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식을 통해 불교전통문화를 계승하다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음식을 통해 불교전통문화를 계승하다

0 개 738 템플스테이

계호 스님과 함께 만드는 제철 사찰음식 


89fa4e33828ab609ffbf5e71b5d87a3d_1686711477_3571.jpg

사찰음식을 이야기할 때 빼놓을 수 없는 분이 바로 진관사의 계호 스님이다. 스무 살에 출가해 일찌감치 여러 큰스님들로부터 음식 솜씨를 인정받았던 스님은 1990년 대구 불교아카데미에서 사찰음식을 강의했고, 2009년에는 진관사 산사음식연구소를 설립해 사찰음식 대중화에 기여했다. ‘사찰음식 명장’이기도 한 스님은 천년고찰 진관사에서 묵묵히 전통을 지키며, 사찰음식의 정신을 현대에 계승하고 있다. 


수륙재와 함께 복원된 의례 음식 


북한산 자락에 자리 잡은 비구니사찰 진관사는 무척 운치 있다. 단아하면서 품격 있는 절집은 주변 풍광과 어우러져 고요한 아름다움이 있고, 장 항아리들이 단정하게 줄을 맞춘 너른 장독대에서는 음식에 대한 정성과 마음가짐이 읽힌다. 


하지만 지금의 모습을 갖추기까지 어려움이 많았다. 고려 시대에 창건된 천년고찰이지만 한국전쟁 때 화마(火魔)를 입어 전각 대부분이 소실됐다. 이후 한동안 방치되었던 이곳을 다시 일으켜 세운 주역은 1963년 주지로 부임한 진관 스님과 2006년 그 뒤를 이은 계호 스님이다. 


두 스님은 폐허가 된 절집을 하나하나 세우며 도량을 재정비하는 한편, 조선 왕실에서 주관해 진관사에서 행했던 국행수륙재를 재현해 국가무형문화재로 지정받았다. 수륙재는 물과 육지에서 떠도는 외로운 영혼에게 불법(佛法)을 전하고 음식을 베푸는 불교의식이다. 


89fa4e33828ab609ffbf5e71b5d87a3d_1686711522_0519.png
 

“매년 49일 동안 일곱 차례 재를 지내는데, 마지막 7재는 이틀간 이어집니다. 상단 · 중단 · 하단에 올리는 각종 음식은 ‘조선왕조실록’에 기록된 단차림의 기본을 따르되, 일부는 현대적으로 해석해 준비합니다. 재에는 많은 음식이 필요하기 때문에, 수륙재를 재현하는 과정은 곧 전통 사찰음식을 연구하고 복원하는 일이기도 했습니다.” 


세계가 주목한 ‘사찰음식 명장’ 


계호 스님은 “진관사가 사찰음식으로 유명해진 것은 이러한 의례를 중심으로 발달해왔기 때문”이라며, 그 대표적인 예로 ‘진관사 두부’를 들었다. 


“진관사는 조선 시대 조포사(造泡寺)였습니다. 지금이야 누구나 먹는 흔한 음식이지만, 조선 시대 두부는 왕실의 제례 음식으로, 지정된 사찰에서만 만들었어요. 진관사에서 만든 것은 서오릉의 창릉, 홍릉으로 보내졌지요. 기록을 보면, 섣달그믐부터 정월 보름까지 두부를 만들었다고 해요. 섣달그믐에는 두부소를 넣은 만두를 빚어 묵은 제사와 공양간에서 조왕신에게 올리는 불공을 하고, 두부를 만들어 신도들과 나누는 것도 연례행사였습니다. 진관사의 두부는 단순히 음식이 아니라 한국의 두부 역사와 보급과정, 조선 시대 사찰의 문화와 역사를 두루 살펴볼 수 있는 귀한 자료예요.”


89fa4e33828ab609ffbf5e71b5d87a3d_1686711541_8529.png
 

두부뿐만 아니라 ‘사찰음식의 명소’로 꼽히는 진관사는 코로나 19 이전까지만 해도 국빈들의 방문이 끊이지 않았다. 특히 미국의 영부인 질 바이든 여사가 2015년, 당시 부통령이던 남편 조 바이든과 함께 방한했을 때 진관사를 찾은 일화가 유명하다. 


