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들은 큰 소리를 쳐야 말을 듣는다?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템플스테이
최성길
Danielle Park
김도형
Timothy Cho
강승민
크리스틴 강
들 풀
정동희
마이클 킴
에이다
멜리사 리
Jessica Phuang
휴람
박기태
채수연
독자기고
EduExperts
이주연
Richard Matson

애들은 큰 소리를 쳐야 말을 듣는다?

0 개 2,277 NZ코리아포스트
생후부터 2세 정도의 시기를 어휘 폭발기라고 부를 만큼 아이들은 모국어를 엄청나게 빠른 속도로 배웁니다. 하루가 다르게 언어 이해력이 향상되죠. 이런 언어적 발달과 함께 언어발달의 미흡한 부분을 보완해 주는 비언어적 발달도 같이 이루어집니다.

화내는 표정을 지으면서 ‘언어적으로 화내는 말’을 하면 말 내용은 잘 이해하지 못해도 화내는 말을 한다는 것은 알아챕니다. 무언가를 설명해주는 분위기를 만들어 주면 ‘설명의 내용’은 이해하지 못하지만 엄마 아빠가 나에게 무언가를 설명해 주려고 노력하고 있다는 것은 이해합니다.

나쁘게 이야기하면 눈치가 느는 것이지만, 정확하게 이야기하면 다른 사람의 의도를 제대로 이해하는 능력이 발달하는 것입니다.

심리학자 루리아는 18개월에서 6세 사이의 아이들을 대상으로 부모님의 지시 내용을 얼마나 잘 이해하는지 실험해 보았습니다. 아이들에게 단추를 누르는 장치 앞에 앉혀 두고 “눌러 보세요”라는 어른의 지시가 들리면 단추를 누르게 하고, “누르지 마세요”라는 소리가 들리면 누르지 말도록 지시했습니다.

실험 결과 3세 이전의 유아들에겐 어른의 지시하는 내용을 정확하게 듣고 구분하여 반응하는 능력이 많이 부족했습니다. 이 시기의 아이들은 조용하고 나긋나긋하며 다정다감한 목소리에는 반응을 보였지만 큰 목소리는 제대로 음성을 듣고 구분하지 못해 충동적으로 단추를 눌러 버렸습니다.

아이들에게 큰소리치는 목소리에 반응하는 능력이 없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대부분의 부모들은 아이들에게 큰소리로 말을 하곤 하죠. 화가 나면 아이에게 더 큰소리로 야단치게 되죠. 어른 생각으로 아이를 이해하다 보니 작게 얘기하면 알아듣지 못할 것 같아서죠. 주변에서 아이들을 잘 살펴보세요.

차분하게 아이를 앉혀놓고 이야기 나누듯 잘못을 지적해 주는 엄마들의 아이가 훨씬 말을 잘 듣는답니다.

엄마가 큰소리로 화내고 짜증을 부리면 아이도 큰소리로 말을 하게 된답니다. 큰소리로 야단을 칠수록 더욱 아이는 엄마의 말을 잘 알아듣지 못하니 그럴 수 밖에요.

가끔 시장이나 마트 등 여러 사람들이 모이는 공간에서 큰소리로 아이를 야단치는 엄마들을 보게 됩니다. 하지만 그런 엄마들은 자신의 큰소리는 아이의 귀에는 “우르르 쾅쾅” 혹은 “삐익 끼이익”처럼 공포스럽고 위압적인 음성으로 밖에 들리지 않는다는 사실을 모를 겁니다.

주변의 시끄러운 소음이 엄마의 목소리를 가려 버려서 아이들은 제대로 엄마의 음성을 구별할 수 없게 됩니다. 이렇듯 주위 환경에서 들리는 비슷한 주파수의 소리가 듣고자하는 소리를 가리는 현상을“음가림”이라고 합니다.

유아들이나 아이들은 이렇듯 소리를 구별해 내는 능력이 어른에 비해 현저히 떨어집니다.

10세 정도가 되어야 어른과 비슷한 수준이 된다고 합니다.

아이가 가진 능력에 가운데 가장 어른에 못 미치는 것이 청력이라고 합니다. 혹시 엄마들은 청력이 발달하지 못한 아이들에게 “말귀를 못 알아먹는 답답한 아이”라는 멍에를 씌우고 있는 것은 아닌지요?

