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암과 치매 유발 가능성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코로나19, 암과 치매 유발 가능성

0 개 1,010 박명윤

미국 워싱턴포스트(WP)가 암(癌)을 유발하는 바이러스에 코로나 바이러스(Coronavirus)가 추가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고 6월 6일 보도했다. 한편 노지훈 고려대 의대 교수 연구팀은 코로나 mRNA 백신이 알츠하이머(Alzheimer’s disease) 치매와 경도 인지기능장애 발생 위험을 높일 수 있다고 발표했다.


257ac6d0f46e4e7e56a1e0da1e1cddf4_1718953054_3342.png
▲ mRNA 


란셋종양학회지(Lancet Oncology)에 발표된 논문에 따르면 2020년 말 거의 모든 암의 말기인 4기 암 발병이 급증했다. 즉 코로나19(COVID-19) 팬데믹(대유행) 초기 말기암 환자가 크게 늘었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코로나 팬데믹에 의한 의료 체계의 혼란이 원인인 것으로 여겨왔다.


이와 관련하여 ‘캐롤라이나 혈액 및 암 치료협회’ 카샵 파텔(K. Patel) 박사 등 종양학자들이 코로나 바이러스가 담관암(膽管癌) 발생을 촉발한다는 의문을 제기하였다. 담관암은 주로 70-80대 고령층에서 발생한다. 그러나 파텔 박사 등 종양학 의사들이 치료한 중년층 담관암 환자들이 7명 이상이며, 또 여러 종류의 암이 동시다발적으로 발병하는 희귀 사례도 늘었다.


파텔 박사 등 연구자들은 미국 정부가 코로나 바이러스의 암 유발 가능성을 서둘러 파악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이는 앞으로 수십 년 동안 수백 만명의 암환자 치료와 관리에 큰 영향이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반면 코로나 바이러스의 암 유발 가능성에 회의적(懷疑的)인 과학자들도 여전히 적지 않다.


암 유발 바이러스 연구 분야의 선구자인 미국 국립보건원(NIH)의 존 실러 박사는 암 유발 바이러스는 인체 내에서 오래 잠복해 있는 것이 특징이지만 코로나 바이러스 등 호흡기 질환 유발 바이러스는 잠복하지 않고 사라진다고 지적했다. 미국 암연구협회장을 역임한 데이비드 튜브슨 박사는 코로나 바이러스가 암세포 유전자 변형을 일으킨다는 직접적 증가는 없다고 말했다.


다만 튜브슨 박사는 최근 9개월 동안 발표된 몇몇 초기 연구에서 코로나 바이러스감염이 염증 폭풍을 촉발해 암세포 성장을 가속화 할 가능성이 제기됐다고 밝혔다. 그는 코로나 바이러스의 영향이 담배, 술, 비만, 마이크로플라스틱 등 환경적 요인과 유사한 것으로 의심한다. 인체를 구성하는 세포들은 끊임없이 성장, 변화, 사멸한다. 세포들은 DNA 구조 손상을 대부분 자가 치료하거나 손상된 세포가 사멸하지만 일부는 암세포로 전환된다.


더글러스 윌러스(Douglas Willace) 펜실베이나아대학 유전 및 진화생물학자는 코로나가 세포 내 에너지 생성에 영향을 미쳐 암 발생 가능성을 높이는 지 여부를 연구하고 있다. 그밖에도 코로나 사망자 부검(剖檢)을 통해 발견된 장기에서 유전자 서열의 변화를 추적하는 전문가들도 있다.


또 쥐의 비활동성 암세포가 코로나 바이러스 또는 독감 바이러스에 의해 활성화된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그밖에 코로나 바이러스가 암을 유발하는 헤르페스 바이러스(herpes virus) 복제를 활성화한다는 연구도 있으며, 비활성 유방암(乳房癌) 세포도 자극한다는 연구도 있다.


젊은 암환자가 조기 사망하는 ‘이례적 패턴’을 연구하는 파텔 박사 등은 코로나 후유증(Long COVID)과 이례적 암 사이의 연관성이 확인되면 코로나 감염자에 대한 암 검사를 강화하거나 항바이러스제 치료가 필요해 질것으로 예상했다.


암을 예방하기 위해 많은 사람이 식단에 신경을 쓰고 운동을 열심히 한다. 그런데 무심코 한 생활습관이 암을 유발하는 주범이 될 수도 있다. 미국 미네소타대학 연구팀이 여성 4만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완전하게 익힌 쇠고기 스테이크나 베이컨을 지속해 섭취한 여성은 중간 또는 거의 익지 않은 고기를 섭취한 여성보다 유방암(乳房癌) 위험도가 4.62배 더 높았다. 고온에서 조리한 육류에서 형성되는 화학물질인 헤테로사이클릭아민(Heterocyclic Amines)에 노출되면 유방암 위험도가 증가할 수 있다.