“원래 20~30분 정도 머물다 간다고 들었는데, 3시간을 있었어요. 헤어질 때는 ‘여기 있는 모든 것이 다 아름답다’고, ‘다음에 꼭 사찰음식을 맛보러 오고 싶다’고 하더라고요. 그 전해에 백악관 부주방장이었던 샘 카스가 저에게 오이물김치와 콩국수 만드는 법을 배워 갔는데, 그 인연으로 바이든 여사도 방문을 하게 된 것이죠.”


이밖에도 벨기에 왕비, 주한 외교사절, 영화배우 리처드 기어 등 많은 유명인사들이 진관사를 찾으면서 진관사의 음식과 계호 스님은 세계적인 관심을 받았다. 외부 강연을 거의 하지 않고, 외국에도 나가지 않지만 지금도 그를 만나기 위한, 그의 사찰음식을 체험해보기 위한 국내외 손님들로 진관사는 늘 북적인다. 지금은 코로나19로 잠시 중단됐지만, 진관사 산사음식 연구소 역시 그에게 사찰음식을 배우기 위한 수강생들로 빈자리를 찾기 어려웠다. 


사찰음식은 요리가 아닌 삶의 지혜 


수륙재를 통해 진관사의 역사·문화적 가치를 현대에 되살려낸 그는 음식에서도 전통을 고수한다. 사찰음식은 요리가 아니라고 단언한 그는 음식과 요리의 차이점을 이렇게 설명했다. 


“자연에서 문화로 변모하는 과정을 요리라고 하는데, 요리는 아름답게 보이기 위해 여러 가지 기교가 가미됩니다. 반면 산사의 음식에는 자연이 살아 있어요. 매일 먹는 음식이 그대로 약이 되지요. 우리 몸은 자연이기 때문에 계절에 따라 땅에서 나는 제철 음식을 먹어야 합니다.”


가령, 새순이 돋는 봄에는 잎과 어린 나물을 먹는다. 겨우내 움츠렸던 몸과 마음을 깨우기 위해 식초 · 설탕으로 새콤달콤한 맛을 낸다. 여름에는 잎채소를, 가을에는 당근 · 우엉 · 무 같은 뿌리채소를 먹는 것이 그 좋은 예다. 


“산사에서는 채소 전체를 거의 다 먹지만 혹시 쓰레기가 생기면 퇴비로 씁니다. 차 찌꺼기도 그냥 버리지 않아요. 화분에 주면 식물들이 싱싱하게 자랍니다. 요즘 같은 김장철엔 무·배추 자투리들이 많이 남잖아요. 그걸 우거지 · 시래기 · 무말랭이로 만들어 두면 겨우내 국이나 찌개로, 밑반찬으로 요긴하게 쓰입니다. 겨울에 우거지나 시래기 넣고 살짝 매콤하고 칼칼하게 국을 끓이면 몸을 따뜻하게 하는 데 좋아요. 별다른 기교 없이 제철 재료를 단순하게 조리해 먹는 것, 그게 바로 사찰음식입니다. 요리가 아니라 삶의 지혜죠.”


스님은 사찰음식의 3요소로 청정, 유연, 여법(如法)을 꼽았다. 재료를 깨끗하게 씻어, 부드럽게 만들어, 부처님의 가르침에 따라 정성을 다해 조리한다는 뜻이다. 이는 삶의 방식과도 상통한다. 


“무엇보다 좋은 마음으로 만들어야 그 음식이 맛있습니다. 그래서 저는 늘 ‘최고의 양념은 마음’이라고 해요. 그리고 식약동원(食藥同源)이라는 말처럼, 우리가 매일 먹는 음식은 약이나 다름없습니다. 요즘처럼 면역력이 중요한 시기에는 제철 재료로, 단순하게 조리한 것들을 먹는 게 좋습니다. 음식은 삶의 근본이고, 사람의 바탕이에요. 삶이 편안하려면 먹는 것이 담백해야 합니다.”


