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계고객의 시대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성태용
명사칼럼
조기조
김성국
템플스테이
최성길
Danielle Park
김도형
Timothy Cho
강승민
크리스틴 강
들 풀
정동희
마이클 킴
에이다
보문
멜리사 리
Jessica Phuang
휴람
박기태
채수연
독자기고
EduExperts
이주연
Richard Matson
수필기행

기계고객의 시대

0 개 728 조기조

전 세계의 90개국 이상의 기업에 컨설팅을 하는 가트너(Gartner)사는 85개의 지점에 거의 2만명 가까운 직원을 두고 있다. 직원의 대부분이 똑똑이들이라 브레인풀이며 공장을 돌리는 대신 머리를 굴려 지갑을 터는 일을 40년이나 하고 있다. 이 가트너사는 매년 한 해를 예측하며 10가지 기술추세를 제시하고 있다. 영국의 시사주간지 <더 이코노미스트>는 2023년 11월13일자 ‘2024년의 세계를 내다보며’ 편에서 편집인 톰 스탠디지가 2024년에 주목해야할 10가지 트렌드를 제시했다. 해가 다르게 급속히 발전하고 바뀌는 세상에서 우물쭈물 하다가는 큰일 나겠다는 생각이 든다.


며칠 전에 큰맘 먹고 조찬특강을 들었다. 인공지능(AI) 프로그램인 챗GPT를 이용해 성공한 사업가가 그 활용법을 이야기 한다기에 벼르고 별러서 들은 것이다. 내가 AI라는 말을 처음 접한 지가 1980년대 초 대학원생이었을 때이니 40년이 넘었다. 그간에 느리고 더디어 이거 언제 써먹겠나 싶었는데 ‘알파고’가 입신의 9단을 이기는 것을 보고는 때가 됐구나 싶었다. 나는 구글이 처음 나왔던 1990년대 말부터 야후 대신에 그걸 써왔고 지금도 쓰고 있다. 번역 앱을 가장 많이 쓰지만 수십 가지나 되는 구글의 앱은 정말로 고맙다. 이제 AI 프로그램 바드(bard)에게 복합적인 질문을 하고 있고 단순한 질문은 스마트폰의 빅스비에게도 물어본다. 구글은 검색이 AI로 넘어갈 것을 예견하고 생성형 AI 프로그램인 바드를 출시했다. 물론 챗GPT보다는 늦었다. 질문이나 명령문에 해당하는 프롬프트를 잘 적으면 보다 정교한 답을 얻을 수 있다. 기사나 조사보고서도 그럴듯하게 써 준다.


전문가의 특강은 실시간으로 주식의 시황을 분석해 최적의 투자안을 추천받는 것이었는데 내가 주식으로 돈을 못 버는 이유를 알았다. 또 주식을 안 하는 것이 버는 것임을 알 수 있겠다. AI는 많은 데이터를 정교하게 분석을 했고 나는 주먹구구였으니 일찍 일어난 새 몇 마리가 모이를 다 먹고 난 뒤라 이삭줍기도 쉽지 않은 일이었다.


가트너는 10가지 기술동향이 적어도 향후 36개월까지는 비즈니스 및 기술의 결정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하였다. 우선 AI가 널리 쓰이게 됨에 따라 AI 사용 정책을 정의하고, AI 모델에 대한 접근을 체계적으로 기록, 승인하고 실제 사용을 인증하는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미 이런 기능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이 있다. 가트너가 제시하는 대부분의 기술이 AI와 관련이 되어 있고 이를 활용하는 기업과 개발자에 해당하는 내용이 많아서 그것은 빼고 다른 내용을 소개하고자 한다. 그 내용이 기계고객(machine customer)이다. 기계고객이라니요? 기계고객이 2028년까지 사람이 하는 디지털 매장의 20%를 빼앗을 것이라고 한다. 물론 이 비율은 점점 더 커질 테고.


907a0b1144830f34da1b25f3de3fb1ac_1705357387_5274.png
 

가트너는 2028년까지 고객처럼 행동할 수 있는 잠재력을 지닌 연결된 장치(기계고객)가 150억 개에 달할 것이며 그 후로도 엄청나게 더 늘어날 것이라고 한다. 이러한 새로운 기계 고객은 2030년까지 수조 달러의 구매에 영향을 미칠 것이며 디지털 상거래의 출현보다 더 중요해질 것이라고 한다. 장비의 모니터링, 감시 카메라, 컨넥티드 카, 스마트 조명, 태블릿, 스마트 워치, 스마트 스피커 및 컨넥티드 프린터를 포함해 설치된 97억 개 이상의 사물인터넷(IoT) 장치가 기계고객이며 2027년까지 선진국 인구의 50%가 매일 AI 개인 비서를 이용할 것이라고 한다. 나 대신에 냉장고가 떨어져 가는 식재료를 주문하고 프린터가 잉크를 알아서 주문하는 기계고객인 것이다. 점점 더 똑똑해진 기계가 충동구매 없이 냉정하고 합리적으로 구매한다니 놀랍다. 그러면 기업은 기계고객에게 무슨 홍보를 어떻게 해야 할까?


