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500만 치매 환자에게 희소식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5500만 치매 환자에게 희소식

0 개 1,856 박명윤

노인들이 가장 두려워하는 질환은 치매(Dementia)이다. 물론 우리나라 사망원인 1위인 암(癌, Cancer)도 무섭지만, 말기 암 환자는 사랑하는 가족들을 만나고 유언도 남기고 이 세상을 하직(下直)을 하지만, 치매 환자는 자신이 누구인지도 모르는 상태에서 저 세상으로 떠난다. 물론 사랑하는 가족들도 인지하지 못한다.


나이가 들수록 걸릴 확률이 높아지는 치매는 전 세계적으로 환자가 약 5500만명에 달한다. 보건복지부와 중앙치매센터의 ‘대한민국 치매현황 2021’ 자료에 의하면, 2020년 기준 우리나라 65세 이상 노인 인구 중 치매로 추정되는 환자 수는 약 84만명(유병률 10.3%)이다.


문제는 치매가 치료하기 가장 어려운 질환 중 하나라는 점이다. 인류의 첫 치매 치료제는 미국의 제약사 바이오젠(Biogen)과 일본의 에자이(Eisai)가 공동 개발한 알츠하이머병 치료제인 아두헬름(Aduhelm)이다. 2021년 11월 미국 식품의약청(FDA) 승인을 받아 치매 정복을 위한 첫 출발을 알렸다. 그러나 안전성 논란으로 현재 사실상 시장에서 퇴출된 상태이다. 또한 약가(藥價)가 5만6000달러로 책정되면서 고가약 논란에 시달렸다.


그러던 중, 바이오젠과 에자이가 내놓은 ‘두 번째’ 알츠하이머 치료제 ‘레켐비(Leqembi)’가 2023년 1월 가속등인(accelerated approval)을 받은 지 약 6개월 만에 FDA의 정식 승인을 지난 7월 6일(현지 시각) 받았다. 레켐비는 알츠하이머 환자의 뇌에 서서히 축적되는 비정상 단백질인 베타-아밀로이드(beta-amyloid)를 제거해 기억력과 인지 기능 악화 속도를 저하시킨다.


한편 미국 제약사 일라이 릴리(Eli Lilly)가 개발 중인 항체 의약품 ‘도나네맙(Donanemab)’은 초기 증상 단계의 60-85세 알츠하이머병 환자 1736명을 대상으로 18개월(76주)간 임상시험을 했다. 임상 3상 시험에서 위약(僞藥, 시험 결과 비교를 위한 가짜 약) 대비 인지력 저하가 약 35% 늦어졌다. 이는 치매 치료제 ‘레켐비’와 비슷한 결과다. 릴리도 FDA에 ‘도나네맙’ 승인을 신청한 상태로, 연내 정식 승인을 기대하고 있다.


임상시험(臨床試驗, Clinical Trial)이란 새로운 약을 시중에서 공식적으로 사용하기 전에 안전성과 약효(藥效)를 검증하기 위해 실험단계에서 사람에게 적용하는 절차로 보통 3단계로 진행된다. 1상(Phase I)시험에서는 소수의 건강한 사람을 대상으로 안전성과 내약성이 검토되고, 2상에서는 소수의 환자를 대상으로 용법, 용량과 안전성, 내약성을 탐색한다. 끝으로 3상에서는 다수의 환자를 대상으로 안전성과 유효성이 검토된다.


치매를 조기 발견하기 위해서는 기억력이 저하되었을 때 검사를 받아야 한다. 중앙치매센터의 <치매 자가진단 체크리스트>는 다음과 같다. 14개 항목에서 6개 항목 이상에 ‘예’라고 표시될 경우 주관적 기억감퇴가 심한 것으로 의미하므로, 치매를 의심하고 조기진단을 받아 보는 것이 바람직하다.



(1)당신은 기억력에 문제가 있습니까? 

(2)당신의 기억력은 10년 전에 비해 저하되었습니까? 

(3)당신은 기억력이 동년의 다른 사람들에 비해 나쁘다고 생각합니까? 

(4)당신은 기억력 저하로 일상생활에 불편을 느끼십니까? 

