金玉吉·金東吉 교수 추모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金玉吉·金東吉 교수 추모

0 개 1,371 박명윤

김옥길•김동길 남매는 독실한 기독교 신자로 평생을 독신으로 살았다. 우리나라 보수진영 원로 인사인 김동길(山南 金東吉) 연세대 사학과 명예교수(부총장 역임)가 향년 94세로 10월 4일 별세했다. 유족에 따르면 숙환으로 입원 중이던 김 교수는 오후 10시30분쯤 신촌 세브란스병원에서 숨을 거뒀다. 김 교수는 지난 2월 코로나19에 감염됐다가 회복했지만 3월부터 건강이 악화해 병원 입원 뒤에도 상태가 호전되지 못했다.


김동길 교수의 유서가 ‘김옥길기념관’에서 10월 5일 공개되었다. 김 교수가 2011년 10월 2일 생일날 원고지에 직접 써서 이철 당시 연세대 의료원장에게 보낸 서신 내용은 “내가 죽으면 장례식•추모식을 일체 생략하고 내 시신은 곧 연세대학교 의료원에 기증하여 의과대학생들의 교육에 쓰여지기를 바라며, 누가 뭐래도 이 결심은 흔들리지 않습니다. 법적절차가 필요하면 미리 알려주시기 바랍니다.”라고 적혀있다.


3e34c4362d9ce76b0b29d266f9f0df23_1666338423_144.png
▲ 김 동길 교수


이에 고인의 뜻에 따라 시신(屍身)은 연세대학교에 기증됐고, 김옥길기념관을 포함한 자택은 2020년 이화여자대학교에 기증됐다. 고인의 지인들은 “집을 제외하고 남은 재산은 거의 없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김동길 교수는 이 세상에 빈손으로 왔다가 빈손으로 저세상으로 떠나는 공수래공수거(空手來空手去)를 몸소 실천하신 큰 어르신이다. 유족들은 고인의 발인(發靷)을 대신한 가족예배를 10월 7일 11시 김옥길기념관에서 드렸다.

필자는 내자와 함께 10월 6일 오전에 서대문구 대신동 소재 김옥길기념관(Kim Okgill Memorial Hall) 1층에 마련된 빈소를 찾아 조의를 표했다. 빈소에는 고인의 여동생과 남편이 조문객을 맞고 있었으며, 10월 7일 가족예배를 드리고 장례식을 마무리한다고 했다. 고인이 조기(弔旗)와 조화(弔花)를 받지 않기로 했기에 윤석열 대통령의 조화만 빈소 정면 왼편에 놓여있었다.


3e34c4362d9ce76b0b29d266f9f0df23_1666338477_2763.png
▲ 김 옥길 교수


김옥길(金玉吉, 1921-1990) 교수는 1943년 이화여자전문학교(현 이화여자대학교) 문과를 졸업하고 모교에서 기숙사 사감으로 근무(1943-49)하다 1949년 9월 미국 오하이오 웨슬리언대학교(Wesleyan University)로 유학을 가서 기독교문학을 전공하여 석사학위를 1952년 2월에 취득했다. 예수의 생애와 교훈에 대한 연구를 꾸준히 하였다. 그리고 1957-58년 템플대학교(Temple University) 대학원에서 교육행정을 공부했다. 1952년 3월부터 1979년 9월까지 이화여대 기독교학과 교수로 봉직하였으며, 그 후 이화여대 명예총장으로 봉사했다.


김옥길 교수는 1961년 김활란(金活蘭, 1899-1970) 박사 후임으로 1961년 9월 40세의 젊은 나이로 여화여자대학교 제8대 총장에 취임하여 1979년 9월까지 활동하였다. 동 대학에서 명예문학박사 학위를 1961년 9월에 받았다. 1979년 12월 문교부장관에 임명되어 이듬해 5월까지 근무했다. 정부로부터 국민훈장 모란장(1970)을 그리고 1990년에는 국민훈장 무궁화장을 수훈했다. 마리아 클라라 상(필리핀, 1976), 인촌문화상(1982), 유니온 신학대학원 공로상(미국 뉴욕, 1983), 적십자 인도상 금장(1990) 등을 수상했다.


