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0] 말 잘 듣는 아이로 키우는 방법(Ⅰ)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310] 말 잘 듣는 아이로 키우는 방법(Ⅰ)

0 개 2,012 코리아타임즈
아이들을 키우다보면 부모말 잘 들어주는 아이에게 많은 애정이 갑니다. 반면, 부모의 말에 불만을 표시하거나 대들거나 순종반응을 보이지 않는 아이에게는 화가 나고, 부모로서의 권위에 손상을 입는 것 같습니다. 그래서 소리를 지르게 되거나, 힘을 사용하기도 합니다.

  같은 형제인데 어떤 애는 말을 잘 듣고 어떤 애는 말을 안듣는 것 같으면, 부모의 양육태도보다 애들마다 기질이 달라서 기질적으로 말을 안 듣는 애인가보다고 단정하기도 합니다.
  반면, 부모말을 잘 듣는 아이는 부모에게 기쁨을 주고 부모로서 자신이 존중받는 것 같아 권위가 올라갑니다. 주변에서도 말 잘듣는 아이를 둔 부모를 부러워하는 시선을 느낄 수 있습니다. 말 잘 듣는 아이로 키우는 방법이 없을까요?

---------------------------------------------------------------------------------------
◆ 말 잘 듣는 아이로 키우기 위해서는 기본적 신뢰감을 형성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
ㆍ기본적 신뢰감이란 무엇인가? 에릭슨이 한 말로서 사람을 믿는 힘과 자신을 믿는 힘을 말한다. 아이의 좋은 모습을 보고 아이의 미래를 기대하는 것은 누구나 할 수 있는 일이다. 그러나 아이가 나쁜 모습을 보일 때도‘저 모습은 아이의 진짜 모습이 아니다. 언젠가 자신만의 능력을 발휘할 때가 올 것이다'라는 믿음을 가지고 아이에 대한 기대를 버리지 않는 것이 진정한 부모의 모습이다. 이런 마음으로 아이를 지켜보는 것이 부모의 사랑이며, 그 사랑이야말로 아이에게 내재되어 있는 천재성을 끄집 어낼 수 있는 원동력이다.

---------------------------------------------------------------------------------------
◆ 기본적 신뢰감이 형성되면 어떤 점이 좋을까요? - 자녀교육이 훨씬 더 수월해진다.
---------------------------------------------------------------------------------------
1. 자신이 잘못을 저질러서 남에게 주의를 듣거나 꾸지람 을 들어도 꾸짖는 사람의 마음을 이해한다.
  자신에게 심한 상처를 주거나 열등감을 느끼게 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깨닫고 상대에게 원한을 품지 않는다. 기본적 신뢰감이 제대로 형성된 아이는 자신의 잘못을 꾸짖는 사람을 믿는다. 기본적 신뢰감이 형성되어 있지 않으면, 자신이 잘못을 저질렀음에도 꾸짖는 사람에 대해 원망을 품거나 거부감을 나타내게 된다. 그리고 그런 마음이 자기 자신을 부정적으로 만들기 때문에 기가 죽거나 사소한 일로 자학 행위 또는 자살 미수 등을 저지르기도 하며, 자포자기에 빠지기도 한다.

2. 부모와 아이의 관계가 교사와의 관계나 친구와의 관계를 만들기 때문에, 부모와 아이의 관계가 신뢰롭다면 나머지 관계를 성립시키기도 매우 쉽다.

3. 자율성이 제대로 자란다.
아이는 자신감 있는 자율적인 행동을 한다. 아이는 자신이 신뢰를 받음으로써 자신감을 갖는다. 그것이 아이들에게 앞으로의 자율적이고 사회적인 행동의 원동력이자 기반이다.
  기본적인 신뢰란 사람을 믿는 것이기 때문에, 자신을 믿어주는 사람을 통해 제3, 제4의 사람을 점차로 믿는 힘이 되며, 그것이 친구를 만드는 원동력이 된다.

4. 신뢰관계가 있으면 꾸짖어도 괜찮다.
아이는 자신이 마음으로 신뢰하지 않는 사람에게 꾸지람을 들으면 상처받는다. 반대로 신뢰하는 사람에게는 꾸지람을 들어도 잘 받아들이고 이해한다. 평소에 아이의 욕구를 만족시켜주는 부모는 꾸짖어도 가정교육 하는데 문제가 없다. 부모가 자기 이야기를 잘 들어주고 원하는 것을 이루어 주려고 애쓰는 모습을 보고 자란 아이는 부모에게 신뢰감을 갖고 있기 때문에 꾸짖어도 굴욕감을 느끼지 않고 자존심이 상하지 않는다.