한 연구에 따르면 끝없는 소음 속에서 들을 때보다 조용한 가운데 한 번에 하나씩 들을 때, 아이들은 언어의 미묘한 측면을 더 잘 배울 수 있다고 합니다.

따라서 아이에게 훈계할 때에는 시끄러운 곳을 피해야 합니다. 그리고 시각이나 촉각을 함께 자극하면 아이에게 엄마의 의도를 훨씬 잘 전달할 수 있을 겁니다.

아이가 올려다보는 위치보다는 아이의 눈높이에서, 멀찍이 떨어져 소리치기보다는 가까이 엄마의 냄새와 숨결이 느껴지도록, 매를 들기보다는 다정하게 손을 맞잡고 아이에게 이야기해 보세요.

ⓒ 뉴질랜드 코리아포스트(http://www.koreapost.co.nz),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중용이란 - The middle way

댓글 0 | 조회 1,450 | 2013.04.09
동물은 한 가지의 특성만 가지고 있습니다. 여우는 여우의 특성만을, 뱀은 뱀의 특성만을 가집니다. 그런데 인간에게는 두 가지 마음이 공존합니다. 선한 마음과 악한… 더보기

나는 소인이로소이다

댓글 0 | 조회 1,015 | 2013.03.27
사람을 대인, 중인, 소인으로 나누어 볼 수 있습니다. 소인은 내 입장에서만 생각하는 사람입니다. 나와 생각이 다른 사람을 보면서 ‘저 사람 생각이 틀… 더보기

감동을 주어야

댓글 0 | 조회 977 | 2013.03.13
자기 자신을 돌아보셔서 뭐든지 다 받아들일 수 있고 누가 뭐라고 해도 거리낌이 없다면 “아, 나는 그래도 괜찮은 사람이구나” 하셔도 됩니다.… 더보기

바닷물에 잉크 한 방울

댓글 0 | 조회 1,061 | 2013.02.27
덕이 많다는 것 또한 마음이 열렸다는 것과 일맥상통하는 말입니다. 나와 다른 것을 받아들일 수 있는 여유입니다. 나와 다르다고 해서 수용하지 못하면 덕이 없는 상… 더보기

착한 마음

댓글 0 | 조회 1,122 | 2013.02.13
‘법 없어도 산다’는 분들이 있습니다. 그런 분들은 죄 짓는 사람을 도저히 이해하지 못합니다. 그것도 너무 편협한 겁니다. 이쪽 저쪽을 다 … 더보기

우주의 심정

댓글 0 | 조회 1,219 | 2013.01.29
거기에서 더 나아가 우리가 궁극적으로 가고자 하는 상태는 타인의 입장, 내 입장 이렇게 상반된 입장이 아니라 하늘에서 바라보는 입장입니다. 우주의 심정이 되면 &… 더보기

다른 세계가 있다.

댓글 0 | 조회 1,135 | 2013.01.16
마음을 어떻게 여는가? 생활 속에서 실천 가능한 방법을 말씀 드립니다. How can we open our mind? I’ll tell you a me… 더보기

마음이 열리면

댓글 0 | 조회 1,016 | 2012.12.24
마음이 열린다는 건 상대방의 입장이 되어 보는 것입니다. 우주의 입장이 되어 걸림이 없이 다 받아들이는 것입니다. 생각이 없어서가 아니라 상대방의 입장을 이해하기… 더보기

세상에 바라는 바 없으니

댓글 0 | 조회 1,104 | 2012.12.12
갈등의 요인은 문제가 자신에게 있다는 것을 잊어버리는 데 있습니다. 내가 강하게 서있으면 주변의 모든 것들이 나에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데, 그렇지 않으면 산들바람… 더보기

일단 보류하기 - Put It Aside

댓글 0 | 조회 1,041 | 2012.11.28
어떤 사안이 자신에게 다가오면 거기에 맞서서 해결을 하거나, 보류하거나, 아니면 아예 포기하여 잊어 버리거나 그 세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When a situat… 더보기

무엇을 위하여 자신을 바치나

댓글 0 | 조회 1,193 | 2012.11.14
제가 전에 알던 분 중에 대기업의 이사를 하는 분이 계셨습니다. 회장에게 상당히 신임을 얻어서 경리를 담당하고 있었는데, 새로 부임해 온 사장과 뜻이 안 맞아서 … 더보기