김옥길 교수는 유신반대 시위 때도 학생들의 맨 앞에서 시위대를 보호하였다는 것은 유명한 일화다. 대규모 시위에서 그는 정문을 뚫고 나가려는 학생들에게 “나가려든 먼저 나를 밟고 나가라!”로 소리쳤었다. 이화사(梨花史)에 ‘남기고 싶은 말’로 기록된 이 한마디는, 학교 밖으로 맹진하려던 행렬의 속도를 일시에 중단시켰다. 당시 총학생회장이 숨을 곳이 없자 김옥길 총장이 나서서 숨겨주었는데, 그에 감동받았던 총학생회장이 후에 이화여대 총장이 된 김선욱 교수(제14대 총장)이다.

 

김옥길 교수는 1921년 3월 10일 평안남도 맹산군 원남면 향평리 110에서 출생하여, 1990년 8월 25일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대신동 92번지에서 소천(召天, ‘죽음’을 가리키는 기독교적 용어) 했다. 1989년 직장암(直腸癌)이 발병해 수술과 병원 치료를 받았지만 병세가 나빠져 1990년 7월에 퇴원하여 자택으로 돌아왔으나 1개월 뒤에 별세했다. 김옥길 교수가 여생을 보낸 대신동 자택은 개축되어 현재 ‘김옥길기념관’으로 사용하고 있다.


김동길 교수는 1928년 10월 2일 평남 맹산군에서 태어났다. 면장(面長)이었던 부친 김병두(金炳斗)씨는 광산업에 손을 댔다가 가세(家勢)가 기울었고, 어머니가 가족을 돌보며 4남매를 공부시켰다고 한다. 1946년 북한 김일성 정권이 들어서자 월남했다. 그는 나이 열여덟에 시골 국민학교(초등학교) 교사로 인생을 시작하여 대학에 다닐 때에는 주일학교(Sunday school) 교사였고, 대학을 졸업한 뒤에는 중•고등학교에서 영어를 가르쳤다.


1951년에 연희대학(현 연세대학교) 영문과를 졸업한 후 1954년 미국 유학을 떠났다. 미국 에반스빌대학(University of Evansville)에서 석사(역사학)학위를, 그리고 보스턴대학(Boston University)에서 에이브러햄 링컨(Abraham Lincoln, 1809-1865) 관련 연구로 철학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이에 김동길 교수는 3개 대학에서 각각 문학, 사학, 철학을 전공해 문사철(文•史•哲)을 섭렵했다.


미국 유학을 마친 후 귀국하여 1960년 연세대학교 전임강사에 그리고 1961년 조교수로 임용되어 부교수를 거쳐 교수로 승진했다. 연세대학 교무처장, 부총장을 역임했다. 그는 신랄한 풍자와 해학(諧謔)으로 인하여 학생들로부터 인기 있는 교수였으며, 그의 ‘서양문화사’ 강의에는 2000명이 넘는 학생들이 강의실이 아닌 대강당에서 수강했다. 또한 각종 TV 프로그램에 출연하여 신랄한 정치와 사회 비판으로 명성을 얻었다.


김동길 교수는 은퇴하기 까지 교편을 잡고 후학들을 가르쳤다. 김 교수는 그 오랜 세월 제자들이나 후배들에게 ‘무엇을 가르쳤는가’를 다음과 같이 요약했다. ▲거짓말을 하면 안 된다. ▲남의 말을 하지 말라. ▲굽히지 말고 떳떳하게 살라. ▲남을 괴롭히지 말라. ▲언제나 약자 편에 서라. ▲부지런히 살라. ▲건강이 제일이다. ▲돈의 노예가 되지 말라. ▲최선을 다하면 된다. ▲친구 두 서넛은 있어야 한다. ▲부모를 공경하고 이웃을 사랑하라. ▲죽음 앞에 의연하라 등 열두 가지 교훈이다.


현실 정치를 비판하던 김동길 교수는 1991년 정치 참여를 선언하고 새한당을 창당한 뒤 정주영(鄭周永, 1915-2001)이 대통령 선거에 참여하기 위하여 만든 보수 성향의 야당인 통일국민당에 합류했고 1993년에는 대표에 추대되었다. 본인도 제14대 총선에서 국회의원에 당선되어 원내진입에 성공하나, 14대 대선에서 정주영이 패배한 뒤 정계 은퇴를 선언하면서 군소정당으로 전락한 통일국민당의 대표로 추대됐다.



