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개
2,716
27/01/2010. 13:05 코리아포스트 (219.♡.51.6)
자녀교육 특강
자녀가 사춘기가 돼 자기주장이 강해지면 부모와 싸우는 일이 많아지게 됩니다.
또한 야단을 친다고 해도 말을 듣지 않을뿐더러 간혹 대들기까지 하지요.
아이를 상대하기가 힘에 부친 엄마는 아빠에게 이야기하게 되고, 아빠는 엄마의 말만 듣고 아이를 야단치게 됩니다.
그런다고 아이의 행동에 변화가 생기는 것은 절대 아니지만 말입니다.
사춘기 아이의 훈육은 감정싸움으로 번지기 일쑤입니다.
문제는 해결되지 않고 서로 간에 감정만 상하는 경우가 허다하지요.
문제는 부모가 맞대응 해서 불같이 화를 내면 실제로 아이의 말대꾸에 보상을 해주는 셈이 된다는 것입니다.
사랑과 원칙이 있는 부모라면 이를 용납할 수 없다며 존경에 대한 일장 연설을 늘어놓지는 않습니다.
그 대신 아이의 말대꾸에 흥분해서 덤벼들지 않을 것을 다짐합니다.
대화의 일방이나 쌍방 모두가 화가 난 경우, 상대의 말이 귀에 들어올 리가 없습니다.
말대꾸하는 아이에게는 같은 말을 되풀이하지 말아야 합니다.
감정이 가라앉을 때까지 아이를 다른 곳으로 보내는 일이 중요합니다.
그러나 아이에게 약속한 대화를 잊어서는 안됩니다.
아이가 무례하게 구는 이유를 찾아 보도록 합니다.
① 반항 행동의 원인이 부모에게도 있다는 책임의식을 가지고 긍정적인 태도로 이해하고 수용하여야 합니다.
- 아이의 반항적인 행동에만 머물러 판단, 해석하지 말고, 이러한 문제 행동이 일어나고 있으며, 그 행동의 원인이 바로 부모 자신에게도 있지 않을까 하는 책임의식을 가지고 보다 긍정적인 태도로 이들을 이해하고 수용하려는 자세를 보여야 합니다.
② 권위로 자녀를 훈육하려고 하지 말고 자녀를 하나의 독립된 인격체로 인정해주고 그들의 권리를 존중해 주어야 합니다.
- 작은 일에는 간섭하지 말고 중요하지 않는 문제는 눈감아 주는 아량 이 있어야 합니다.
③ 지나친 잔소리를 하지 말고 조용히 타일러서 이해하게끔 이끌어 주어야 합니다.
아이들에게 주의시킬 것이 있을 때에는 지나친 잔소리를 하지 말고 조용히 타일러서 이해하게끔 이끌어- 주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그렇지만 때로는 매몰차게 야단을 치기도 하면서 아이들 나름으로 자신의 요구와 주장을 적절히 조정해 나가는 기술을 가르쳐 주는 것도 필요합니다.
④ 자녀가 하고 싶어 하는 일은 가능한 한 받아들이고 조력자의 입장에 서서 지켜보도록 해야 합니다.
- 아직 미숙하고 경험이 없기 때문에 시행착오를 일으키는 것은 당연한데도 부모는 그것이 걱정이 되어서 아예 하지를 못하게 한다거나 또는 중지시킨다거나 하여 쓸데없이 간섭하려 든다면, 아이들은 자기의 생각을 펴 볼 기회를 빼앗기게 될 것이며 또 자기의 힘으로 해냈다는 만족과 성공의 기쁨을 맛볼 수 없게 되는 결과를 가져오게 할 것입이다.
⑤ 반항은 일관성의 현상이므로 지나치게 반응하거나 무리하게 억제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 사랑과 이해로서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대처해 주면 대개의 경우 아이들은 그런 고비를 아무 탈 없이 무사히 넘겨 버리게 됩니다.
⑥ 지나친 반항적 태도는 비행으로 연결될 소지가 있으므로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치료해야 합니다.
- 아이의 행동이 단순한 반항으로 끝나지 않고 비행으로 연결될 소지가 있다면 이런 경우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더 악화되기 전에 그 원인을 규명하여 초기에 치료해야 합니다.
부모들이 설정한 어떤 행동기준에 맞지 않게 자녀들이 행동하면 부모들은 자녀가 말을 안 듣는다고 합니다.
그리고 많은 부모들은 자녀들에게 말 잘 듣는 방법을 가르치고 싶어 합니다.
그렇지만 자녀들은 부모의 말을 안 듣는 것이 아니라 단지 자신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행동하고 있을 따름입니다.
따라서 부모가 자녀의 행동을 다른 시각으로 보게 되면 상호 관계는 더욱 좋아질 것입니다.
왜냐하면 우리 자녀들은 실제로 부모와 좋은 관계를 맺고 싶어 하기 때문입니다.
자녀를 하나의 인격자로 존중해 주면서 아이의 행동의 문제점을 스스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합시다.
인간에게는 존중 받으면 받을수록 존중 받을 수 있는 행동을 하게 하는 능력이 있습니다.
그리고 가족들이 아이에게 도움을 줄 수 없다고 판단되시면 상담을 받아보는 것도 아이와 가족 모두에게 도움이 될거라 생각합니다.
ⓒ 뉴질랜드 코리아포스트(http://www.koreapost.co.nz),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