또한 고기 구울 때 후추(pepper)가 고온에 노출되면 발암물질 아크릴아마이드(acrylamide)가 증가한다. 카드로 결제하면서 받는 종이 영수증을 만지면 체내 환경호르몬 수치가 증가할 수 있다. 2016년 국제암연구소(IARC)에서는 65도 이상의 뜨거운 음료를 암 유발 가능성이 있는 위험 요인 2A군으로 분류했다. 상온에 보관하여 산패(酸敗)된 견과류에는 아플라톡신(Aflatoxin) 곰팡이 독소가 생길 수 있다.


란셋종양학회지(Lancet Oncology)에 발표된 연구에서는 뜨거운 음료를 마신 사람들은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식도암(食道癌) 발생 위험이 8배나 높다고 경고했다. 식도는 위장과 달리 보호막이 따로 없기 때문에 뜨거운 음식을 먹으면 미세한 화상(火傷)을 입게 되고, 이런 현상이 반복되면 세포 변이에 영향을 주어 암 발병 위험이 커진다는 것이 연구진의 설명이다.


노지훈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의생명과학 신경과 교수, 김민호 이대서울병원 정보학과 교수 등 공동 연구팀은 치매 극복 연구개발 사업단 지원으로 mRNA 백신 접종과 알츠하이머(Alzheimer’s disease) 치매 및 경도 인지 장애(MCI, mild cognitive impairment)의 연관성을 조사했다. 연구팀은 서울시 거주 65세 이상 55만8017명을 대상으로 mRNA 백신 접종 그룹과 미접종 그룹을 나눈 후 국민건강보험 데이터를 활용해 두 그룹 간 발병률 차이를 분석했다.


그 결과, mRNA 백신 접종자의 경도인지장애 발병 위험도가 미접종자에 비해 2.38배 높게 나왔다. 알츠하이머 치매 발생률은 백신 접종자가 23% 더 높았다. 반면 백신 접종과 혈관성 치매와 파킨슨병(Parkinson’s disease)은 연관성이 발견되지 않았다. 이번 연구는 영국 옥스퍼드대학이 발간하는 국제의학저널 QJM 최신호에 실렸다.


코로나19 예방을 위해 전 세계적으로 화이자(Pfizer), 모더나(Moderna)의 코로나19 메신저 리보핵산(mRNA) 백신이 널리 사용되었다. 그동안 코로나19 감염 후유증으로 인지 기능이 떨어지는 이른바 브레인 포그(brain fog)가 생길 수 있다는 연구는 있었지만, 백신이 인지 기능을 떨어뜨릴 수 있다는 연구 결과는 처음이어서 그 연관성에 관심이 모이고 있다.


고령화 사회에 진입하면서 노화와 함께 찾아올 수 있는 가장 두려운 질병이 치매이며, 치매의 가장 흔한 유형 중 하나가 알츠하이머(Alzheimer’s disease)이다. 알츠하이머병는 한 번 발병하면 완치는 어렵지만 아주 천천히 점진적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초기에 발견해 꾸준히 치료와 증상 완화를 위한 노력을 기울이면 뇌(腦) 기능 저하 속도를 늦출 수 있다.


최근 ‘알츠하이머 연구 및 치료(Alzheimer’s Research & Therapy) 저널‘에 실린 연구에 따르면 

▲ 채식 위주의 유기농, 무첨가 식품으로 구성한 식단, 

▲ 규칙적인 걷기 운동, 

▲ 다른 사람과의 교류, 

▲ 각종 영양소와 미네랄을 보충할 수 있는 영양제 섭취, 

▲ 스트레스 관리 등 

건강한 생활습관으로 초기 알츠하이머를 앓는 노인의 인지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방의학연구소(Preventive Medicine Research Insrtitute) 설립자 딘 오니쉬(Dean Ornish) 박사의 연구진은 2018년부터 2022년 사이 경도인지장애 또는 초기 치매 증상을 보이는 성인 49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이중 절반을 20주간의 생활습관 개선 캠프에 참여하게 하고 두 그룹간 차이를 비교했다. 그 결과 습관 개선 그룹 참가자 71%의 인지 기능이 기존과 동일한 수준을 유지하거나 개선된 반면 대조군에서는 개선된 사람은 없고 참가자 중 68%의 인지기능이 저하되는 양상을 보였다. 알츠하이머를 유발하는 단백질인 뇌의 아밀로이드(amyloid)도 개선 그룹에서는 감소하고 대조군에서는 증가했다.