1990년대 초반에는 그를 패러디한 개그맨 최병서가 진행한 ‘MBC 일요일 밤에’의 ‘이게 뭡니까’ 코너가 인기를 끌면서 화제가 되기도 했다. 그는 정치 활동과 동시에 방송, 언론 활동을 하였고 보수 성향의 시민사회단체에서 활동하였다. 자유민주연합 상임고문에 위촉되지만 자민련 전국구 공천헌금설로 인해 박찬종, 김종필과 잇달아 갈라지면서 그해 1994년 5월 차기 총선거 불출마를 선언하였고 1996년 3월 자유민주연합 탈당했다.


1990년대 후반 국민행동본부, 반핵반김국민협의회 등의 보수주의 단체에서 반공(反共)시민단체 원로로 활동하면서 강연에 활발하게 참여하였다. 김정일의 북한정권과 조선로동당, 조선인민군, 김대중과 노무현, 국민의 정부와 참여정부의 ‘햇볕정책’ 등을 비판하는 강연과 활동을 하였다. 2009년 4월 검찰 수사에서 뇌물 수수설을 부인하는 노무현(1946-2009) 대통령을 비판, 대국민 사과 차원에서 자살하거나 재판받고 복역하라고 주장했다.


김동길 교수는 100권 안팎의 저서를 남겼다. 1977년에 ‘가노라 삼각산아’ ‘역사의 언덕’ ‘불어라 봄바람’ ‘하늘을 우러러’ ‘끝이 없는 이 길을’ 등 5권, 1979년에는 ‘영원히 남는 것’, 1982년에 ‘그래도 길은 있다’, 1983년에는 ‘하느님 나의 하느님’ ‘생각하며 산다’ ‘죽어서 흙이 될지라도’ ‘겨울이 오기 전에’ 등 4권을 발간했다. 그리고 1984년에 3권, 1985년에 3권, 1986년에 9권, 1987년에 16권, 1988년에 12권, 1989년에 7권, 1990년 3권, 1991년 7권, 1992년 9권, 1994-95-96년에는 매년 1권씩을 발간했다.


1997년에는 3권(김동길 칼럼집, 한 시대의 증언1, 한 시대의 증언 2)을, 1998년 2권(한 시대의 증언3, 링컨의 일생)을, 그리고 1999년에는 1권(사람은 무엇으로 사는가) 발간했다. 2000년 이후에는 모두 7권을 저술했다. ‘밝은 세상 좋은 나라’(2000년), ‘대통령 각하, 이게 뭡니까’(2003), ‘북한자유선언’(2007), ‘자유여 너를 위해 목숨 바치게 하라’(2008), ‘MB 이게 뭡니까’(2009), 그리고 2012년에 ‘젊은이여 어디로 가는가’를 발간했다.


필자 부부는 이기현 회장이 마련한 만찬에서 김동길 교수님을 몇 차례 만났다. 미국 New Orleans Pine Tree Club 이기현 회장(Crown Products, Inc. CEO)이 코로나19 사태 전에는 매년 가을 서울에서 친지들을 초대하여 만찬을 열었다. 이기현 회장의 장인(목사)과 김동길 교수는 가까운 친구사이였기에 이기현 회장은 김 교수님을 아버님같이 모셨다. 김 교수는 만찬에 참석한 파인트리클럽 회원들을 따뜻하게 맞아 주셨다.


이기현 회장이 조선호텔, 여의도 콘래드(Conrad)서울호텔, InterContinental 코엑스호텔 등에서 개최한 만찬에 김동길 교수께서 꼭 참석하시어 좋은 말씀을 참석자들에게 이야기 해 주셨다. 또한 김동길 교수는 연희동 소재 태평양시대위원회 회의실, 그리고 연희동 자택앞마당에 식탁을 차리고 냉면과 빈대떡을 이기현 회장과 일행들에게 대접했다. 코로나 사태가 종식되면 김 교수님을 다시 만나 뵙기를 기대했으나 별세하시어 안타깝다.


故 김동길 교수님은 평생 自由民主主義를 지키기 위해 헌신해 오시며 귀감이 되셨고, 언제라도 민주주의를 위해 자신의 생명을 바칠 수 있다는 사랑과 진심, 의협심과 정의감을 보여 주신 분이다. 대개 사람은 약자에게 강하고, 강자에게 비굴해지기 마련인데, 김동길 교수님은 약자에게 다정했으며 강자의 잘못 앞에서 물러서는 일이 없었다. 고인께서 편히 영면(永眠)하시기를 기도합니다.