--------------------------
  기본적 신뢰감의 부재원인
--------------------------
1. 부모의 비판과 충고
‘이러면 안돼, 저러면 안돼'라고 말하는 것은 아이를 위해 진심으로 걱정한다는 마음은 전달되지 않고, 믿지 못한다는 느낌만 전달 될 수 있다. 아이는 자신을 믿어주는 사람을 믿고 따른다. 그리고 남이 자신을 믿어 준다는 확신을 통해, 또한 자기 스스로에게 믿음을 갖게 된다. (다음 호에 계속)

지면 관계상 다음호에서 계속 하겠습니다.

[371] 자기만 생각하는 아이 교육 어떻게 해야 하나요?

댓글 0 | 조회 1,737 | 2007.12.20
남을 배려할 줄 모르고, 남의 입장에 대해서 생각할 줄 모르는 아이들이 있습니다. 자기만 생각하는 아이들은 남을 의식하지 않고, 자기 밖에 모르며, 버릇없이 제멋… 더보기

[370] 아이에게 알맞은 적성 찾아 주기

댓글 0 | 조회 1,740 | 2007.12.11
※원인※ 부모들은 모두 자녀의 행복을 위해서라고 하지만, 사실 자녀교육의 중심에는 진로 대신 오직 진학에 대한 관심만이 자리를 차지하고 있는 형편이다. 오직 성적… 더보기

[369] 친구와 어울리지 못하는 아이

댓글 0 | 조회 1,927 | 2007.11.28
※ 원인 ※ 주변을 주의 깊게 살펴보면, 건전한 인간관계가 심리적 건강과 행복한 생활의 필수 조건이며 성공의 발판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요즘 아이들은 … 더보기

[368] 공부할 마음이 없는 것 같은 아이

댓글 0 | 조회 1,765 | 2007.11.13
*원인* 대부분의 부모님들은 자녀가 공부를 하지 않는 원인을 '게으르고 놀기만 좋아하기 때문'이라고 생각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부모들은 자녀가 공부를 하지 않… 더보기

[367] 자기주장만 내세우는 아이

댓글 0 | 조회 1,730 | 2007.10.24
어린아이들은 원래 자기 중심적으로 행동한다고 하지만, 이것이 너무 지나치면 주위의 사람들로부터 미움을 받게 되며 아이 자신도 항상 욕구 불만으로 가득차게 되므로 … 더보기

[366] 말 안 하는 아이 정말 답답해요

댓글 0 | 조회 1,855 | 2007.10.09
말을 할 수 있는 능력이 있는 아이가 말을 일부러 안 하는 경우 '선택적 함구증'으로 볼 수 있다. 소아정신의학 분야에서도 실제 이러한 아이들을 과거에는 '말하기… 더보기

[365] 자녀교육 과연 어떻게 해야 하나요?

댓글 0 | 조회 1,521 | 2007.09.26
아이를 양육하는데 흔들리지 않는 부모는 아마 없을 것이다. 과연 어떻게 하는게 잘 키우는 것일까? '잘 키우는 것'에 대해 만인이 수긍할 만한 정답은 아직 없다.… 더보기

[364] 잦아지는 아이와의 의견충돌 어떻게 풀어 가야 할지....

댓글 0 | 조회 1,511 | 2007.09.12
※ 원인 ※ 갈등은 우리가 행하는 거의 모든 행위 속에서 나타날 수 있다. 부모와 아이 사이에 갈등은 왜 생기는 걸까? 그것은 부모가 원하는 것과 아이가 원하는 … 더보기

[363] 공부에 대한 아이 생각을 바꿔 주고 싶어요

댓글 0 | 조회 1,596 | 2007.08.28
아이가 종종 '공부 싫어', '공부 진짜 짜증나'라고 말하는데, 얼마 전엔 '엄마, 나는 이 세상에서 공부가 없어지는 게 내 소원이야'라고 말해 좀 황당 했습니다… 더보기

[362] 외모에만 관심이 있는 아이들

댓글 0 | 조회 1,667 | 2007.08.15
'착한 얼굴', '이기적인 몸매', '완소남녀' 한 번쯤은 들어본 이야기일 것이다. 우리 아이들이 예쁘고, 잘생긴 쭉쭉빵빵 연예인들을 보면서 하는 말들이다. 머리… 더보기

[361] 화를 잘 내고, 공격적, 폭력적인 아이 어떻게 해야 되나요.

댓글 0 | 조회 2,349 | 2007.07.24
* 원 인 * 이 세상에서 단 한 번도 화를 낸 적이 없는 사람은 존재하지 않는다. 그만큼 ‘화’ 나 ‘분노’의 감정은 우리의 일상에서 아주 가깝고, 일반적인 감… 더보기

[360] 어떻게 해야 아이 말을 제대로 들어줄 수 있을까요?