구체적으로 개선 그룹은 과일, 채소, 콩류, 견과류, 씨앗류 등 복합탄수화물이 풍부한 유기농 무첨가 식품으로 구성한 식단을 꾸준히 섭취하고, 오메가-3 지방산, 비타민C, 비타민B12, 마그네슘 및 기타 미네랄 영양제를 복용했다. 걷기 중심으로 매일 30분의 유산소 운동, 일주일에 세 번 정도 가벼운 근력운동을 반복했다. 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해 매일 1시간 호흡법, 명상, 요가 혹은 스트레칭 관련 수업을 들었으며 참가자와 배우자가 함께 일주일에 세 번, 1시간씩 정신건강 상담자와의 그룹 만남에 참석했다.


코로나19 팬데믹(pandemic, 대유행)은 마무리되어 앤데믹(endemic, 감염병 풍토화)으로 전환되었다. 그러나 코로나19가 완전히 종식된 것은 아니므로 코로나19 예방을 위해 개인위생을 철저히 지켜야 한다. 최근 코로나 바이러스가 암을 유발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257ac6d0f46e4e7e56a1e0da1e1cddf4_1718952975_7991.jpg
 

세계 암의 날

댓글 0 | 조회 999 | 2021.02.20
우리나라 국민들이 평균수명까지 생존할 경우 암(癌, cancer)에 걸릴 확률은 37.4%로, 남자는 5명 중 2명(39.8%), 여자는 3명 중 1명(34.2%… 더보기
Now

현재 코로나19, 암과 치매 유발 가능성

댓글 0 | 조회 1,011 | 8일전
미국 워싱턴포스트(WP)가 암(癌)을 유발하는 바이러스에 코로나 바이러스(Coronavirus)가 추가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고 6월 6일 보도했다. 한편 노지… 더보기

걷기 운동

댓글 0 | 조회 1,017 | 2022.11.04
‘2022 서울 걷자 페스티벌’이 지난 9월 25일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에서 출발해 흥인지문(興仁之門, 동대문)을 거쳐 종묘(宗廟)와 창덕궁(昌德宮) 사이를… 더보기

눈(目)의 날

댓글 0 | 조회 1,025 | 2022.11.18
“몸이 1000냥(兩)이면 눈은 900냥(兩)”이라는 속담이 있을 정도로 눈은 우리 신체에서 가장 중요한 감각기관이다. 인간은 다른 감각에 비해 시각에 대한 의존… 더보기

탄소중립(炭素中立)

댓글 0 | 조회 1,028 | 2021.06.19
지난 일요일(6월 6일) 오후 EBS-TV를 통해 2004년에 제작된 재난(災難)영화 <투모로우(The Day After Tomorrow)>를 시청했다… 더보기

성인ㆍ소아 신장암(腎臟癌)

댓글 0 | 조회 1,034 | 2021.04.19
신장(콩팥, Kidney)은 크게 신실질(腎實質)과 신우(腎盂) 두 부분으로 나뉜다. 신실질(renal parenchyma)은 혈액 속의 노폐물을 제거하고 오줌(… 더보기

장수의 비결

댓글 0 | 조회 1,044 | 2023.06.10
조선일보가 설문조사기관(틸리언 프로)에 의뢰해 우리나라 20-60대 성인 남녀 5023명을 대상으로 지난 5월에 실시한 조사결과에 따르면 50.1%가 ‘100세까… 더보기

품위 있는 죽음(Well-dying)

댓글 0 | 조회 1,055 | 2024.03.22
지난주 아내와 함께 상암동 월드컵경기장 1층 소재 메가박스에서 영화 <소풍>(러닝타임 114분)을 관람했다. 지난 2월 7일 개봉한 <소풍>… 더보기

웰에이징(Well-Aging)

댓글 0 | 조회 1,062 | 2022.03.05
사람은 부모님의 사랑으로 잉태되어 엄마의 따뜻한 자궁 속에서 10개월(280일) 동안 태교(胎敎)를 받고 이 세상에 태어난다. 출생 후 영아기, 유아기, 아동기,… 더보기

쾌면(快眠) 건강법

댓글 0 | 조회 1,065 | 2023.02.24
동양의학에서는 건강을 자연과의 조화로 판단하고 쾌식(快食), 쾌면(快眠), 쾌변(快便)을 건강의 척도로 삼고, 이 세 가지를 삼쾌(三快)라 하여 매우 중시했다. … 더보기

환절기 심·뇌혈관 질환자 증가

댓글 0 | 조회 1,065 | 2022.09.24
정부는 심•뇌혈관질환 예방을 위해 지난 2014년부터 매년 9월 첫째 주(1-7일)를 ‘심•뇌혈관질환 예방•관리주간’으로 지정하고 대국민 인식 개선에 힘쓰고 있다… 더보기