89fa4e33828ab609ffbf5e71b5d87a3d_1686711589_5194.png
 

진관사와 계호 스님, 사찰음식의 대명사가 되다 


강원도 강릉에서 태어나 묵호에서 자란 계호 스님은 1968년 5월에 출가했다. 당시 나이 스무살이었다. 신심 깊은 불자 집안에서 자란 스님은 고등학교를 졸업하자마자 혼자 서울로 와 무작정 진관사를 찾아갔다고 한다. 


이후 청룡사에서 공부하다 1970년 운문사로 가 승가대학을 졸업했다. 1982년에는 성철 스님이 만든 비구니대학에서도 공부했다. 이듬해 졸업과 함께 운문사에서 강의를 시작해 1995년까지 12년간 강사 스님을 지냈다. 


“그 뒤 강원도 횡성 보광사 주지로 갔다가 2006년에 진관 스님의 부름을 받고 다시 진관사로 왔어요. 그때부터 16년 동안 주지 소임을 살다 올해 진관사 총무였던 법해 스님에게 자리를 넘겨주었죠. 주지를 그만두고 회주(會主)를 맡으면 한가해질 줄 알았는데, 별다른 변화가 없어요.(웃음)”


특유의 부지런함과 성실함으로 진관사를 사찰음식의 대명사로 만든 스님은 앞으로도 음식을 통한 불교 문화의 전통 계승이라는 사명을 다할 계획이다. 진관사 음식을 무형문화재로 등록하기 위해서도 노력 중이다. 세수 70을 훌쩍 넘긴 지금도 왕성하게 활동하는 계호 스님은 자신의 건강 비결로 규칙적인 생활과 ‘3소’를 꼽았다. ‘많이 웃기(笑), 적당히 먹기(少), 채소(蔬) 섭취하기’. 간단하지만 자연식의 중요성과 삶의 태도, 절제의 마음이 두루 담긴 ‘명언’이었다. 현대인들이라면 한 번쯤 마음에 새겨야 할 말씀이다.



89fa4e33828ab609ffbf5e71b5d87a3d_1686711619_4265.png
 

89fa4e33828ab609ffbf5e71b5d87a3d_1686711629_8631.png
 

89fa4e33828ab609ffbf5e71b5d87a3d_1686711643_4018.png
 

89fa4e33828ab609ffbf5e71b5d87a3d_1686711651_8766.png 


■ 제공: 한국불교문화사업단
Now

현재 음식을 통해 불교전통문화를 계승하다

댓글 0 | 조회 739 | 2023.06.14
계호 스님과 함께 만드는 제철 사찰음식사찰음식을 이야기할 때 빼놓을 수 없는 분이 바로 진관사의 계호 스님이다. 스무 살에 출가해 일찌감치 여러 큰스님들로부터 음… 더보기

오롯이 홀로 만난 아름다운 이 여행

댓글 0 | 조회 809 | 2023.05.24
‘그대의 영혼이 다시 그대를 만나게 하라.그것은 그대의 잊혀진 신비와 다시 가까워지는 멋진 일이다.’켈트족의 격언이 전하는 삶의 신비는 먼 곳에 있지 않다.자칫 … 더보기

나를 버려 나를 찾는 나를 위한 길

댓글 0 | 조회 549 | 2023.05.09
남악회양 스님이 육조혜능 스님을 찾아갔습니다.“어디서 온 물건인가?”라고 육조혜능이 묻습니다.남악회양은 답을 못합니다. 답을 찾기 위해 남악회양은 육조혜능의 물음… 더보기

템플스테이와 동갑내기, 우리는 스무 살입니다

댓글 0 | 조회 783 | 2023.04.25
템플스테이 20주년 기념 ‘스무살 맞이 특별 템플스테이’가김천 직지사에서 열렸다.2002년에 태어난 템플스테이와 동갑내기 청춘들이 함께한 특별한 산사 여행.서로의… 더보기