(5)당신은 최근에 일어난 일을 기억하는 것이 어렵습니까? 

(6)당신은 며칠 전에 나눈 대화 내용을 기억하는 것이 어렵습니까?

(7)당신은 며칠 전에 한 약속을 기억하기 어렵습니까?

(8)당신은 친한 사람의 이름을 기억하기 어렵습니까? 

(9)당신은 물건 둔 곳을 기억하기 어렵습니까? 

(10)당신은 이전에 비해 물건을 자주 잃어버립니까? 

(11)당신은 집 근처에서 길을 잃은 적이 있습니까? 

(12)당신은 가게에서 사려고 하는 두세 가지 물건의 이름을 기억하기 어렵습니까? 

(13)당신은 가스이나 전깃불 끄는 것을 기억하기 어렵습니까? 

(14)당신은 자주 사용하는 전화번호(자신 혹은 자녀의 집)을 기억하기 어렵습니까? 


치매는 다양한 원인에 의해 뇌 기능이 손상되어 후천적으로 기억력, 언어력, 판단력 등 여러 영역의 인지기능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것을 말한다. 원인 질환으로는 알츠하이머병(Alzheimer’s disease)이 전체 치매의 75.5%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이외에도 혈관성 치매, 파킨슨 증상을 동반한 치매, 알콜성 치매, 두부외상으로 인한 치매 등이 있다.


치매를 일으키는 가장 흔한 퇴행성 뇌질환인 알츠하이머병은 1907년 독일의 정신과 의사인 알로이스 알츠하이머(Alois Alzheimer) 박사에 의해 최초로 보고되었다. 알츠하이머병은 매우 서서히 발병하여 점진적으로 진행되는 경과가 특징적이다. 초기에는 주로 최근 일에 대한 기억력에서 문제를 보이다가 진행하면서 언어기능, 판단력 등 다른 인지기능의 이상을 동반하게 되다가 결국에는 모든 일상생활 기능을 상실하게 된다.


치매 검사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그 중 가장 흔하게 사용되는 방법은 객관적 자기보고식 심리검사를 하는 것이다. 치매 원인을 찾기 위한 혈액검사, 뇌영상 검사(MRI) 등을 시행한다. ‘알츠온(AlzOn)’은 혈액검사를 통해 알츠하이머병의 위험도를 확인하는 새로운 검사 방법이다. 알츠하이머병의 원인 물질인 베타-아밀로이드의 올리고머화(oligomerization, 응집화) 정도를 측정해 해당 질환의 위험도를 평가하는 검사이다.


국제알츠하이머협회 자료에 의하면, 전 세계 알츠하이머 환자 수는 2020년 기준 5500만명이며, 2030년에는 7800만명 그리고 2050년에는 1억3900만명을 전망하고 있다. 보건복지부와 중앙치매센터 자료에 따르면, 국내 추정 알츠하이머 환자 수는 2021년 88만6천명이며, 2030년 127만2천명 그리고 2050년에는 271만명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한다. 평균수명 증가로 알츠하이머병 환자는 증가하고 있다.


미국 바이오젠(Biogen)과 일본 에자이(Eisai)는 2년 전 아두카누맙(Aducanumab) 성분을 이용해 아밀로이드 베타를 감소시키는 데 성공했다. 하지만 독성(毒性)이 심하고 당시 임상 실험 2건 중 한쪽에서만 유의미한 결과가 나와 조건부 승인을 받았다. 이 결정에 FDA 자문위원 가운데 3명이 사퇴했다. 미국과 일본 두 회사는 레카네맙(Lecanemab) 성분으로 추가 실험을 성공시켜 이번에 정식 승인을 받았다.


알츠하이머 치매의 진행 속도를 늦추는 치료제 ‘레켐비(Leqembi)’가 미국 식품의약국(FDA) 정식 승인을 지난 7월 6일(현지 시각) 받았다. 미국 바이오젠과 일본 에자이가 공동 개발한 레켐비는 알츠하이머 환자의 뇌에 서서히 축적되는 비정상 단백질인 베타-아밀로이드(beta-amyloid) 플라크 생성을 방해하여 기억력과 인지 기능 악화 속도를 저하시킨다.