기업은 AI를 활용해 인재를 유치하고 개발 및 유지해야 하는 동시에 지친 인력들을 재교육하고 재편해 내부 역량을 높여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 글로벌 경쟁력의 심화, 인건비 등 비용 상승의 통제, 위험한 기술의 생산성과 수익 측정 등 태산 같은 할 일이 있다. 인공지능과 기계고객이 점점 더 발전한다 하니 무슨 일인들 못하겠는가. 그러면 가트너 그룹의 2만 명 가까운 전문가들은 그들의 미래를 어떻게 예측할까? 우리의 역할이 기계고객이나 인공지능 프로그램에게 빼앗긴다면 우리는 무얼 하고 살지?


41c68a8d7fc59fa7e17262892e2ad33c_1705438905_2612.jpg
 

■ 조 기조(曺基祚 Kijo Cho)


. 경남대학교 30여년 교수직, 현 명예교수 

. Korean Times of Utah에서 오래도록 번역, 칼럼 기고 

. 최근 ‘스마트폰 100배 활용하기’출간 (공저) 

. 현 한국도박문제관리센터 비상근 이사장으로 봉사 

. kjcho@uok.ac.kr

하루 3분 살빠지는 스트레칭

댓글 0 | 조회 701 | 2024.01.16
2024년 새해 잘 시작하셨나요?매년 이 맘때는 대부분 새해 계획과 다짐으로 건강한 라이프 스타일을 위해 다양한 목표를 세우곤 하는데요, 그래서 최근 제 유튜브를… 더보기

청용(靑龍)의 해에 용꿈을 꾸세요

댓글 0 | 조회 874 | 2024.01.16
우리 한민족의 삶 속에는 언제든지 용이 있다. 용은 상상속의 동물이나 못이나 강, 바다와 같은 물속에서 살며, 비나 바람을 일으키거나 몰고 다닌다고 여겨져 왔다.… 더보기

새해에는

댓글 0 | 조회 698 | 2024.01.16
갈보리십자가교회 김성국한 해가 가는 것이 아쉽지 않습니다그저 무심히 보낸 시간이 너무 많아 죄스러운 마음입니다그래서 새해에는 커다란 것 바라지 않겠습니다남보다 뛰… 더보기
Now

현재 기계고객의 시대

댓글 0 | 조회 729 | 2024.01.16
전 세계의 90개국 이상의 기업에 컨설팅을 하는 가트너(Gartner)사는 85개의 지점에 거의 2만명 가까운 직원을 두고 있다. 직원의 대부분이 똑똑이들이라 브… 더보기

비빔밥 이야기

댓글 0 | 조회 932 | 2024.01.12
창립 25주년을 맞은 구글(Google)이 지난 12월 11일 ‘올해의 검색어’를 발표했다. 올해 전 세계인들이 구글에서 가장 많이 검색한 레시피(recipe, … 더보기

'2024 학년도 한국대학 입시 결과'

댓글 0 | 조회 2,730 | 2024.01.04
세계보건기구 WHO에서 코로나 19 비상사태를 선언한지 3년 4개월만인 2023년 5월 초 ‘국제공중보건위기상황’해제를 발표했다. New Normal 시대에 접어… 더보기

국민당 정부 고용법 개정

댓글 0 | 조회 1,685 | 2023.12.23
지난 칼럼에서는 국민당이 선거에서 승리할 경우 큰 고용법 개정이 있을 가능성이 높다고 예상한 바 있습니다. 예상했던 대로 국민당 주도 정부가 출범하면서 많은 변화… 더보기

전신 군살 빼는 10분 전신운동

댓글 0 | 조회 909 | 2023.12.23
최근 gym에서 운동을 시작한 저희 큰 딸이 이런 갑자기 이런 얘기를 하더라구요.“엄마! 대부분 사람들이 운동 전후에 간단한 스트레칭도 안하고 그냥 운동만 해..… 더보기

휴가 동안 소규모 비즈니스의 현금 흐름

댓글 0 | 조회 1,025 | 2023.12.23
올해에는 사업에서 휴가를 즐길 계획이신가요?올해 이 시기는 소규모 비즈니스에게 어려울 수 있습니다. 지출은 계속되고 채권자들이 휴가에 들어가면 현금 흐름이 타격을… 더보기

기왕 이렇게 된 것

댓글 0 | 조회 899 | 2023.12.23
갈보리십자가교회 김성국지글지글 끓는 날에더워진 논물 담은 논두렁에서올챙이들이 잘 자라고 있는지들여다 봤어야 했다반나절 걸려서 찾아간 양구스물 다섯 살짜리 군인이 … 더보기

흔적의 역사(歷史), 미룰 수 없는 전법(傳法)

댓글 0 | 조회 687 | 2023.12.23
경주 남산 삼릉 ~ 금오봉 순례경주 남산이 불국토(佛國土)인 것은,경주가 불국토인 것은 부정할 수 없는 사실입니다.그래서 신라의 왕들은 남산에 묻히기를 원했을지 … 더보기

