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3] “책을 빨리 읽게 하는 좋은 방법이 없을까요?”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템플스테이
최성길
Danielle Park
김도형
Timothy Cho
강승민
크리스틴 강
들 풀
정동희
마이클 킴
에이다
멜리사 리
Jessica Phuang
휴람
박기태
채수연
독자기고
EduExperts
이주연
Richard Matson

[283] “책을 빨리 읽게 하는 좋은 방법이 없을까요?”

0 개 2,140 코리아타임즈
Q : Primary 6학년에 다니는 딸아이와 Intermediate 2학년에 재학 중인 아들을 둔 부모님의 이야기입니 다.“어릴 때부터 저희 딸은 책 읽는 것을 무척 좋아하고 책도 많이 읽는 반면에, 아들은 책 읽는 것을 별로 좋아 하지 않고 또 많이 읽지도 않는 편입니다.

동생과 같은 종류의 책을 가지고 같은 시간 동안 누가 많이 읽는가를 내기해 보면 동생이 책을 다 읽을 때까지 아들은 겨우 반 정도 밖에 못 읽는 경우가 허다합니다.  

앞으로 College 그리고 대학교까지 공부를 하려면 책을 빨리 읽고 또 많이 읽어야 할 텐데 하는 생각이 들어서 걱정입니다. 아들을 그냥 두어야 할지, 책을 빨리 읽는 무슨 훈련이라도 시켜야 할지 모르겠습니다.”

A : 책을 빨리 읽을 수 있다는 것은 그만큼 다양한 책 을 많이 접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질 수 있기에 좋 은 독서 방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특히 한정된 상황 에서 읽어야 할 책이 많은 경우에 특히 필요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모든 학생들은 학교에서 공부를 하는 동안, 졸업 후에 사회생활을 하면서 그리고 일생을 살아가면서 엄청난 양의 책들을 접하게 될 것입니다. 그런데 그 많은 양의 책들을 위와 같은 독서습관으로는 다 감당할 수가 없습 니다. 그래서 자녀가 공부를 잘 하고, 또 사회생활을 잘 영위하기 위해서는 빠른 독서방법을 익혀 두지 않으면 안 되는 것입니다.

책을 천천히 읽는 사람들을 살펴보면, 대부분의 경우 그들이 어렸을 때 얻은 한두 가지의 나쁜 독서습관이 몸 에 배어 있기 때문에 그렇게 되는 것입니다. 책을 빨리 읽기 위해서는 그 나쁜 습관들을 없애고 책을 빨리 읽을 수 있는 독서방법이 몸에 배도록 노력해야 합니다.

다음과 같은 다섯 가지 독서 방법을 몸에 익히고 그 방법대로 책읽기를 연습한다면 책을 빨리 읽을 수 있을 것입니다.

1. 책을 읽을 때 손가락이나 연필로 글자를 짚지 말아야 합니다.(Primary에서 간혹 손가락이나 자(ruler)를 가지 고 읽기 연습을 하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이 단계에서 는 정확한 발음을 위해서는 할 수 없지만, 이 단계가 끝 나면 눈만으로 읽어야 합니다.)

책을 읽을 때에 손가락이나 연필로 현재 읽고 있는 글자나 줄을 짚으며 책을 읽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그러나 이렇게 독서를 하면 엄청나게 책을 읽는 속도가 느려지 게 됩니다. 책을 읽을 때에는 반드시 눈만으로 읽어야 합니다.

2. 책을 읽을 때 입술이나 입을 움직이지 말아야 합니다. 책을 읽을 때 입술을 움직인다는 것은 책을 읽을 때 소 리만 내지 않고 있을 뿐 입으로 읽고 있다는 것을 말합 니다. 입술을 움직이면서 책을 읽게 되면 책을 읽는 속도 가 말하는 속도로 떨어지게 되고 눈으로만 읽는 것보다 훨씬 더 속도가 느리게 됩니다.

만약 학생이 책을 읽을 때 입술을 움직인다면 이 습관이 없어질 때까지 독서를 할 때 연필을 입에 물도록 하십시오. 그러면 얼마 후에 이러한 독서습관이 고쳐지게 될 것입니다.

3. 머리를 좌우로 흔들지 말아야 합니다. 머리를 좌우로 심하게 흔들게 되면 현재 읽는 글자나 줄을 놓치게 되는 수가 많이 있어서 책을 읽는 속도가 느려집니다. 그리고 조금씩이라도 머리를 흔들게 되면 머리가 피곤해져서 책 읽는 속도가 떨어지게 됩니다. 책을 읽을 때에는 몸은 부동자세로 하고 눈만 움직여야 합니다.

4. 독서를 할 때 적극적인 자세로 해야 합니다. 책을 읽 을 때에는 집중을 해서 이 책이 말하고자 하는 것이 무엇 인가 하는 것을 염두에 두고 읽는 것이 필요합니다. 각 페이지를 읽을 때마다 적극적인 자세로 그 페이지의 중 심개념이 무엇인지를 찾는 것을 습관화하도록 지도하십 시오.