수면장애(睡眠障碍) 불면증(不眠症)

댓글 0 | 조회 1,065 | 2021.05.08
인간은 평생의 약 3분의 1을 잠자는 시간으로 사용한다. ‘잠’은 활력 있는 삶을 위한 기본 조건이며, 뇌의 휴식상태인 잠은 깨어있는 시간 동안의 ‘삶의 질’을 … 더보기

환절기 불청객, 알레르기

댓글 0 | 조회 1,086 | 2023.05.20
알레르기(allergy)란 우리 몸의 면역계(免疫界)가 특정 알레르기 유발 항원(抗原)에 반응하여 과도한 항원항체 반응이 일어나는 것을 말한다. 즉, 알레르기란 … 더보기

전립선암(前立腺癌)

댓글 0 | 조회 1,095 | 2022.06.11
김지하(金芝河) 시인이 1년여의 전립선암 투병 끝에 지난 5월 8일 원주시 자택에서 향년 81세로 별세했다. 유족 측에 따르면 시인은 7일부터 죽조차 먹기 힘들었… 더보기

집단면역(集團免疫)

댓글 0 | 조회 1,109 | 2021.05.22
오늘이 4월 마지막 주일이므로 6개월이 지나면 11월이 된다. 11월에 문재인정부가 발표한 코로나 집단면역을 달성할 수 있을까? 엠브레인ㆍ케이스탯ㆍ코리아리서치ㆍ한… 더보기

2018년 새해맞이

댓글 0 | 조회 1,116 | 2018.01.17
謹賀新年! 2018년 1월 1일, 새해 첫 날이다. 세계에서 가장 먼저 새해를 맞이하는 나라는 남태평양에 위치한 키리바시공화국(Republic of Kiribat… 더보기

김치의 날(Kimchi Day), 김치 예찬

댓글 0 | 조회 1,153 | 2022.12.16
마름달 스무이틀날(11월 22일, 순우리말 표기)은 김치산업의 진흥과 김치문화를 계승•발전하고 국민에게 김치의 영양적 가치와 중요성을 알리기 위해 2020년에 제… 더보기

기후붕괴와 지구

댓글 0 | 조회 1,166 | 2021.09.03
1963년 6월 당시 48세였던 케네디(John F. Kennedy, 1917-1963) 미국 대통령(제35대, 1961-1963 재임)은 워싱턴 소재 아메리칸대… 더보기

경맥하혈종과 심근경색증

댓글 0 | 조회 1,190 | 2020.12.19
‘축구(蹴球)의 신(神)’이라 불리는 아르헨티나(Argentina)의 디에고 마라도나(Diego Maradona)가 심장마비(heart attack)로 11월 2… 더보기

코로나(COVID-19) 그리고 패혈증(敗血症)

댓글 0 | 조회 1,191 | 2023.10.20
지난(10월 10일) 박종환(朴鍾煥) 축구감독이 체육인들의 천국환송을 받으며 하늘나라로 떠났다. 멕시코 4강 신화를 이끈 박종환 감독이 지난 10월 7일 향년 8… 더보기

2022년 사자성어와 2023년 트랜드

댓글 0 | 조회 1,200 | 2023.01.13
희망찬 새해 2023년 계묘년(癸卯年) 토끼해를 맞아 종교지도자들은 신년사(新年辭)를 통해 혐오와 갈등이 팽배한 한국사회에 증오와 분노를 넘어서는 인내와 참회, … 더보기

감염성 질환(感染性疾患)

댓글 0 | 조회 1,200 | 2017.12.20
북한 주민의 주요 사망원인은 감염성 질환(感染性疾患)으로 31%를 차지해 우리나라의 5.6%에 비해 월등히 높다. 지난 11월 13일 오후 판문점 공동경비구역(J… 더보기

음주문화(飮酒文化)와 과음(過飮)

댓글 0 | 조회 1,210 | 2018.01.31
대한보건협회 산하 서울시보건협회(회장: 남철현 대구한의대학교 명예교수)가 <건강증진시대 금연ㆍ절주사업의 어제, 오늘과 내일>을 주제로 세미나를 지난 1… 더보기

대추 이야기

댓글 0 | 조회 1,226 | 2021.03.06
대추(棗)는 설, 추석 등 명절 차례상과 조상님 제사를 모실 때 빠짐없이 올라가는 상차림 중 하나다. 또한 대추는 수천년 동안 한방(韓方)에서 사용하고 있으며, … 더보기

‘박쥐 여인’의 경고

댓글 0 | 조회 1,227 | 2023.10.07
통계청(統計廳, Statistics Korea)이 발표한 ‘2022년 사망 원인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하루 평균 사망자 수는 1022명으로 처음 1,000명을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