현재까지의 알츠하이머 치료제들은 인지 기능을 일시적으로 개선시킬 뿐 치매의 진행 속도 자체를 늦추지는 못했다. 레켐비는 초기 알츠하이머 환자를 대상으로 한 치료제로 정맥주사(靜脈注射)로 투여한다. 레켐비는 1795명을 대상으로 한 임상 3상(Phase III Trial)에서 5개월가량의 병세 둔화 효과가 확인됐다. 다만 임상 과정에서 뇌부종(腦浮腫), 뇌출혈(腦出血) 등의 부작용이 보고됐고, 심각한 뇌출혈로 사망한 환자도 2명 있었다.


레켐비가 치매 치료제이기는 하나 뇌부종, 뇌출혈 등 심각한 부작용이 있다. 이에 FDA는 ‘레켐비’를 승인하면서, 약 봉투 가장 잘 보이는 곳에 크게 검은색으로 박스를 치고 경고문을 실으라는 ‘블랙박스(black box) 경고’를 덧붙였다. 치매 치료제 개발이 어려운 것은 약물이 혈관과 뇌 사이의 얇은 막인 ‘혈뇌 장벽(blood-brain barrier)’을 통과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약물이 이 벽을 통과하는 순간 농도가 100분의 1-1000분의 1 수준으로 떨어진다.


FDA 자문위원들은 치료제가 없는 상황에서 위험에 비해 환자가 얻을 수 있는 혜택이 크다며 ‘레켐비’를 만장일치로 승인을 권고했다. 일본 에자이는 한국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레켐비’ 시판허가 승인 신청서를 제출했다. 이르면 내년 하반기 승인이 이뤄질 전망이다. 한편 치료제 가격이 미국 기준 연간 2만6500달러(약 3400만원)이므로 걸림돌이 된다.



대한치매학회(Korean Dementia Association)가 지난해 전국 17개 시도 만 18세 이상 남녀 1006명을 조사한 결과, 알츠하이머병 경도인지장애 상태에서 약물 개발 시 월 60만원까지 지불할 수 있다고 답한 비율이 41.2%. 120만원 15%, 300만원 5.3%, 가격이 상관없다는 답변도 7%에 달했다.


전문가들은 레켐비의 부작용도 적지는 않으나, 영상학적인 소견으로 이중 실제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는 22-23% 정도이다. 또한 증상도 약을 중단하면 거의 없어지므로 조절 가능한 부작용이라고 생각한다. 다만 뇌출혈 위험이 높은 항응고제를 사용하는 환자에게 처방해서는 안된다. 아무에게나 쓸 수 있는 약이 아니므로 필요한 검사 후에 조심해서 사용해야 한다.


‘레켐비’는 나빠진 인지기능을 되돌리는 것이 아닌 악화(惡化)를 막아주는 질병 조절 치료제(disease-modifying agent)다. 한번 저하된 인지 기능을 복원할 수는 없다. 그러나 그동안 개발된 치료제는 증상 완화 효과에 그친데 반해, 레켐비는 치매 발생의 근본 원인을 억제한다는 점에서 진일보한 치료제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레켐비 허가는 고혈압, 당뇨병 등 만성질환과 같이 치매를 조절할 수 있게 하는 첫 단계라고 할 수 있다.


치매는 한 번 진행되면 인지기능이 돌아올 수 없는 병이므로 전 단계에서 진행을 막는 게 중요하다. 미국 컬럼비아대학 신경전문의 로런스 호니그 교수는 레켐비는 알츠하이머 치료의 신기원이 시작되는 첫걸음이라며 더 효과가 높은 치료제의 등장을 기대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많은 사람들이 고통을 받고 있는 알츠하이머 치매 치료의 길이 열린다는 소식에 세계가 반색하고 있다.


치매는 미리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권장되는 것은 두뇌 회전을 많이 시킬 수 있는 놀이나 독서이다. 건전한 수준의 게임, 바둑, 카드놀이와 같은 종합적인 인지 능력을 요구하는 놀이가 도움이 된다. 신문, 책을 읽거나 글을 쓰는 것이 효과적인 예방법이다. 건강한 식습관을 가지고 생선과 채소를 즐겨 먹여야 한다. 꾸준한 걷기 운동은 인지 기능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된다. 충분한 수면을 취하는 것이 좋다. 지나친 음주와 흡연을 삼가야 한다.


