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아이가 책 읽기를 싫어해요!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성태용
명사칼럼
조기조
김성국
템플스테이
최성길
Danielle Park
김도형
Timothy Cho
강승민
크리스틴 강
들 풀
정동희
마이클 킴
에이다
보문
멜리사 리
Jessica Phuang
휴람
박기태
채수연
독자기고
EduExperts
이주연
Richard Matson
수필기행

우리 아이가 책 읽기를 싫어해요!

0 개 1,027 jj
초등 3~5학년 독서 습관 평생가… 부모가 함께 책 읽으며 방향 잡아 줘야

“우리 아이가 책 읽기를 싫어해요. 어떻게 하나요?”

학원을 찾는 학부모들이 가장 많이 질문 하는 내용입니다. 대부분 Year 5 부터 또는 인터에 해당 됩니다. 저학년도 있지만 크게 문제되지 않습니다. 지금 부터 독서력을 키울 수 있고 독서습관을 교정 할 수 있기 때문이지요. 하지만 고학년은 독서력(책을 읽어서 이해하고 즐기는 능력)을 잡아가기가 쉽지 않습니다. 개인차가 있지만, 보통 초등부의 중간인 Year 4학 시기를 독서 과도기로 봅니다.
독서과도기를 잘 보내는 첫 번째 방법은 아이의 독서수준 파악하기부터 출발합니다. 아이의 독서수준을 여러가지 측면에서 파악해야 합니다. 아이가 현재 학년에 맞는 교과서나 동화책등을 기준으로 소리를 내어 읽었을때 발음이 정확한지, 속도가 느리지 않는지 등 구체적으로 살펴봅니다. 아이가 현재 학년에 맞는 독서력인지 그보다 높은 수준인지 또는 그 이하의 수준인지를 파악하고 그에 맞는 도서를 추천해 독서지도를 하는것이 중요합니다.

다음은 제대로 읽었는지 확인하기 입니다. 그저 “책을 읽기”는 중요하지 않습니다. 그 책을 얼마나 정확하게 읽고 내용을 파악 하고 있는지 아이의 이해력을 파악 해야 합니다. 단어의 뜻을 정확하게 아는지 문장과 문단의 구조등을 이해하고 있는지 독후활동을 통해 확인 해야 합니다.

마지막은 골고루 읽기 입니다. 독서과도기는 편독 현상이 나타날 수 있는 시기이므로 아이가 어떤 종류의 책을 읽는지 잘 살펴야 합니다. 편독으로 아이가 흥미를 가지고 있는 분야의 책을 통해 학습의 깊이가 생겨나기도 하고, 일시적으로 나타난 후 점차 독서 영역이 확장되는 경우도 있을수 있습니다. 하지만 과도기에 편독 현상이 굳어질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분야의 책을 읽을수 있도록 지도 해야 합니다. 아이에게 관심 없는 분야의 책을 읽히는 것이 쉽지는 않습니다, 그럴때 엄마가 아이와 함께 책을 읽고 내용을 이해시킨 후 아이 혼자 읽게 해서 자기것으로 만들수 있게 유도하도록 하면 좋겠습니다..

독서력은 하루 아침에 키워지는 능력이 아닙니다. 그림을 읽고, 단어를 읽고, 문장이 되고, 짧았던 문장이 긴 문장이 되고, 문단을 이루듯, 조금씩 아이가 책을 읽어 내는 호흡이 길어지는 것입니다.

독서가 습관이 돼야 하는 이유는 여기에 있습니다. 짧은 문장만 읽던 아이나, 대충 책을 훑어 읽었던 아이는 그것이 습관이 돼서 고학년이 됐을때도 같은 방식으로 책을 읽게 됩니다. 긴 문장의 책들을 읽을 수 없는 것입니다. 글을 몰라서 읽지 못하는 것이 아니라, 그 책을 어떻게 읽고 어떻게 이해해야 할지 모르는 것입니다. 이는 영어 독서에서는 더욱더 중요하게 적용됩니다. 독서력은 이해력이 되고 학습력이 됩니다. 지금 만들어 가는 독서습관이 아이의 평생 습관이 될 수가 있습니다. 결국 지금 만들어진 독서력이 아이의 평생 독서력이 되는 것입니다. 과도기는 다시 오지 않습니다. 우리 아이들이 지금 제대로 책을 읽고 있는지 독서과도기에 놓인 우리 아이들 잘 관찰해봅시다.