5. 대충 볼 것은 대충 보고, 중요한 부분은 집중적으로 읽는 습관을 들여야 합니다. 수많은 말들 사이에서 중요 한 개념을 끌어낼 수 있는 훈련을 해야 합니다. 책에 쓰 여 있는 모든 말들이 다 중요하고 의미가 있는 것은 아닙 니다. 책을 읽을 때 90%의 무의미한 말들은 대충 읽고, 10%의 핵심 부분에만 집중할 수 있어야 합니다.

자녀가 이러한 새로운 독서 방법이 숙련될 때까지, 그리고 그 습관들이 제 2의 천성이 될 때까지, 어떤 종 류의 책이든 자신 있게 읽을 수 있을 때까지 부모님께서 잘 도와주셔야 합니다.

이러한 새로운 독서습관이 몸에 배게 되면 속독법을 따로 배우지 않고도 책을 빨리 읽을 수 있게 될 것이고, 책을 빨리 읽을 수 있게 되면서 책 을 많이 읽게 되어 책 속에 담겨 있는 내용을 이해하는 데도 많이 도움이 될 것입니다.

부모 언어습관, 아이 성공 좌우한다

댓글 0 | 조회 2,470 | 2011.05.10
사람에게서 가장 강한 근육은 세치 혀라는 얘기가 있습니다. 세치 혀로 뱉어내는 말 한마디가 한 사람의 운명을 뒤바꾼 예가 얼마나 많은가. 말 한마디로 천 냥 빚을… 더보기

집중력을 두 배로 높이는 “5단계 생각법”

댓글 0 | 조회 2,792 | 2011.04.27
“제대로 집중하면 6시간 걸릴 일을 30분 만에 끝낼 수 있지만, 그렇지 못하면 30분이면 끝낼 일을 6시간해도 끝내지 못한다”고 아인슈타인은 말했습니다. 공부도… 더보기

사랑과 집착

댓글 0 | 조회 3,421 | 2011.04.12
세상의 어느 부모에게 물어도 자기 자녀를 사랑하지 않는다고 이야기하는 부모는 아마도 거의 없을 것입니다. 그런데 자녀에게 물어보면 부모가 자신을 사랑한다고 생각하… 더보기

자녀와 더불어 성장하는 부모

댓글 0 | 조회 2,086 | 2011.03.22
자녀를 키워본 사람이나 키우고 있는 사람은 부모노릇하기가 제일 어렵다고 느낄 것입니다. 필자도 어려서 부모에 대한 아쉬움과 원망을 많이 갖고 자라서 “내가 부모가… 더보기

화를 다스리기

댓글 0 | 조회 2,312 | 2011.03.09
평상시 얌전하던 아이가 소위 욱하는 마음에 화를 참지 못하고 다른 아이나 형제에게 폭력을 행사하여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럴 경우 부모는 너무 놀라 처음… 더보기

아이들이 듣기 싫어하는 소리 81가지(Ⅱ)

댓글 0 | 조회 2,917 | 2011.02.23
안 해야 되는 말 인줄 알면서도 화가 나면 내뱉게 되는 말이 있습니다... 혹시 나는 이런 말들을 하지 않았을까? 한번 읽어보면서 자녀에 대한 마음을 잘 다스려 … 더보기

아이들이 듣기 싫어하는 소리 81가지(Ⅰ)

댓글 0 | 조회 2,556 | 2011.02.08
안 해야 되는 말 인줄 알면서도 화가 나면 내뱉게 되는 말이 있습니다... 혹시 나는 이런 말들을 하지 않았을까? 한번 읽어보면서 자녀에 대한 마음을 잘 다스려 … 더보기

10대를 최고로 사랑하는 7가지 방법(Ⅱ)

댓글 0 | 조회 2,506 | 2011.01.26
5. 있는 그대로의 모습을 사랑하라당신은 조건 없이 자녀를 사랑할 수 있는가? 아이들에게 화를 낼 수는 있어도 아이에게 마음을 닫아서는 안 된다. 아이가 실망시킬… 더보기

10대를 최고로 사랑하는 7가지 방법(Ⅰ)

댓글 0 | 조회 2,313 | 2011.01.14
1. 자신의 십대 시절을 떠올려 보라중학교와 고등학교 시절을 기억하는가? 그때 무엇을 생각하고 느꼈는가? 중요한 것은 무엇이었는가? 부모가 자신의 십대 시절을 기… 더보기

부모 바로서기

댓글 0 | 조회 2,148 | 2010.12.22
- 자녀를 있는 그대로 인정하는 부모가 되어야 합니다자녀가 어리다고 독립된 인격체로 인정하지 않거나 또 공부를 못한다고 무시 하는 경우가 많은데 절대로 그러지 말… 더보기

공부에 집중할 수 있는 환경

댓글 0 | 조회 2,215 | 2010.12.08
자녀의 버릇고치는 대화법 버릇없는 자녀를 바로잡기 위해서는 올바른 대화 방법부터 익혀야 한다. “들어줄테니 말해보라”고 하고는 “그러니까 잘못됐어”라며 시비를 가… 더보기

공부에 집중할 수 있는 환경

댓글 0 | 조회 2,748 | 2010.11.24
* 자녀의 인격을 무시하는 잔소리를 하지 말자.자녀가 공부하는 습관이나 행동에서 구체적인 사실만을 놓고 판단해야 합니다. 하나의 일에 케케묵은 일까지 끼워 넣어 … 더보기

책 읽지만 사고력이 나아지지 않는다면

댓글 0 | 조회 2,728 | 2010.11.10
책을 많이 읽는 것이 아이의 사고력을 높이는 가장 좋은 방법이라는 것은 누구나 다 잘 알고 있는 사실입니다. 문제는 대부분의 부모들이 책을 ‘많이’ 읽는 것에만 … 더보기

애들은 큰 소리를 쳐야 말을 듣는다?