치매 환자를 돌보는 보호자들은 심한 스트레스를 받기 때문에 환자와 다툼도 잘 생기고, 극단적인 경우는 환자를 학대하거나 살인하기도 할 정도고 힘들어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치매 환자를 올바르게 대하는 방법을 잘 숙지해 돌보아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은 전문의들이 말하는 보호자들이 올바르게 치매 환자를 대하는 방법이다.



▲ 절대로 치매 환자를 적으로 대하면 안 된다. 

▲ 잘못했다고 야단치면 안 된다. 

▲ 하루 두 번 환자의 상태를 살펴본다. 

▲ 술은 환자가 보이지 않는 곳에 숨겨라. 

▲ 약을 꼬박꼬박 잘 먹게 해주라. 

▲ 산책이나 가벼운 운동, 퍼즐놀이 등과 같은 건전한 취미 생활 가지게 해준다. 

▲ 환자의 자존심을 지켜준다. 

▲ 생활의 변화를 주지 않도록 하며, 생활과 환경을 단순화시킨다. 

▲ 보호자들도 어려움에 처하면 주변 사람들에게 도움을 요청할 수 있다.


신약 ‘레켐비(성분명 레카네맙)’와 ‘도나네맙’은 알츠하이머병 진행을 늦추는 최초의 치료제다. 전문가들은 도나네맙이 레카네맙보다 더 알츠하이머 초기 단계 환자에 효과적일 것으로 봤다. 투자은행 JP모건체이스는 치매약 치료제 시장에서 도나네맙이 60%, 레카네맙이 40%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했다. 전문가들은 효능이 개선되고 복용이 편리한 치료제가 개발되기를 기대하고 있다. 비싼 약값과 복용 방법도 극복해야 할 과제다.


현재 값비싼 항체 치료제보다 저렴한 합성 신약이나, 병원에서 오랫동안 주사를 맞는 대신 환자에게 편리한 경구용(먹는) 치료제가 개발돼야 한다. 미국 네바다대학(University of Nevada)에 따르면, 올해 전 세계적으로 개발되고 있는 알츠하이머 치료제 후보 물질은 141개로 187건이 임상 중이다.


국내 일동제약과 현대약품도 치매 치료제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일동제약은 알츠하이머 신약후보물질 ‘ID1201’을 개발하고 있으며, 2019년 알츠하이머 환자 1449명을 대상으로 효과를 확인하는 임상 3상을 승인받았다. 최근 임상 3상이 종료된 것으로 알려졌다. 현대약품은 기존 알츠하이머 환자에게 처방되는 도네페질과 메만틴 성분을 합친 복합제 ‘BPDO-1603’를 개발 중이며, 현재 임상 3상 단계가 진행 중이다.


‘100세 시대’에 사는 인간에게 치매는 죽음보다 두려운 공포다. 치매는 미래를 잃어버리기에 무서운 질병이다. 치매 전문가들은 공통적으로 치매 환자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지금 여기에서’라는 마음가짐이라고 강조한다. 내가 할 수 있는 일을 오늘 시작하는 것은 미래로 한 발 내디딘 것이다. 이에 ‘지금’이라는 시간을 소중히 여기며 살아가야 한다.


3996400f1cf74f3d63f6295bb22aee24_1691152853_4795.jpg
 

부부가 이혼을 할 경우 애완동물은 누구에게 소유권이 있나요?