나의 기준이 옳은가

댓글 0 | 조회 1,480 | 2013.05.14
중용이 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남의 일… 더보기

성격은 운명

댓글 0 | 조회 1,146 | 2013.04.24
대인관계를 잘 안하고 자기 안으로 파… 더보기

중용이란 - The middle way

댓글 0 | 조회 1,467 | 2013.04.09
동물은 한 가지의 특성만 가지고 있습… 더보기

나는 소인이로소이다

댓글 0 | 조회 1,017 | 2013.03.27
사람을 대인, 중인, 소인으로 나누어… 더보기

감동을 주어야

댓글 0 | 조회 979 | 2013.03.13
자기 자신을 돌아보셔서 뭐든지 다 받… 더보기

바닷물에 잉크 한 방울

댓글 0 | 조회 1,064 | 2013.02.27
덕이 많다는 것 또한 마음이 열렸다는… 더보기

착한 마음

댓글 0 | 조회 1,125 | 2013.02.13
‘법 없어도 산다&rsqu… 더보기

우주의 심정

댓글 0 | 조회 1,223 | 2013.01.29
거기에서 더 나아가 우리가 궁극적으로… 더보기

다른 세계가 있다.

댓글 0 | 조회 1,137 | 2013.01.16
마음을 어떻게 여는가? 생활 속에서 … 더보기

마음이 열리면

댓글 0 | 조회 1,021 | 2012.12.24
마음이 열린다는 건 상대방의 입장이 … 더보기

세상에 바라는 바 없으니

댓글 0 | 조회 1,106 | 2012.12.12
갈등의 요인은 문제가 자신에게 있다는… 더보기

일단 보류하기 - Put It Aside

댓글 0 | 조회 1,046 | 2012.11.28
어떤 사안이 자신에게 다가오면 거기에… 더보기

무엇을 위하여 자신을 바치나

댓글 0 | 조회 1,194 | 2012.11.14
제가 전에 알던 분 중에 대기업의 이… 더보기

너무 바쁜 사람들

댓글 0 | 조회 1,164 | 2012.10.24
지나치게 바쁜 사람들이 있습니다. 그… 더보기

콧노래 부르면서

댓글 0 | 조회 1,308 | 2012.10.09
먹고 살기 위해 하는 일의 비중은 아… 더보기

몸은 자동차, 마음은 짐

댓글 0 | 조회 1,322 | 2012.09.26
우리 몸을 자동차에 비유해 보시고 마… 더보기

나 사랑해? - Do You Love Me?

댓글 0 | 조회 1,224 | 2012.09.12
왜 자꾸 감정이 이입되느냐?이유는 단… 더보기

감정이입 하지마라 - Don’t Bring In Your Emotions

댓글 0 | 조회 1,397 | 2012.08.29
항상 일은 하시되 감정을 이입하지 마… 더보기

풍경보듯이 - Like Watching Scenery

댓글 0 | 조회 1,237 | 2012.08.15
어떤 일이나 사물을 볼 때는 풍경을 … 더보기

비움 - Emptiness

댓글 0 | 조회 1,493 | 2012.07.25
감정적인 면이 아무리 복잡하다 해도 … 더보기

순화시대 (Ⅱ)

댓글 0 | 조회 1,218 | 2012.07.11
할머니는 할아버지께서 돌아가셨음에도 … 더보기

순화시대 (Ⅰ)

댓글 0 | 조회 1,286 | 2012.06.27
할아버지께서 돌아가셨다. &ldquo… 더보기

한 번에 한 가지만

댓글 0 | 조회 1,442 | 2012.06.13
무슨 문제가 있으면 24시간 사로잡혀… 더보기

그래도 달라지지 않는가

댓글 0 | 조회 1,371 | 2012.05.23
얼마 전 몇몇 회원님으로부터 편지를 … 더보기

말이 많은 사람

댓글 0 | 조회 1,529 | 2012.05.08
말을 많이 하지 마십시오. 말이 많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