댓글 0 | 조회 2,278 | 2010.10.28
생후부터 2세 정도의 시기를 어휘 폭발기라고 부를 만큼 아이들은 모국어를 엄청나게 빠른 속도로 배웁니다. 하루가 다르게 언어 이해력이 향상되죠. 이런 언어적 발달… 더보기

스스로 공부하게 만드는 “최고의 기술”

댓글 0 | 조회 2,157 | 2010.10.13
좋은 부모란 자녀의 의도와 목적을 격려하고 인정해주며 끝까지 자녀가 성장하도록 도와줘야 합니다. 바로 이것이 코치로서의 부모입니다. 코치로서의 부모는 아이의 무한… 더보기

자녀를 이렇게 지도해보자

댓글 0 | 조회 2,339 | 2010.09.28
- 공부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앞으로는 평생학습의 시대다. 지금까지는 대학을 졸업하면 책 덮고 공부 안해도 버틸 수 있었지만, 정보화 시대에는 매일 새로운 정보가 … 더보기

부모가 버려야 할 마음의 병 여섯 가지

댓글 0 | 조회 3,523 | 2010.09.16
모는 자칫 ‘위험한 확신’에 빠지기 쉽다. 자신이 낳고 키우는 자식이기 때문에 누구보다 자신이 가장 아이를 잘 키우고 잘 안다고 생각하는 것에서 비롯된다. 따라서… 더보기

성공인을 키운 부모의 20가지 습관(Ⅱ)

댓글 0 | 조회 3,650 | 2010.08.25
11. 아이의 우상을 존중해준다. 20세기를 산 부모의 우상과 21세기를 살 자녀의 우상이 같을 수 없다. 그러므로 부모의 잣대로 아이의 우상을 비웃지 말고 존중… 더보기

성공인을 키운 부모의 20가지 습관(Ⅰ)

댓글 0 | 조회 2,517 | 2010.08.11
1. 깔끔한 외모에 신경을 쓴다. 헐렁한 트레이닝 바지에 헝클어진 머리를 한 엄마, 집 안 어디서나 담배를 마구 피우는 아빠를 보며 아이들은 배울 것이 없다. 자… 더보기

아이에게 배움의 욕구 길러주기

댓글 0 | 조회 2,248 | 2010.07.28
배움이란 학교 공부만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평생 계속되는 것입니다. 배움을 즐겁게 누리고자 한다면 아이에게 어떤 능력이 있어야 할까요? 첫째, 스스로 하려고 노… 더보기

말 잘하는 자녀 만들기

댓글 0 | 조회 2,293 | 2010.07.13
아이가 제대로 말할 때까지 기다려주고, 끈기 있게 고쳐준다 부모가 허리띠를 졸라매며 학습지다, 예능이다, 운동이다, 하고 조기교육에 열중하는 이유는 자녀가 이 다… 더보기

사춘기 자녀를 둔 부모가 변화해야 할 생각 7가지

댓글 0 | 조회 2,435 | 2010.06.22
1. 자녀의 실패는 내 인생의 실패요, 자녀의 성공은 곧 내 인생의 성공이다?자녀는 나의 작품이 아니라 신의 작품이요 선물이다. 자녀 인생의 주인은 부모가 아니다… 더보기

성공적인 자녀의 미래를 설계하는 아빠들의 열 가지 조언(Ⅱ)

댓글 0 | 조회 2,152 | 2010.06.10
6. 아버지가 어떻게 살아왔는지 가감 없이 들려준다지혜로운 아빠들은 자신의 성공 스토리나 가문의 역사, 집안 내력을 아이들에게 알려주는 노력을 잊지 않는다. 그것… 더보기

성공적인 자녀의 미래를 설계하는 아빠들의 열 가지 조언(Ⅰ)

댓글 0 | 조회 2,395 | 2010.05.25
1. 목표를 정하고 노력하는 아이를 격려한다공부를 해야만 하는 이유와 목적을 구체적으로 조언한다. ‘착하다’ ‘성실하다’ ‘예쁘다’ 등의 막연한 칭찬보다는 아이들… 더보기

삼키기와 음미하기

댓글 0 | 조회 2,053 | 2010.05.11
“자기 일은 자기가 스스로 하였으면 좋겠어요. 너무 산만해요. 무엇이 중요한지도 모르는 것 같아요. 벌써부터 조그만 것이 거짓말을 시작하니 정말 걱정이에요. 말이… 더보기