댓글 0 | 조회 1,498 | 2023.08.08
부부가 이혼을 할 경우 보통 관계재산은 양측에게 공평하게 분할됩니다. 그러나 사랑하는 애완견, 애완고양이 또는 다른 가족 애완동물일 경우, 이들이 관계 “재산”으… 더보기

사람을 살리는 온기의 힘

댓글 0 | 조회 801 | 2023.08.08
여행 가서 만나는 구들 이야기빈 가지 사이로 보이는 하늘이 훤하다. 낙하한 잎새들이 수북이 쌓인 산길을 걸으며 낙엽의 깊이를 재어 본다. 적엽량이라고 해야 할까.… 더보기

그래도 라는 섬이 있다

댓글 0 | 조회 644 | 2023.08.08
시인 : 김 승희가장 낮은 곳에젖은 낙엽보다 더 낮은 곳에그래도 라는 섬이 있다그래도 살아가는 사람들그래도 사랑의 불을 꺼트리지 않는 사람들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더보기

뇌과학이 알려주는 중독 (알코올, 마약, 도박 그리고 게임)의 이유

댓글 0 | 조회 1,101 | 2023.08.08
중독에서 헤어나지 못하는 사람들을 보고 의지가 약하다거나 정신차리지 못한 한심한 실패자로 보고 있는 경향이 있는데, 뇌과학자들은 중독을 뇌의 보상체계에 이상이 생… 더보기

마음으로 맑아지려는 노력

댓글 0 | 조회 599 | 2023.08.08
선명하지 않은 사람이 있습니다. 남들이 볼 때 속으로 무슨 생각을 하고 있는지 모르겠고, 뭔가 삐져있는 사람입니다. 본인도 자기가 무슨 생각을 하는지 모를 정도로… 더보기
Now

현재 5500만 치매 환자에게 희소식

댓글 0 | 조회 1,857 | 2023.08.05
노인들이 가장 두려워하는 질환은 치매(Dementia)이다. 물론 우리나라 사망원인 1위인 암(癌, Cancer)도 무섭지만, 말기 암 환자는 사랑하는 가족들을 … 더보기

먹을 복도 자랑해야 하나?

댓글 0 | 조회 1,356 | 2023.07.26
동생이 집에 간 후 나는 몸살을 앓았다. 올 한 해의 반을 여행으로 다 보냈으니 몸살이 안 나고 배길 수 있었을까? 어제부터 몸이 조금 괜찮아지고 있음을 느꼈으나… 더보기

2023 시험비책

댓글 0 | 조회 797 | 2023.07.26
얼마전 한 학생이 거의 울상을 한 채 교실로 들어섰습니다. 이유를 물었지만 딱히 대답하지 않고 얼버무리는걸 보아하니 바로 견적이 나옵니다. 시험을 망친거겠죠. 성… 더보기

사이드 힐 업•다운(Sidehill Up•Down)

댓글 0 | 조회 801 | 2023.07.26
정의발 앞쪽이 발뒤꿈치보다 높은 경사도의 샷어드레스평상시와 같거나 스탠스의 폭을 넓게 해야 한다. 볼이 자신의 발보다 위에 위치해 있으므로 조금 더 멀리서며 상체… 더보기

우버드라이버는 고용된 직원인가 (3)

댓글 0 | 조회 1,280 | 2023.07.26
차량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우버(Uber) 그룹의 우버 드라이버들을 독립계약자로 봐야 하는지 아니면 피고용인으로 봐야 하는지의 여부가 전세계적으로 뜨거운 이슈인… 더보기

언제 터질지 모르는 숨겨진 블랙 파이프 덕스 퀘스트

댓글 0 | 조회 1,078 | 2023.07.26
안녕하세요, 넥서스 플러밍(Nexus Plumbing)의 김도형입니다. 이번에는 최근 많은 집주인들을 괴롭혀 온 검은 파이프, 바로 덕스 퀘스트(Dux Quest… 더보기

초보자도 할 수 있는 하루 3분 운동!

댓글 0 | 조회 724 | 2023.07.26
아침 공복 운동이 체중감량에 좋다는 사실 알고 계신가요? 그런데 말처럼 아침 일찍부터 운동하는 걸 실천으로 옮기는 게 쉬운 일은 아닌데요,저도 5분만 일찍 일어나… 더보기

아내의 햇저녁상

댓글 0 | 조회 782 | 2023.07.26
갈보리십자가교회 김성국제 때에 난 햇감자로뜨끈한 감자옹심이가 올려 진저녁 밥상밥상 물리기도 전에제 때에 난 옥수수라며쪄서 반 뚝 잘라 건네주는 아내오늘만큼은 나를… 더보기