댓글 0 | 조회 1,613 | 2007.07.10
점점 커 가는 아이는 자기 목소리만 높이고, 부모가 오히려 아이 얘기에 끌려가는 것은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듭니다. 한 번 휘어잡겠다고 제 얘기부터 시작했다가 아이… 더보기

[359] 발음교정방법

댓글 0 | 조회 1,804 | 2007.06.27
발음은 우리의 의사를 최종적으로 표현해주는 것으로서 매우 중요합니다. 여기서는 우리가 영어 발음을 하면서 범하기 쉬운 오류들과 발음 교정 방법을 간략히 소개합니다… 더보기

[358] 하루종일 PC를 켜 놓고 있는 아이들

댓글 0 | 조회 1,806 | 2007.06.13
아직까지 아이들은 인터넷 활용에 있어 게임이 가장 많이 차지하고 있고, 그 다음으로 음란물 접속, 그리고 채팅 등을 주로 하고 있다. 이 중에서 중독이라 부를 수… 더보기

[357] 에세이는 어떻게......?

댓글 0 | 조회 1,559 | 2007.05.23
많은 명문대학 응시자들은 고등학교때 활동한 특별 활동과 받은 상들의 화려한 리스트를 나열 할 것입니다. 또한 빛나는 점수와 학점은 기본 입니다. 그러나 개인 에세… 더보기

[356] 본인에 맞는 계획 세우기

댓글 0 | 조회 1,545 | 2007.05.09
신기하게도 공부를 잘 하는 학생들은 본능적으로 시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을 알고 있는 경우가 많다. 그들은 혼자서 공부하는 시간이 생기면 무슨 공부를 어디서… 더보기

[355] 독해력 증진 방법

댓글 0 | 조회 1,638 | 2007.04.24
● 직독직해는 독해의 생명 영어의 우리말화(化)는 읽기, 쓰기, 듣기, 말하기 모두 의 적(敵) 초보자들은 영어, 특히 긴 문장을 읽으며 중간 중간 의미 단락별로… 더보기

[354] 어휘력 증진방법

댓글 0 | 조회 1,566 | 2007.04.11
● 기본 단어는 별도로 공부해 둔다. 원래 사전 자체를 암기하는 것은 노력에 비해 효과가 적으며 '죽은 영어를 배우는 지름길' 이라는 말까지 있습니다. 그러나 기… 더보기

[353] 미국에서도 성적 경쟁시대

댓글 0 | 조회 1,497 | 2007.03.28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읽기 교육을 강화- 미국의 교육개혁이라고 할 수 있는 ‘열등생은 없다 (No Child Left Behind Law)’ 법안이… 더보기

[352] 장점을 살리는 교육

댓글 0 | 조회 1,767 | 2007.03.28
Educational Leadership 잡지에는 학생들의 장점을 이용하는 교육이라는 주제로 여러 전문가들의 글을 싣고 있다. 보통 대부분의 학생들이 무엇이든지 … 더보기

[351] SAT 에세이 '공부법'

댓글 0 | 조회 1,976 | 2007.02.26
지난 5일 치러진 SAT시험의 에세이 토픽은 'Beauty'에 대해 논하라는 것이다. 토픽에서 인용된 글은 데이비드 험의 저서 'Of the Standard of… 더보기

[350] 자아의식과 자부심

댓글 0 | 조회 1,683 | 2007.02.13
청소년기는 특히 외모에 신경을 많이 쓰는 시기이다. 이성교제를 시작하는 시기이고 가진 것도 업적도 직업도 없는 청소년기에 외모는 자아의식(self-concept)… 더보기

[349] 후배들에게 조언하는 '성공학습 8계명'(Ⅱ)

댓글 0 | 조회 1,765 | 2007.01.30
3. Studying tip 1: Prepare for class. 복습은 누구나 하게 되어있다. 시험공부가 결국은 복습이기 때문에, 얼마나 많이, 얼마나 미리,… 더보기

[348] '성공학습 8계명'(Ⅰ)

댓글 0 | 조회 1,705 | 2007.01.15
새해 2007년 1월도 반이 지나고 있다. 누구나 이 맘때면 ‘이제부터는 정말…' 이라며 새로운 새 해 결심을 갖기 마련이다. 학부모들이라고 다를 까? 자기보다는… 더보기

[347] Reading Skill

댓글 0 | 조회 1,566 | 2007.01.15
읽기 실력(Reading skill) 개발을 위하여 부모님이 할 수 있는 8가지 습관들을 관찰하고 자녀들에게 좋은 읽기 습관을 갖도록 도와주기 바란다. 1. 읽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