한국불교, 미국에 스며들다

댓글 0 | 조회 728 | 2023.04.12
‘한국불교가 미국에 스며들다!’ 2022년 8월 22일부터 29일까지 뉴욕 일원에서 진행된‘제5회 한국 전통불교와의 만남(5th An Encounter with … 더보기

스님과 두런두런 보물찾기

댓글 0 | 조회 707 | 2023.03.28
승보종찰 순천 송광사 (僧寶宗刹 順天 松廣寺)송광사는 고려시대 보조지눌 국사를 포함해 지금까지 16분의 국사를 배출해 불법승(佛法僧) 세 가지의 보물 중 스님이 … 더보기

달을 기다리는 마음으로 산다는 것

댓글 0 | 조회 713 | 2023.03.15
강진 무위사 ‘달빛 명상’달이 뜨는 산, 달 아래 마을달의 아이들이 뛰놀고무위사 극락보전이아름답게 빛나는 순간이다둥글게 달이 떠오르고세상의 모든 존재들이충일하게 … 더보기

반드시 오고야 말 행복

댓글 0 | 조회 816 | 2023.03.01
미얀마에서 온 두 청년의 봉정사 템플스테이와 안동 여행낯선 곳은 새로운 스승과 같은 것은 아닐까.익숙한 곳에서는 결코 알 수 없었던 지식과 지혜가 펼쳐지는낯선 곳… 더보기

바르게 만들어, 즐겁게 나누는 행복한 음식 수행

댓글 0 | 조회 826 | 2023.02.14
▲ 경운 스님과 함께 만드는 제철 사찰음식음식 만들기를 즐기는 경운 스님은 스스로를 ‘음식 수행자’라 부른다. 좋은 재료로, 바르게 만들어 여러 사람과 나누는 일… 더보기

세상으로 스무 걸음, 템플스테이가 전하는 특별한 선물

댓글 0 | 조회 789 | 2023.02.01
▲ 한국불교문화사업단 템플스테이팀장 김유신템플스테이가 스무 해를 맞이했다. 지난 2002년 한 · 일 월드컵이 시작되던 그해, 한국을 대표하는 천년 고찰들이 일제… 더보기

행복한 쉼, 법보종찰 해인사

댓글 0 | 조회 648 | 2023.01.18
팔만대장경으로 이름난 절 가야산 해인사.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익히 들어 친숙한 이곳은 저마다의 관념 속에 대웅전 하나쯤 짓고 해인사라 부를만한 곳이다. 세계 최고… 더보기

스님들의 희생으로 지켜낸 소중한 성보문화재

댓글 0 | 조회 744 | 2022.12.21
피란짐 풀어 놓고 뒤적 뒤적 들춰보니국사님 가사장삼 다시 볼 수 없음메라애답다 상사명령에 못 꺼내온 그 순간.- ‘구하지 못한 보조 국사 가사 장삼’, 『인암 스… 더보기

꽃 한 송이 글자 하나 붓다

댓글 0 | 조회 793 | 2022.12.07
흐르는지 머물렀는지알 수 없는 섬진강사람들 걸음 따라흔들렸던 구례 오일장정신을 바짝 깨우는장엄한 화엄사붓끝에서 피어나는전심전력의 아름다움걸어도 걸어도, 걷고 있어… 더보기

또 하나의 여행, 우정

댓글 0 | 조회 689 | 2022.11.21
유학생 두사람의 선운사 템플스테이와 고창 여행시간이 나서 하는 것이 아니라 시간을 내서 하는 일이 있다.친구 사이인 바니아와 예니아에게 그것은 ‘여행’이다.한국에… 더보기

사찰음식에 담긴, ‘음식을 대하는 마음가짐’을 전하다

댓글 0 | 조회 1,019 | 2022.11.09
홍승 스님과 함께 만드는 제철 사찰음식외식 · 인스턴트식이 대세가 되고 있는 현대 사회에서 ‘무엇을, 어떻게 조리해 먹을 것인가’라는 근원적인 질문은 ‘건강하게 … 더보기