워크비자와 영주권의 열쇠는 잡(오퍼)

댓글 0 | 조회 1,844 | 2023.07.25
일반워크비자가 에센셜 워크비자를 거쳐 현재는AEWV(Accredited Employer Work Visa)-고용주인증 워크비자(이하, 워크비자)-라고 명명되어 시… 더보기

남명 조식

댓글 0 | 조회 667 | 2023.07.25
남명 조식은 세 차례나 관직에 임명되었다. 그러나 단 한 번도 취임하지 않았고, 사례의 인사를 올리지도 않았다. 그랬던 그가 그동안 자신이 왜, 벼슬을 마다하였는… 더보기

알레그로

댓글 0 | 조회 494 | 2023.07.25
시인: 토마스 트란스트뢰머암울한 하루가 가고 하이든을 연주한다손에 따스함이 느껴진다건반들은 흔쾌하고, 망치들은 경쾌하다소리는 푸르고 생기있고 차분하다자유는 존재한… 더보기

그들 마음의 온도는 몇 도 일까요?

댓글 0 | 조회 573 | 2023.07.25
찬란하던 해가 서산마루로 기울어간다. 황금빛 노을로 불타던 하늘이 서서히 검푸르게 변해가면서 어둠이 내려앉는다.기다렸다는듯 검은 장막속에서 남십자성이 아주 가깝게… 더보기

우리 애가 너무 불안해해요

댓글 0 | 조회 997 | 2023.07.25
평소에 특별한 이유 없이도 쉽게 긴장되거나 짜증이 나고, 혹은 불안감을 느끼는 경우가 있다. 이런 경우에 불안신경증을 의심해 볼 수 있다. 특히 성장기에 있는 소… 더보기

구름 밟듯 걷는 천년고찰

댓글 0 | 조회 484 | 2023.07.25
등운산 고운사 (騰雲山 孤雲寺)경상북도 의성군에 위치한 고운사는 지방도 79호선을 따라가다 고운사길로 접어들어 끝까지 이르면 다다를 수 있다. 고르게 난 왕복 2… 더보기

새로운 트러스트의 최고 세율

댓글 0 | 조회 974 | 2023.07.25
이것은 당신에게 무엇을 의미합니까?2023년 예산에는 몇 가지 놀라운 점들이 있었지만, 트러스트 세율의 변경은 그 중 하나가 아니었습니다. 몇 번 암시되었듯이, … 더보기

헷갈리는 자동차 용어들 총 정리!

댓글 0 | 조회 812 | 2023.07.25
오늘은 자동차 용어와 기능에 대해서 많이 알고들 계시겠지만, 모르는 것은 알고 주행을 한다면 도움되는 자동차용어 영어약자에 대한 포스팅을 해보겠습니다.ABS(자동… 더보기

미션 임파서블

댓글 0 | 조회 632 | 2023.07.25
최근에 내년도 최저임금이 결정되었다. 수 차례 합의가 안 되다가 표결로 결정 난 것이다. 시급 1만원을 넘기느냐로 모두들 촉각을 곤두세웠는데 넘기지는 않았다. 물… 더보기

다제약물 복용 113만명

댓글 0 | 조회 1,511 | 2023.07.22
우리나라는 상당히 약을 좋아하는 문화가 형성되어 있다. 본인은 왜 약을 먹는지 알지 못하고 습관처럼 복용하는 사람도 있다. 약을 복용하는 것은 기존 질환을 잘 조… 더보기

신규 주택보험 가입 중단

댓글 0 | 조회 3,281 | 2023.07.20
캘리포니아주의 GDP는 2021년 기준 3.35조 달러로 미국 50개주중에 가장 높으며 세계 5위인 영국, 7위인 프랑스보다 높다. 참고로 세계 10위인 한국의 … 더보기

부동산 다시 오른다.

댓글 0 | 조회 2,006 | 2023.07.18
2년전부터 이자율 인상으로 많은 영역에서 스트레스가 커지고 있다. 물론 가파른 물가 인상에 따른 대응책 중, 가장 빠르게 대처할 수 있는 방법이긴 하나 그 시점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