너무 바쁜 사람들

댓글 0 | 조회 1,161 | 2012.10.24
지나치게 바쁜 사람들이 있습니다. 그런 사람들은 곰곰이 생각해봐서 자신이 필요 이상 일에 에너지를 쓰는 건 아닌지 생각을 해 봐야 됩니다. 사람이 살아가면서 그렇… 더보기

콧노래 부르면서

댓글 0 | 조회 1,302 | 2012.10.09
먹고 살기 위해 하는 일의 비중은 아무리 많아도 20-30%를 넘으면 안됩니다. 시간이 아니라 마음의 비중을 말씀드리는 겁니다. No matter how much… 더보기

몸은 자동차, 마음은 짐

댓글 0 | 조회 1,316 | 2012.09.26
우리 몸을 자동차에 비유해 보시고 마음은 짐이라고 생각해 보십시오. 태어날 때 어떤 이유에 의해 내가 티코같은 자동차를 부여 받았을 수도 있고 벤츠 같은 차를 부… 더보기

나 사랑해? - Do You Love Me?

댓글 0 | 조회 1,219 | 2012.09.12
왜 자꾸 감정이 이입되느냐?이유는 단 한가지. ‘나를 알아달라’는 겁니다. 나를 알아 달라는 얘기를 하고 싶은데 상대방이 안 알아줍니다.그래… 더보기

감정이입 하지마라 - Don’t Bring In Your Emotions

댓글 0 | 조회 1,394 | 2012.08.29
항상 일은 하시되 감정을 이입하지 마십시오.일할때 지치는 건 감정 때문이지 일 자체 때문은 아닙니다.일은 그냥 머리쓰면서 하면 되는데거기에 감정을 계속 이입하면서… 더보기

풍경보듯이 - Like Watching Scenery

댓글 0 | 조회 1,232 | 2012.08.15
어떤 일이나 사물을 볼 때는 풍경을 보듯이 보십시오.그냥 지나치면서 ‘좋구나, 아름답구나’아니면 ‘더럽구나’ 그렇게 하… 더보기

비움 - Emptiness

댓글 0 | 조회 1,489 | 2012.07.25
감정적인 면이 아무리 복잡하다 해도 ‘희로애락애오욕’ 일곱가지 외에 별게 없습니다. 그 일곱가지를 가지고 그렇게 조화를 부리는 것 입니다. … 더보기

순화시대 (Ⅱ)

댓글 0 | 조회 1,199 | 2012.07.11
할머니는 할아버지께서 돌아가셨음에도 장례식장에 가보려 하지 않으신다. 생전에 정이 별로 없음이기도 하거니와 치매를 앓고 계셔서 경황이 없으시기도 하다. 할머니는 … 더보기

순화시대 (Ⅰ)

댓글 0 | 조회 1,283 | 2012.06.27
할아버지께서 돌아가셨다. “입관합니다. 곡하세요.” “아이고 아이고 아이고...” 작위적이던 곡소리는 신음소리가 섞이더… 더보기

한 번에 한 가지만

댓글 0 | 조회 1,437 | 2012.06.13
무슨 문제가 있으면 24시간 사로잡혀서 무겁게 짓눌려 계십니다. 잘 때도 깊이 잠들지 못하고 편치가 않습니다. When a problem occurs, some … 더보기

그래도 달라지지 않는가

댓글 0 | 조회 1,368 | 2012.05.23
얼마 전 몇몇 회원님으로부터 편지를 받았습니다. 변함없이 여러 애환이 들어있더군요. A few days ago I received letters from some… 더보기

말이 많은 사람

댓글 0 | 조회 1,523 | 2012.05.08
말을 많이 하지 마십시오. 말이 많다는 건 할 말이 없다는 겁니다. Save your words. Talking too much means you have few… 더보기

정약용과 정조의 대화

댓글 0 | 조회 1,477 | 2012.04.26
건강의 주안점은 마음의 평화입니다. 몸이 아프다는 건 내가 내 몸의 주인이 아닌 채 방치해 왔다는 것입니다. Health comes from peace of mi… 더보기

오해가 생겼을 때

댓글 0 | 조회 1,620 | 2012.04.12
다른 사람과의 사이에 언짢은 일이 생기면 풀어야 됩니다. 감정적인 문제를 계속 품고 있으면 안 됩니다. 그렇지 않으면 말 한마디 한 걸 가지고 맺혀서 그 사람 생…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