그해 여름, 통도사에서 아름다운 연인이 만난 소중한 인연들

댓글 0 | 조회 714 | 2022.10.26
초여름의 햇살이 통도사 다원(茶園)의 차나무 숲 위로 아낌없이 쏟아진다.마치 거대한 초록빛 구름이 땅 위에 내려앉은 것처럼,넘실대는 부드러운 곡선의 숲 사이로 사… 더보기

말도 없이 봄이 떠난 사이 여름은 무심히 와 있었다

댓글 0 | 조회 840 | 2022.10.12
불자들의 성지, 국민들의 휴식처, 세계인의 쉼터가 된 오대산입니다.여름 햇살이 전나무 숲길 사이로 얼굴을 내밉니다.그래도 다람쥐는 그늘 아래서 봄과 함께 합니다.… 더보기

풍경과 하나 되는 곳, 암자로 떠나는 친환경 여행

댓글 0 | 조회 607 | 2022.09.27
하늘과 가까워지는 곳. 산이라는 바다에 숨겨진 등대 같은 곳. 빼어난 풍경과 수많은 기도의 사연을 간직한 곳.암자(庵子)에 가면 자연과 하나가 되는 삶의 원형을 … 더보기

자연에 덧칠한 양평 용문사 (楊平 龍門寺)

댓글 0 | 조회 798 | 2022.09.14
용문사에 이르기까지물 맑고 산 좋기로 소문난 양평군에서 용문사에 이르는 길은 한 번쯤 멈추지 않고선 못 배길 테다. 강변 정취를 뽐내는 카페, 곳곳에 숨은 맛집이… 더보기

최초의 전문박물관에 모셔진 최고의 보물들 - 통도사 성보박물관

댓글 0 | 조회 966 | 2022.08.24
통도사가 문을 연 목적 중에는 자장 율사께서 당나라에서 친히 모셔온 석가모니 부처님의 사리와 직접 입으셨던 가사(袈裟)를 모시기 위함도 있었다. 그때 모셔온 진신… 더보기

봄눈 뜻밖의 위안 차오름

댓글 0 | 조회 775 | 2022.08.10
봄눈은 차를 닮았다. 봄눈이 눈을 가장한 물기라면 차는 푸른 이파리를 머금은 물이다. 여리 여리하고 순한 물. 내리면서 녹아 흔적 없이 사라져버리는 봄눈처럼 몸에… 더보기

너와 나 사이, 보이지 않는 끈

댓글 0 | 조회 804 | 2022.07.27
브라질에서 나비가 날갯짓하면 텍사스에서 토네이도가 일어난다고 한다.여린 나비의 파닥임이 대기에 영향을 미쳐시간이 지나면 증폭되어 강력한 토네이도를 만든다는 것이다… 더보기

봄에 나는 풀과 꽃은 기운 돋우는 귀한 식재료

댓글 0 | 조회 1,089 | 2022.07.13
▲ 극락사 여거 스님경기도 용인에 있는 극락사는 아담하고 고즈넉하다. 뒤로는 구봉산이 듬직하게 감싸고, 옆으로는 실개울이 흐르는 그림 같은 풍경은 풍수를 모르는 … 더보기

전통을 지키고 마음을 살리는 일, 템플스테이

댓글 0 | 조회 751 | 2022.06.28
▲ 前 한국불교문화사업단장 종훈 스님완연한 봄이라 부르기엔 아직 바람이 시리고, 겨울이라 하기에는 푸른 새싹들이 곳곳에서 깃발처럼 피어난 3월의 어느 날, 과천의… 더보기

템플스테이와 함께 한 시간 언제나 사랑으로 기억되기를

댓글 0 | 조회 894 | 2022.06.15
길고 가물었던 겨울에 종지부를 고하 듯, 밤새 내린 봄비가 한순간 새로운 계절의 문을 연다.전날까지만 해도 볼 수 없었던 꽃송이가 일제히 피어오른 황악산 직지사의…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