3e34c4362d9ce76b0b29d266f9f0df23_1666338288_8807.jpg
 

어깨통증 없애는 하루 10분 마법의 스트레칭

댓글 0 | 조회 1,163 | 2022.10.25
평소 자세가 바르지 않아서 혹은 만성통증으로 어깨와 목 주변이 늘 뻐근하고 결리시나요? 저도 휴대폰과 컴퓨터를 오래 쓰거나 집안일 특히 부엌일을 하고 나면 늘 어… 더보기

불우한 악기

댓글 0 | 조회 1,358 | 2022.10.25
시인 허 수경불광동 시외버스터미널초라한 남녀는술 취해 비 맞고 섰구나여자가 남자 팔에 기대 노래하는데비에 젖은 세간의 노래여모든 악기는 자신의 불우를 다해노래하는… 더보기

전반적으로 나쁘면 비위장부터

댓글 0 | 조회 1,394 | 2022.10.25
몸의 여러 곳이 한꺼번에 나쁜 상태라면, 오장육부 중 제일 먼저 손대야 할 곳은 비장과 위장입니다.토(土)가 가장 근본이거든요. 소화를 시켜야만 음식을 먹어서 지… 더보기

버린 비닐봉투

댓글 0 | 조회 829 | 2022.10.25
명절의 시가(媤家)는 부담스럽다. 그것이 시골에 있으면 더 불편하다. 시골에서 자란 나도 불편한데 도회지에서 자란 아내는 얼마나 불편했을까? 요즈음은 전기와 수도… 더보기
Now

현재 金玉吉·金東吉 교수 추모

댓글 0 | 조회 1,372 | 2022.10.21
김옥길•김동길 남매는 독실한 기독교 신자로 평생을 독신으로 살았다. 우리나라 보수진영 원로 인사인 김동길(山南 金東吉) 연세대 사학과 명예교수(부총장 역임)가 향… 더보기

자동차 타이어 꼭 교체 해야 할까?

댓글 0 | 조회 2,227 | 2022.10.12
정비소를 방문했는데, 타이어 교체해야 한다고 합니다! 내가볼 땐 멀쩡한 것 같은데, 교체해야 한다니 의문스러운 부분이 조금 있기 마련이죠, 간간히 분쟁이 있기도 … 더보기

너무 너무 피곤해요 (오로증)

댓글 0 | 조회 1,967 | 2022.10.12
만성 피로 증후군은 1988년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에 의해 질병으로 제안된 이후 널리 사용되고 알려져 있다.피로는 단순피로와 원인피로로 나눌 수 있다.단순피로는 … 더보기

말도 없이 봄이 떠난 사이 여름은 무심히 와 있었다

댓글 0 | 조회 841 | 2022.10.12
불자들의 성지, 국민들의 휴식처, 세계인의 쉼터가 된 오대산입니다.여름 햇살이 전나무 숲길 사이로 얼굴을 내밉니다.그래도 다람쥐는 그늘 아래서 봄과 함께 합니다.… 더보기

너무나도 완벽했던 하루

댓글 0 | 조회 905 | 2022.10.12
우리 집에 3년 넘게 함께 살고 있는 메시 대학 학생이 있다. 싱가폴에서 유학을 온 학생인데, 수의학 공부를 한다. 조용하고 온화한 성격의 그는 매너도 좋다. 방… 더보기

봉사자들과 후원자들과 함께하는 리커넥트 - 멘탈헬스 프로젝트

댓글 0 | 조회 967 | 2022.10.12
전국적으로 있는 Mental Health Foundation의 정신건강 주간에 앞서서, 리커넥트는 한 달 동안 뉴질랜드 커뮤니티 가운데 정신건강에 대한 긍정적인 … 더보기

하루를 시작하는 새벽요가 챌린지 DAY 1

댓글 0 | 조회 885 | 2022.10.12
느슨해진 몸과 마음을 다잡고 부지런히 하루를 시작한다는 의미에서 10월 한달동안 새벽요가 챌린지를 계획했어요. 제 한국어 유튜브채널에서 ‘요가읽어주는 여자 hay… 더보기

새로운 트러스트(Trusts) 법 (3)

댓글 0 | 조회 1,725 | 2022.10.12
제 3 부 - 핵심 신탁 문서트러스트 법 2019 (Trusts Act 2019)은 신탁관리자(trustee)가 핵심 신탁 문서를 보관할 의무를 부과합니다. 핵심… 더보기