그의 끝나지 않은 사랑

댓글 0 | 조회 1,003 | 2023.12.22
그의 아내는 장난끼 많은 남편 곁에서 늘 어린애처럼 즐거워했다. 어릿광대처럼 아무에게나 장난을 걸어도 깔깔거리고 웃었다. 그런 아내의 모습을 지켜보며 그지없이 행… 더보기

한해를 되비추는 예술의 힘

댓글 0 | 조회 723 | 2023.12.22
▲ 영화 ‘괴물’. 미디어캐슬 제공12월의 첫 주말, 저녁 산책을 하며 한해를 되돌아보니 무엇보다 대립과 증오로 넘친 1년이었다는 생각이 든다. 지금 지구촌 두곳… 더보기

단전은 기운의 저수지

댓글 0 | 조회 691 | 2023.12.22
단전은 저수지입니다. 항상 어딘가로부터 모이는 곳이 저수지잖아요? 단전도 기운의 저수지이기 때문에 배를 들락날락 안 해도 그냥 기운이 모입니다. 다 열리면 피부나… 더보기

감 잡았다, 고용주 인증 워크비자(AEWV)

댓글 0 | 조회 2,747 | 2023.12.21
뉴질랜드에서 일하고 싶다고 해서 누구나 언제든지 할 수 있는 것은 절대 아닙니다. “합법적인” 비자상태를 득한 후에 가능한 일이 “합법적인 노동”이지요. 노동(근… 더보기

행복해진다는 것

댓글 0 | 조회 1,060 | 2023.12.21
시인 헤르만 헤세인생에 주어진 의무는다른 아무것도 없다네그저 행복하라는 한 가지 의무뿐우리는 행복하기 위해 세상에 왔지그런데도그 온갖 도덕온갖 계명을 갖고서도사람… 더보기

여름철 건강을 잘 지키는 요령

댓글 0 | 조회 855 | 2023.12.21
여름을 준비하시고 잘 보내시길 바랍니다이번 여름을 건강하게 잘 보낼 수 있는 몇 가지 팁을 알려드립니다.크리스마스 전의사, 의료 기관 또는 약국의 영업시간이 변경… 더보기

비만(肥滿) 이야기

댓글 0 | 조회 898 | 2023.12.19
국제학술지 사이언스(Science)가 올 한 해 가장 주목할 만한 연구 성과로 선정하는 ‘올해의 혁신’에 장(腸)에서 분비되는 인슐린(insulin)분비 조절 호… 더보기

유아의 기억력

댓글 0 | 조회 1,082 | 2023.12.13
크리스마스가 다가오자 각종 파티가 연달아 개최되고 있다. 이민 초기부터 키위성당 모임을 통해서 친분을 쌓게 된 키위 한분은 데어리 플랫(Dairy Flat) 지역… 더보기

연장된 워크비자 기간 및 시행 기간 변경에 대한 업데이트

댓글 0 | 조회 1,518 | 2023.12.13
2023년 11월 27일부로 자격 인증 고용주 근로비자 (AEWV)는 중간 시급(median wage) 이상에서 근무하는 사람들을 위해 워크비자 기간이 3년에서 … 더보기

하동

댓글 0 | 조회 738 | 2023.12.13
시인 이 시영하동쯤이면 딱 좋을 것 같아. 화개장터 넘어 악양면 평사리나 아, 거기 우리 착한 남준이가 살지. 어쩌다 전화 걸면 주인은 없고 흘러 나오던 목소리.… 더보기

무릎 통증 없이 하체 운동하는 법

댓글 0 | 조회 1,165 | 2023.12.13
만성 무릎 통증으로 고생중이신가요?하체운동 혹은 걷기, 달리기 등 다리근육을 사용해야 하는 유산소 운동을 할 때 무릎이 자주 아프신가요?오래 앉아 일하고 나면 골… 더보기

선한 마음 사이로도 차별이 샐 수 있다

댓글 0 | 조회 849 | 2023.12.13
▲ 단편 영화 ‘빠마’의 한 장면으로 방글라데시에서 농촌으로 시집 온 니샤의 일상을 통해 우리 농촌에 사는 이주여성에게 부과된 삶의 무게를 보여준다. 한글교실에서… 더보기

디지털 시대의 온라인과 전화상담

댓글 0 | 조회 749 | 2023.12.13
기술이 정신 건강에 미치는 영향은 크고, 대면을 통해서가 아니라 온라인이나 전화를 통해 정신건강을 지원하는 방법이 희망적이고 편리한 해결책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더보기

지금 인도는 K-불교에 ‘Holic 중’

댓글 0 | 조회 797 | 2023.12.13
한국-인도 수교 50주년 교류행사 참관기인도는 한국에게 멀지만 가까운 나라다. 비행기로만 6시간 이상을 날아가야 도착할 수 있는 곳이지만, 한국인에게 인도는 부처…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