스 매매계약(Ⅴ)

댓글 0 | 조회 5,291 | 2010.10.13
비즈니스를 처음 하는데는 기존 비즈니스를 인수하는 경우와, 처음부터 창업하는 경우가 있다. 창업을 하는 경우에는 매매계약이 필요 없으므로, 이번호에서는 비즈니스를… 더보기

회사설립(Ⅳ)

댓글 0 | 조회 5,103 | 2010.09.28
회사에는 두 가지 주요 직책이 존재한다. Director와 shareholder인데, director는 이사, shareholder는 주주이다. 주주는 회사를 소… 더보기

증여세 (Gift Duty)

댓글 2 | 조회 5,077 | 2009.08.11
어떤 이유에서건 세금을 내고 싶어하는 사람은 없다.세법은 법이라도 변호사보다는 회계사가 더 많이 다루는 분야인데, 변호사의 고유 업무 분야 중에 하나가 절세이다.… 더보기

비상장 주식회사의 주식 매매-주주간의 주식거래

댓글 0 | 조회 4,920 | 2014.02.11
동업으로 하는 비즈니스의 대다수가 주식회사(이하 ‘회사’)의 형태로 진행되고, 소규모 회사의 특성상 주주들이 서로 일면식 없는 사람 보다는 혈연 지연으로 연결된 … 더보기

소송펀드 - 소송 자금의 원조(援助)

댓글 0 | 조회 4,857 | 2011.11.23
오래된 영미 불문법에는 maintenance와 champerty 라는 개념이 있다. 역사를 뒤돌아 볼 때, 부유한 개인이 자신의 정적(政敵)이나 경쟁자에게 경제적… 더보기

사랑 vs 영주권 그리고 불법체류자의 착취

댓글 0 | 조회 4,790 | 2013.07.10
22살의 젊은 청년이 59살 중년의 여인과 미용실에서 우연히 만나게 된다. 둘은 첫 눈에 사랑에 빠지게 되고, 알게 된지 삼 개월이 채 안되어 결혼을 하게 된다.… 더보기

음주운전 - 알코올 인터락

댓글 0 | 조회 4,777 | 2012.09.11
한 잔 정도는 괜찮겠지…? 차를 놔두고 그냥 택시를 타고가…? 운전면허를 소유한 애주가라면 한번쯤은 해본 고민이 아닐까 싶다. 음주운전은… 더보기

택지분할과 매매에 따른 문제점

댓글 0 | 조회 4,582 | 2010.05.25
부동산 붐이 한창일 때 넓은 대지를 분할하여 여러 개의 작은 규모의 택지로 매매하는 것이 빈번하였다. 이는 대규모의 개발업자 외에도 일반 가정집의 소유주도 마찬가… 더보기

비지니스 매매계약서(Ⅱ)

댓글 0 | 조회 4,300 | 2010.11.10
지난호에 이어 비지니스 계약서 작성시 매매당사자들이 직접 꼼꼼히 챙겨야 할 사항을 살펴보겠다:8. Deposit: 계약금을 뜻한다. 계약이 조건부 계약이라면 모든… 더보기

희대의 살인사건 – Case of David Bain(Ⅲ)

댓글 1 | 조회 4,214 | 2009.07.27
데이비드 베인의 재판은 여러 의혹과 문제점을 부각 시켰는데, 크게 요약하면 다음의 6가지로 압축된다.1. 그렇다면 범인은 누구인가?데이비드가 무죄라면 베인 일가족… 더보기

조건부 수임료

댓글 0 | 조회 4,205 | 2014.07.22
적당한 수임료는 변호사에게나 의뢰인에게나 민감한 사안이다. 적지 않은 의뢰인들은 변호사를 선임하기 전에 예상되는 수임료를 문의하거나 때에 따라서는 견적을 요구하게… 더보기

원주민 권리 선언

댓글 0 | 조회 4,083 | 2010.04.27
유엔은 2007년 9월 총회를 통해 원주민 권리 선언 (Declaration on the Rights of Indigenous Peoples)을 채택했다. 당시 … 더보기

공동 소유 계약서 ( Co-ownership Agreement )

댓글 0 | 조회 4,069 | 2012.11.13
집이란 인간이 살아가는데 꼭 필요한 세가지 중 한가지이고, 그 중 가장 물질적 가치가 높은 것이기도 하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살아가면서 소유하게 되는 재산 중 가… 더보기

법정 최고 이율

댓글 0 | 조회 4,057 | 2012.02.15
한국에는 법정 최고 이율이란 것이 존재 한다. 이자 제한법 상의 최고 이자율은 현재 연 30%로 알고 있고, 대부업법이라 불리는 ‘대부업 등의 등록 및… 더보기

현재 건축허가가 면제되는 건축 공사

댓글 0 | 조회 3,976 | 2013.09.25
뉴질랜드에서 살다 보면 어떤 식으로든 Resource Management Act 1991의 영향을 받기 마련이다. Resource Management Act 19…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