시인과 죄수

댓글 0 | 조회 1,267 | 2022.10.12
시인 송 경동천상병시문학상을 받는 날오전엔 또 벌 받을 일 있어서울중앙법원 재판정에 서 있었다한편에서는 정의인 게한편에서는 불법, 다행히벌금 삼백만원에 상금 오백… 더보기

도박 피해 인식 주간

댓글 0 | 조회 745 | 2022.10.12
2005 년부터 9 월 첫 주에는 도박 피해에 대한 인식을 높이기 위해 노력해 왔으며 아시안 패밀리 서비스를 포함한 많은 기관들이 참여해 왔습니다. 올해는 9 월… 더보기

아날로그와 디지털

댓글 0 | 조회 758 | 2022.10.12
11시 59분 59초는 12시 1초전이다. 시침과 분침, 초침이 있는 아날로그 시계는 시침과 분침이 거의 12에 있다. 누가 봐도 12시다. 그런데 디지털 시계의… 더보기

바다 물속을 맨발로 걸었더니…… (2)

댓글 0 | 조회 1,143 | 2022.10.11
바다는 지구상에서 최초로 생명체가 탄생한 곳이며 플랑크톤, 해조류, 어류, 포유류, 파충류, 갑각류 등 약 33만 종이 살고 있다. 또한 지구표면의 71%를 차지… 더보기

자족

댓글 0 | 조회 698 | 2022.10.11
갈보리십자가교회 김성국찐 고구마 두 개의 점심에유년의 그리움까지 밀려오는데기름진 성찬을 바라는 내가 있었습니다갈아입을 청바지 하나 더 있는 부유함에청바지로 집을 … 더보기

심포삼초 강화 식사 처방

댓글 0 | 조회 791 | 2022.10.11
만성 질환을 앓아 병이 오래 진행된 경우에는 어떤 장기를 집중적으로 다스리는 것은 위험하므로 심포삼초를 우선으로 치료해야 합니다. 심포삼초를 강화하는 식사 처방은… 더보기

세계 ‘곡물 대란’, 손 놓은 한국

댓글 0 | 조회 1,034 | 2022.10.11
▲ 사진:셔터스톡식당 메뉴판의 가격이 하루가 다르게 바뀌고 있다. 물가 폭등의 원인은 유가 급등과 더불어 세계를 덮친 곡물 대란이다. 한국의 곡물 자립도는 20%… 더보기

감정지능(Emotional Intelligence, EI)의 중요성과 개발하기 위…

댓글 0 | 조회 673 | 2022.10.11
지난 호에 이어 이번 호에는 감정지능(emotional intelligence, EI)을 개발하기 위한 주요 팁들에 대하여 말씀드리겠습니다.4. 사용하는 단어에 … 더보기

그립(Grip)의 중요성

댓글 0 | 조회 745 | 2022.10.11
정상적인 클럽을 잡은 그립과 숏 게임을 할 때 그립의 차이점은 컨트롤(Control)에 있다. 드라이버나 아이언 클럽을 잡은 그립의 중요성은 클럽 헤드와 샤프트 … 더보기

2022년 뉴질랜드 거주 동양인들의 온라인 도박에 대한 보고서

댓글 0 | 조회 972 | 2022.10.11
2022 년 뉴질랜드 거주 동양인들의 온라인 도박에 관한 설문 조사에 따르면 지난 12 개월 동안 동양인들의 84.6 %가 온라인 도박이나 게임에 참여했습니다.온… 더보기

여왕의 마지막 길

댓글 0 | 조회 1,272 | 2022.10.07
영국 엘리자베스 여왕은 지난해 4월 남편 필립공의 사망 이후 쇠약해진 모습을 보여 왔다. 지난해 1월 병원에 하루 입원했고, 이후 외부 활동을 자제해 왔다. 9월… 더보기

자동차 주황불에 지나가면 카메라에 찍힐까?

댓글 0 | 조회 4,268 | 2022.09.28
운전하시다가 한번쯤 주황불에 지나가면 카메라에 찍혀 교통법규 위반에 벌금 걱정하시는 분들이 많으시죠. 오늘은 어떻게 주행하시는지 한번 말씀드려볼께요.우리 일상과 … 더보기

되돌릴 수 없는 고용분쟁 합의서

댓글 0 | 조회 1,507 | 2022.09.28
일반적으로 분쟁이 발생할 경우 소송을 통해 해결하는 경우도 있으나 특히 고용분쟁일 경우 대부분 합의를 통해 분쟁을 해결합니다. 일반적인 소송의 경우 합의서는 당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